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로역(대구)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동명의 역에 대해서는 중앙로역(대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 방면
반월당

0.7 km
중앙로
(131)

0.7 km
안심 방면
대구역
중앙로역
(메트로안과)

다국어 표기
영어Jungangno
한자中央路
중국어中央路
일본어中央路
역번
대구 도시철도 1호선131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지하 424
대구 도시철도
운영기관100px
대구 1호선 개업일1997년 11월 26일
중앙로역 보수 완료일2003년 12월 31일

中央路驛 / Jungangno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3층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 반대편 횡단 : 가능

1 역 구조

지하 3층에 상대식 승강장이다. 부역명은 메트로안과. 지하상가를 제외하고 대구도시철도공사 관할 출구는 4개가 있으며, 그 중 대구역 방향으로 있는 3번과 4번 출구는 포정동에 있다. 1번 출구와 2번 출구가 남일동에 있다.

2003년 2월 18일화재 참사가 일어났던 역이다.[1] 이 사건의 영향으로 복구 공사를 하면서 역사와 플랫폼을 새로 시공했기 때문에 다른 1호선의 역과는 조금 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는[2] 운전 취급역이기 때문에, 이 사고의 여파로 명덕~신천 구간의 영업이 전면 중단되었다. 같은 해 10월 21일에 일부를 복구하여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방식으로 명덕~신천 구간의 영업을 재개했으며, 플랫폼은 가건물용 간이 패널로 막아 놓았었다. 2003년 12월 31일에 복구를 마치고 영업을 재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환승역이자 바로 다음 역인 반월당역보다 승하차 인원이 훨씬 많고[3] 대구 도시철도에서 환승역을 제외한 단일역 가운데 이용객 수 1위를 자랑한다. 뭐 사실 마음만 먹으면 반월당역에서 내려서 중앙대로를 따라 대구역까지 걸어갈 수도 있지만....

화재 참사 후 역이 폐쇄됐을 때는 역 구조물의 안전문제로 인해 중앙대로의 반월당 - 중앙네거리, 중앙네거리 - 대구역네거리 사이 도로를 전면 통제하여 시내버스들이 매일신문 본사 혹은 봉산육거리로 우회해서 운행했고, 시민들이 그 도로 위로 한때 걸어다녔던 적이 있었다..... 물론 국채보상로랑 만나는 곳은 말고.

대구 도심의 중심이자 승하차 인원이 상당히 많기에 환승역을 여기가 아닌 반월당역으로 정했다는 소리도 있다. 다만 2호선은 대구의 동서를 연결하는 최대 도로인 달구벌대로를 따라 건설되었기 때문에 중앙로를 지나갈 수 없고, 반월당네거리로 통과한다. 실제로 반월당역과 여기는 먼 편이 아니라서, 걸어서 반월당역까지 가는데 몇 분 안 걸린다. 한 10분? 하지만 지하 상권은 반월당역 구역과 이 곳 구역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4] 처음 방문하는 타지인을 엿먹인다. 도로표지판 보고 찾으면 되니까 지상에 올라와서 이동하자.

참고로 승강장(B3)에서 대합실(B2)로 올라가는 계단이 상당히 좁은 편이다. 러시아워 시간에는 계단이 상당히 붐비기 때문에 자칫 넘어지거나 할 경우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을 정도이다. 그래서 사람 3명이 동시에 계단 올라가면 계단이 꽉차서 내려오는 사람은 못 내려온다.(--)[5]

다른 역들과는 달리 지하 2층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가는 계단이 모두 6개 있는데 각 계단마다 개찰구마다 설치되어 있다[6] 화장실은 역의 양방향 끝부분에 있는데, 반월당역 방면에 있는 화장실은 지하 2층에 있는데 대구역 방면에 있는 화장실은 지하 1층에 있는 게 특징이다. 지하2층 북측 대합실에서 역무실방향(3/4번출구 방향)을 바라봤을때 왼쪽 벽이 다른벽과는 달리 샌드위치 패널로 돼 있는데 그 너머에 대구 지하철 참사당시 그슬리고 녹아내린 사물함과 공중전화부스가 있다. 사고 이후, 참상을 잊지 말자는 의미에서 보존처리하기로 대구시에서 결정했었지만 흉물스럽다는 이유로 샌드위치 패널로 가려 놓은 것이다. 이래가지고서는 보존안하느니만도 못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대구도시철도공사와 대구시는 무시 중.사고수습 때 높으신 분들 온다고 물청소하더니 이 양반들이 진짜... 여담으로 샌드위치 패널 뒤로 검게 그슬린채 가려져 있는 벽은 통곡의 벽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벽은 추모공간으로 조성되어 2015년 12월 말에 선보였다.

명실상부 대구광역시의 중심지인 중앙대로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그 지하상가는 지상에 있는 중구청, 동성로, 대구우체국, 대구백화점 본점, 교보문고 대구점[7], 국채보상공원, 교동시장, 대구중부경찰서, 동아백화점 본점, CGV 대구점, CGV 대구한일점[8], CGV 대구아카데미점, 롯데시네마 동성로점, 만경관(종로1가), 약전골목, 대구광역시청, 경상감영공원[9], 곽병원 등 대구광역시에 사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수많은 시설과 장소들이 역 주변에 존재한다. 특히 이 역 일대에만 CGV가 무려 3개 지점이 있고 모두 직영점이다!!!!그리고 열심히 팀킬 중이지

