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철도 대구역에 대해서는 대구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대구 도시철도 | |||||
1호선 | |||||
설화명곡 방면 중앙로 | ← 0.7 km | 대구역 (132) | → 0.8 km | 안심 방면 칠성시장 | |
● 광역전철로 갈아타기 |
대구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Daegu Station |
한자 | 大邱驛 |
중국어 | 大邱站 |
일본어 | 大邱駅 |
역번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132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대구광역시 북구 중앙대로 지하 484 | |
대구 도시철도 | |
운영기관 | 100px |
대구 1호선 개업일 | 1998년 5월 2일 |
大邱驛驛 / Daegu Station(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3층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 반대편 횡단 : 불가능
1 역 구조
벽면색상은 흰색. 경부선 대구역과 인접해 있으며 이 점을 이용하여 대구역 민자역사인 롯데백화점 대구점 지하 2층 출입구로 향하는 통로가 있다. 지하상가와 연결되는 통로도 있는데, 통로 측면에는 지상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롯데백화점 대구점 주차장 및 번개시장이 보인다.
그러나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 출구는 태평로상이 아닌 경부선 선로 뒷편인 칠성남로의 대구역 북편(수도권으로 말하자면 북부역)에 소재해 있고, 이 쪽으로 연계되는 시내버스는 북구3번 하나 밖에 없다. 따라서 시내버스 환승은 태평로상의 경부선 대구역이 훨씬 좋다. 굳이 대구역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한다면 대구역 북편 출구 쪽으로 조금 나가서 대구은행 통일로지점 정류장을 이용하거나, 롯데백화점 쪽으로 간 다음 지하상가를 빠져나오면 대구역 앞은 물론이고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도 멀지 않으니 참고할 것. 웬만한 곳으로 가려면 아무것도 없는 도시철도 출구 대신 지하 통로로 가는 게 편리하다.
참고로 예전에는 도시철도 대구역으로 들어가다 보면 대학입시정보센터라는 코너가 있었는데 각종 대학교 입시 요강들이 빼곡히 진열되어 있었다. 현재는 모두 철거되고 양말을 파는 작은 점포가 들어섰다.
도시철도 동대구역과 함께 외부 채광이 들어오도록 피라미드형 천장 구조물이 설치된 역사이며,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로 인하여 유일하게 피라미드형 천장 구조물이 남아있다. 지상에는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있고, 역소재지인 칠성동의 명칭 기원인 칠성바위가 지하철 역사가 조성될 때 대구시민회관 구내에서 이 곳으로 옮겨져 왔다.[1] 철길 쪽은 매우 어둡고 인적이 드물어 낮에도 으스스한 느낌이 든다.
중구 포정동에 있는 중앙로역 3, 4번 출구에서 경부선 대구역까지 걸어서 10분 이내 도시철도 타면 1분 거리로 매우 가깝다. 1, 2번 출구 쪽인 대구백화점 앞에서 커다란 경부선 대구역 폴사인이 잘 보일 정도니... 그래서 대구에서 대중교통 관련하여 하면 바보 소리 듣는 행동 두 가지 중 하나다. 하나는 중앙로 ↔ 대구역 도시철도 이용. 다른 하나는 반월당 ↔ 중앙로 도시철도 이용.[2]
여담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예전 홈 구장인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까지 도보로 10분 거리다. 그 외에도 북부역에서 대구은행 통일로지점[3]으로 나간 후 북구 침산동 쪽으로 환승해서 갈 때 이 역이 유용하다.
역명은 경부선 대구역 역사가 위치해 있고 도시철도와 일반철도의 환승역이므로 ‘대구역’으로 제정되었다. 여기도 정식역명이 '대구역역'이다. 참고로 지하철 동대구역도 '동대구역역'이다. 1904년 경부선 철도 건설과 함께 대구역사가 건립되어 1906년 대구성곽이 헐리기 이전 대구성의 북문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대구 최초로 상업 활동이 이루어졌다. 2003년 롯데 민자역사가 세워지면서 연결 통로가 개설되었지만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하필이면 대구 지하철 참사가 일어날 무렵에 개점하는 바람에 도시철도 연계는 중앙로역을 복구하기 위해 무정차 통과하는 형식으로 1호선 대구역의 영업을 재개한 그 해 10월이 되어서야 시작되었다.
2013년 8월 31일 대구역에서 열차 추돌 사고가 일어났을 때 지하철 대구역과 가까운 대구역 북편(북부역) 출구에서 임시 셔틀버스가 선로 복구가 끝날 때까지 운행하였다.
지상으로 나갈 수 있는 엘리베이터는 1번/2번 출구 사이와 3번/4번 출구 사이에 하나씩 있다. 이 엘리베이터는 바로타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다. 대곡 방면은 1번/2번 출구 사이의 엘리베이터를, 안심 방면은 3번/4번 출구 사이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곧바로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2016년 스크린도어 우선설치역으로 지정되어 2016년 2월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위해 천장이 뜯겼다. 현재는 시범가동중이며 천장은 아직 뜯겨있다.
1.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승강장 자체는 약간의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칠성시장 방향으로는 상당한 급곡선을 띄고 있어 소리가 시끄러운 편이다. 대구역이 대구 1호선의 드리프트 구간 안에 있기 때문이다.
칠성시장 ↑ | |||
하 | ㅣ | ㅣ | 상 |
↓ 중앙로 |
상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동대구역·아양교·반야월·안심 방면 |
하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중앙로·반월당·명덕·설화명곡 방면 |
2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
2013년 2월 현재 대구역 주변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경산시 시내버스 목록.
정류장명 | 정류장코드 | 경유 노선 |
대구역 | 00139 | 북구3 |
도시철도대구역[4] | 00146 | 북구3 |
대구역앞 | 02149 | 101, 401, 618, 651, 708, 808 |
대구역건너[5] | 02147 | 101, 401, 618, 651, 708, 808, 980, 가창2 |
대구역북편네거리2 | 01010 | 304, 410-1, 503, 623, 653, 706, 북구2 |
대구역북편네거리1 | 02213 | 304, 410, 503, 623, 653, 706, 730, 북구2 |
도시철도 대구역, 대구역북편네거리 정류장은 대구역 북편 출구 뒤쪽에 있다. 대구역 앞 큰길가(태평로 번개시장 쪽)에 있는 정류장은 대구역앞, 대구역건너. 초행길의 외지인을 낚기 위한 명명인가 본래 대구역북편네거리 정류장은 대구은행통일로지점이 정류장명이었다가 변경된 것이다.
3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
2002년 | 2003년[6]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3,252명 | 6,834명 | 6,974명 | 7,693명 | 10,848명 | 10,386명 | 10,362명 | 10,213명 | 10,169명 | 10,516명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0,488명 | 10,538명 | 10,258명 | 9,853명 |
- ↑ 역사 조성 전에도 이 곳은 나무가 울창한 놀이터와 노인정, 테니스장 등이 함께 있는 근린공원이었다.
- ↑ 두 역간의 거리가 약 700m이다. 월배 ↔ 상인과 안지랑 ↔ 현충로 ↔ 영대병원 그리고 교대 ↔ 명덕 역시 마찬가지이다.
- ↑ 현재는 대구역북편네거리로 정류장 명칭이 변경되었다.
- ↑ "대구역", "도시철도대구역" 정류장은 북부역(북편)
- ↑ "대구역앞", "대구역건너" 정류장은 대구역(남부역) 출구 옆에 있는 번개시장 쪽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 동대구역과 달리 대구역(남부역) 바로 앞에 서는 게 아니니 주의 요망.
- ↑ 화재 참사로 일시 운행 중단 기간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