토탈 워: 로마2/콜키스

토탈 워: 로마2 등장 세력
문명 세력
라틴 문화권로마 문화로마
페니키아 문화권카르타고 문화카르타고
헬레니즘 문화권계승자 왕조마케도니아이집트셀레우코스 왕조박트리아
그리스 도시국가아테네에페이로스시라쿠사스파르타
마실리아코린토스보이오티아 연맹
흑해 식민지키메리아콜키스페르가몬
동방 제국폰토스
동방 문화권동방 제국파르티아아르메니아
야만 세력
켈트 문화권브리타니아 부족이케니
갈리아 부족아르베니네르비보이갈라티아
이베리아 문화권이베리아 부족아레바키루시타니
발칸 문화권발칸 부족게타이아르디아에이오드리시아 왕국틸리스
게르만 문화권게르만 부족수에비마르코마니
유목민 문화권유목민 부족록솔라니마사게타이로얄 스키타이
콜키스
흑해 식민지 문화
외국의 통치자외국 문화로 인한 공공질서 불이익 -50%
그리스의 마음자국 또는 동맹의 영토에서 싸울 때 사기 +15%
헬레니즘 문화권
시작 지역콜키스
왕가 특성
위대한 전승문화 전환 +2
교역 교차로교역 수익 15%

1 개요

흑해 식민지 문화팩 DLC로 제공되는 진영 중 하나.

2 내정

문화 전환능력과 문화를 통한 공공질서 불이익이 감소하기 때문에 정복한 지역의 공공질서 관리가 편하다. 특히나 주변에 헬레닉 문화가 별로 없기 때문에 큭히나 중요하다. 교역 수익이 증가하는 것도 큰 투자없이 돈을 많이 끌어들인다. 영토내에 사기 증가는 초반을 동방계통 유닛으로 버텨야 할지도 모르는 특징상 나쁘지 않다. 바로 옆에 강한 기병 팩션인 아르메니아와 유목민족이 있고, 헬레닉 계통의 유닛을 기반으로 한 키메리아와 폰투스가 가깝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그래도 지리적인 위치가 항구가 많고 길목을 막기 좋은 흑해인 만큼 초반만 안정화되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다만 해군 로스터가 약한게 흠.

동방만 아니면 중반에 강한 기병과 보병들을 보유하기 때문에 흑해 건너있는 야만 팩션들을 공략하는 것도 방법이다

2.1 불가사의

불가사의는 플레이어의 영향력에 매 턴 +2씩 추가해준다.

황금 양피의 신전
모든 수익 +24%
세금 수확 정책시 세금 +10%
헬레니즘 문화 +12
플레이어의 가문의 영향력 +2
공공질서 +10
식량 -8
5 단계 신전 건물. 4 단계 제우스 신선을 증축하여 건설한다. 다른 팩션의 제우스 신전 불가사의와 성능은 똑같다.


Great Market

3 군사

그리스+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의 독특한 보병들이 쓰이는 경우가 없는 것이 아쉬워서 만든듯한 로스터가 특징이다. 보병은 아르메니아에서 엘리트 페르시아 궁병을 펠타스트로 교체하고, 동방 호플라이트 들을 그리스 것으로 바꾼 것 빼고 같다. 하지만 빠진 엘리트 페르시아 궁병은 화력으로 그냥 동방 궁병과 차이가 거의 없고 동방 호플라이트 들은 성능이 그냥 떨어지는 것에 비해, 추가되는 펠타스트와 호플라이트는 그리스 공용이 무난한 성능을 자랑하고, 고유유닛인 콜키스 귀족병은 방어력만은 스파르타에 밀리지 않는 강력한 방어유닛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콜키스의 보병은 튼튼한 호플라이트와 충격력이 강한 도끼병 계통, 그리고 성능이 좋은 동방 사격병들의 조화로 최상고 수준의 유닛은 없어도 밸런스가 좋다.

반면 기병의 경우를 보면 기본적인 그리그 기병 진에 타룬툼 기병대 빼고 아르메니아의 기본적인 사격 기병들과 귀족 혈통 기병대가 추가된 모습이다. 그리스 계통과 비교하면 사격기병의 가성비가 더 높고 성능이 좋은 중간티어의 근접기병이 추가된다. 하지만 아르메니아의 강력한 기병진과 비교하면 많이 부족하며, 특히나 최상급 기병이 성능이 별로인 그리스식 창기병인게 흠이다.

이러한 특칭들 때문에 콜키스는 보병문명으로 운영이 된다. 기병은 일반적으로 가성비 좋은 귀족 혈통 기병대로 상대방의 기병을 견제하고 호플라이트들로 모루, 도끼병으로 망치를 하면 된다. 사격전도 동방계통 유닛들로 되어서 좋은 편이다.

하지만 이렇게 운영을 하는데 다양한 중간수준의 유닛들을 지속적으로 컨트롤해줘야 되기 때문에 폰토스 처럼 고수 팩션이다.

