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지하철 계획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계획
1기 지하철 계획2기 지하철 계획3기 지하철 계획서울 경전철

파일:Attachment/3553829758 ac2af715.jpg
1기 지하철 계획의 최초 노선안 # 지금의 서울을 생각해보면 저게 뭔가 싶겠지만, 처음 계획을 하던 당시의 서울은 4대문 안을 중심으로 하는 단핵도시였고, 여기에 맞춰 한국과 일본[1]의 전문가들이 계획을 짠 것이었다.하지만 아무리 봐도 4호선의 선형은 괴악하다

1 개요

서울 지하철 운행 구간을 착공 및 개통시기 별로 이르는 말로 운영주체는 서울메트로이다. 대체로 서울 지하철이 처음으로 착공된 1970년부터 3~4호선이 동시 개통된 1985년까지 건설된 지하철이 이에 해당된다.

서울특별시의 계획이므로, 엄밀히 말해서 서울메트로의 구간만 가리키는 말이지만, 서울 지하철 1호선 중 1기 지하철 건설 기간에 전철화된 코레일 구간의 경우 1기 지하철에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코레일 구간의 경우 보통은 1~3기 지하철 계획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보는 편.

일상적으로 1기 지하철이라 하면 단순히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묶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면 이 중 일부만이 1기 지하철이며, 이 중 일부는 2기 지하철 구간이다.[2]

2 역사

김현옥 서울특별시장 재임(1966년~1970년) 시절 일본 기술진들과 함께 서울 지하철 1~5호선 계획을 짜게 된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때의 서울은 지금과 같은 다핵도시가 아닌 단핵도시였기 때문에 도심과 교외 사이의 수송만을 고려해 10개 방향으로 뻗는 1~5호선을 선정했다. 노선 계획 확정 당시 기사 이때 미국의 방식을 많이 참고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서울 지하철 1호선 종각역~신설동역 구간의 경우 당시 서울 지하철 5호선과 공용하면서 쌍섬식 승강장으로 계획했었다.

이후 양택식 서울특별시장[3] 시절에, 이 구조가 실행되면서 지하철 1호선 종로구간은 쌍섬승강장을 염두에 두고 지었다. 그러나 개통 당일에 하필 육영수가 저격당하면서 양택식 시장이 사임하고 후에 구자춘 시장(1974~1978)이 취임하면서 강남~영등포~도심의 3핵도시론에 입각, 이를 연결하는 당시로서는 세계 최장거리 순환선인 서울 지하철 2호선을 계획하고, 3호선은 불광동~서울역~사당, 4호선은 미아동~동대문~보광동~영동을 잇는 형태, 즉 지금의 3호선과 4호선을 반씩 섞어놓은 듯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4] 그리고 추후에 서울을 X자로 관통하는 현재의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을 계획하게 된다. 그리고 1-5호선 연결은 흑역사로. 이때의 흔적이 신설동역 지하 3층의 승강장이다.[5]

당초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은 사철로 지으려고 했었으나, 1978년 기업과 재벌의 부동산 소유 제한을 골자로 하는 8.8 조치 시행으로 인해 기업이 사철처럼 감시를 할 수가 없었다. 결국 이로 인해 기업의 투자가 위축되어 전체 출자금 300억 중 92억만 모이자 결국 참여했던 기업들조차 서울시 지하철건설 주식회사에서 나란히 탈퇴하게 된다. 그 후 서울시지하철건설본부가 출범하여 결국 서울 지하철공사(지금의 서울메트로) 운영구간으로 편입하게 된다. 참고로 당시 사철의 지분을 거의 가지고 있던 대기업이 바로 행운의 골드스타(...)

3 구간

  1. 일본해외기술협력회(JART)
  2. 다만, 수도권 전철 3호선의 경우, 구파발역~양재역이 1기, 양재역~수서역2기, 수서역~오금역3기이다. 즉 3호선의 경우는 1, 2, 3기 계획이 모두 있는 유일한 노선.
  3. 철도청장을 지낸 경력이 있어 철도청의 협조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4. 이 계획에선 3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이 없었다.
  5. 여담으로 서울 버스 370이 서대문역~종로~답십리역 구간을 대신 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