3.1 멀티플레이

3.2 병종

주력군
1 단계
1 단계 병영 필요
창병호플리테스(Hoplites)헬레니즘 국가의 기본. 1티어 유닛임에도 준수한 능력치와 더불어 당연히 그리스식 팔랑크스를 사용할 수 있어 초중반의 든든한 모루가 된다.
투창병동방 투창병(Eastern Javelinmen)서방 투창병들보다 좋지만 주변 나라들도 다 동방 투창병 쓰기 때문에 이득이 약한 편이다.
근접 보병산악병(Levy Pikemen)돌격 전에 투창을 쓸 수 있는 허약한 근접 보병. 이 녀석은 적 기병의 돌격을 막아내거나 모루 역할을 하는 녀석이 아니라 아군 기병이 적의 기병을 도륙할 때 적의 보병을 잠깐 묶거나 여유가 있다면 기병을 지원하는 역할이다
2 단계 주 병영 필요
근접보병도끼병 (Axemen)준수한 근접 보병. 공격력은 약간 떨어지지만 도끼병이기 때문에 중갑에 유리하다. 성능 자체도 웬만한 2티어 근접 보병 중에서 꿀리지 않는다. 적 보병을 본격적으로 상대할 수 있는 보병. 빠르게 돌격하여 적 투사무기의 피해를 줄이고 난전을 이끌어내는 것이 좋다. 존재 자체가 전선 유지보다는 난전을 위한 보병이기도 하다.
근접기병시민 기병대(Citizen Cavalry)헬레니즘 공용 근접기병. 능력은 무난하지만 막강한 원거리 화력과 기병이 난무하는 동방 지역에서는 조심히 사용해야 한다.
2 단계
3 단계 주 병영 필요
근접 보병카르틀리 도끼병(Kartli Axemen)조지아의 고대 부족인 카르틀리 출신의 도끼병. 도끼병보다 방어력은 근소하게 올랐지만, 공격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쉴드월 진형의 추가로 라인형성에도 유용하며, 난전에도 역시 유용하다. 보병 특화 팩션의 병종에 준하는 좋은 보병.
근접 기병귀족 혈통 기병대(Noble blood Cavalry)동방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주력 근접 기병. 매우 준수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데다 기병 병영을 따로 지을 필요 없이 일반 병영에서 생산되므로 파르티아나 아르메니아보다 병력을 조합하기 편하다.
3 단계
4 단계 주 병영 필요
창병콜키스 귀족병(Colchian Nobles)콜키스의 고유 병종. 방비는 최상급유닛 이지만 공격과 돌진은 중급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대신 최상급 치고 싸고 방어력이 매우 높다.
충격기병그리스식 창기병(Hippeus Lancers)그리스 계열의 공용(?) 충격기병. 4티어 충격 기병중엔 성능이 처지는편.
보조군
1 단계
2 단계 보조 병영 필요
궁병동방 궁병(Eastern Archers)평범한 동방 궁병.
궁기병궁기병대 (Horse Archers)평범한 궁기병. 2티어이지만 방어력이 허접하고 사기도 너무 낮아서 스웜 전술에 쓸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손이 많이 가지만 살아서 화력 투사만 할 수 있다면 밥값은 한다.
투창병펠타스트 (Peltasts)헬레니즘 세계의 표준적인 중무장 투창병. 근접전 들어가도 순식간에 패주하거나 하는 불상사는 덜한 편. 투창병 치고는 단단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지만 에페이로스는 아그리아나 도끼병이 더 쓸모가 많으므로 크게 사용될 일은 적다.
3 단계 보조 병영 필요
투창 기병척후 기병대(Skirmisher Cavalry)그냥 투창기병. 낮은 화력과 허약한 전투력에 테크도 은근 높아서 타란툼 기병 쪽이 낫다.
공성병기
1 단계작업소를 필요로 한다.
야전병기그리스 노포(Greek Ballista)공성과 대보병 양쪽에 쓸모있지만 크기가 크고 느려서 재배치가 힘들다라는 단점이 있다.
2 단계2 단계 공성병기 제작소를 필요로 한다.
야전병기그리스 스코르피온(Greek Scorpion)강력한 대인병기다. 크기가 작아 재배치, 이동이 빠르고 연사력이 뛰어나다.
고정병기그리스 폴리보로스(Greek Polyboros)스코르피온에서 사거리/공격력을 약간 희생해서 연사력을 높인 병기.
고정병기그리스 대형 노포(Greek Giant Ballista)크기에 걸맞게 화력도 어마어마하다.
3 단계3 단계 공성병기 제작소를 필요로 한다.
야전병기그리스 투석기(Greek Onagar)공성과 야전 양쪽에서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지만 느리다.
야전병기그리스 중형 투석기(Greek Heavy Onagar)커다란 투석기. 그만큼 성능도 좋아졌다. 맞기만 한다면 말이지
기타
투석병동방 투석병(Eastern Spearmen)기본 정착지를 필요로 한다. 무난하게 좋은 투석병.
창병동방 창병(Eastern Spearmen)정착지만 요구, 동방 문화권 특유의 빈약한 무장의 창병. 허접한 능력이지만 그만큼 저렴하기에 빠르게 대량 모집하여 운용할 수 있다..
근접보병군중(Mob)수성전시 우르르 튀어나오는 군대. 쓸모없다. 전작의 농민병을 계승한다. 급할 때는 필요하기도 하고 주둔군도 병력 재생에 시간이 걸리므로 마구잡이로 낭비하는 것은 좋지 않다. 생산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