문제는 대부분의 장소들이 직접 연결되어있기보다 지하상가 쪽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좀 헤매게 된다. 어차피 동성로를 따라 오밀조밀 붙어 있으니 우선 대합실에서 올라오자마자 지상으로 올라온 뒤에 장소를 찾아갔다가, 도시철도로 돌아올 때 지하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역명은 대구역-중앙네거리-반월당까지 연장 1,170m의 도로로 옛날부터 불려온 중앙통이라는 이름을 살려서 ‘중앙로’역으로 제정되었다. 명실상부한 대구광역시의 중심지로서, 지역은 남일동 일대이다. 옛 대구부 동상명의 지역으로서 대구 부성 남쪽안이 되므로 남성안 또는 남성내리라 하였다. 1914년에 전동ㆍ사일동ㆍ사이동의 각 일부를 합하여 남정이라 하다가 왜색을 버리고자 1946년에 남일동으로 고쳤다. 4번 출구 앞에 있는 하나은행 대구금융기업지점 옆 골목으로 가면 대구우체국과 경상감영공원이 나온다.(우체국과 마주보고 있다.)

참고로 이 역에서 승차하면 90% 이상 확률로 앉아서 갈 수 없다.[10][11] 그 이유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탑승 구역 내에 인근 곽병원에서 제공한 혈압측정기와 전자신장체중계[12]가 있다. 문제는 탑승 구역 내에 있기 때문에 출구로 나갈 때나 잠시 내려서 이용해야 한다는 점으로 탑승 구역 밖에서 굳이 이용하려면 도시철도 요금을 내고 들어와야 된다.

4번 출구 앞에 우리은행 대구지점이 있어서 레일플러스 교통카드의 충전이 가능하다. 우리은행 대구지점의 연결 통로도 중앙로역에 설치되어 있다.

여담이지만 그랜드체이스, 엘소드 제작사로 유명한 KOG가 이 역근처의 교보빌딩에 있다.

FNC의 대구 아카데미도 이 역 근처의 동성로1가 쪽에 있다.

1.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대구역
반월당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역·동대구역·반야월·안심 방면
대구 도시철도 1호선반월당·명덕·상인·설화명곡 방면

2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

2016년 2월 현재 중앙로역 주변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경산시 시내버스 목록. 시내답게 정말 엄청나게 많다.

출구정류장명정류장코드경유 노선
1약령시앞05074급행2, 204, 304, 349, 401, 410-1, 503, 518, 650, 706, 730, 909, 북구2
2약령시건너00323급행2, 204, 304, 349, 401, 410, 503, 518, 650, 706, 730
3경상감영공원건너00518급행2, 204, 304, 349, 401, 410, 503, 623, 706, 730, 980, 가창2
4경상감영공원앞00517급행2, 204, 304, 349, 401, 410-1, 503, 623, 706, 730, 북구2
상가CGV대구한일앞02238156, 323-1, 524
상가CGV대구한일건너02238급행6, 156, 234, 240, 309, 323, 425, 524, 724, 939, 980
상가2.28기념중앙공원앞02326급행1, 급행3, 급행5, 234, 240, 309, 425, 518, 650, 724, 909, 939
상가2.28기념중앙공원건너102227급행1, 급행3, 급행5, 급행6, 518, 가창2
상가2.28기념중앙공원건너202230650, 909
상가만경관앞02228234, 240, 323, 939
상가만경관건너02237234, 240, 323-1
상가곽병원앞102391156, 309, 425, 524, 623, 724
상가곽병원앞202229급행1, 급행3, 급행5, 급행6
상가곽병원건너02391급행1, 급행3, 급행5, 급행6, 156, 309, 425, 524, 623, 724, 909, 939

3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002년2003년[13]2004년[14]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24,428명25,795명17,778명18,223명21,138명19,460명19,765명19,720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19,920명20,455명20,399명20,577명19,920명20,148명
  1. 이 사건 때문에, 대구 시민들 중에서는 사고 당사자가 아니어도 도시철도를 기피하는 사람들이 좀 있다.시내버스 감편하지 마라고!
  2. 개통 당시 종착역이었음.
  3. 1호선 승객만 집계했을 때의 이야기로, 2호선까지 합하면 반월당역이 1위다.
  4. 경대병원역도 마찬가지. 반월당역 지하상가가 봉산육거리에도 연결되어 있는데, 문제는 삼덕네거리를 앞두고 봉산육거리에서 지하상가가 끊긴다는 것.
  5. 사실 대구 지하철 참사 이전에는 다른 역들에 비해서 크게 좁은 편은 아니였다. 새까맣게 타 버린 벽 앞에 새로 벽을 지음으로써 지금처럼 좁아지게 되었다.
  6. 지하 1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다섯 개 씩이나 있기 때문이다.
  7. 영풍문고 대구점은 2호선 반월당역 쪽에 있다.
  8. 물론 과거 명칭인 한일극장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9. 원래 조선시대 경상감영, 즉 지금의 도청에 해당되는 곳이 상주시에 있었는데 임진왜란 이후인 1601년 대구로 이전했다.
  10. 재밌는 점은 동명의 역 역시 앉아서 갈 수 없는 확률이 아주 높다. 둘 다 대단한 번화가에 있는 역이여서 그런 듯 하다.
  11. 하지만 설화명곡 방향으로 가는 열차를 탄 경우 바로 앞에 앉아 있는 승객이 반월당역에서 내린다면 앉아서 갈 확률이 좀 있다. 특히 (설화명곡방향 기준)2호선이랑 환승거리가 가장 짧은 4~6번칸이면 반월당역에서 내리는 승객이 많으니 이를 잘 노리면 된다. 하지만 앞쪽 칸(특히 1번칸)을 탔는데 자리가 없다면.. 망했어요. 2호선이랑 환승거리가 가장 먼 1번칸에서는 반월당역에서 내리는 승객이 많지 않다. 대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반월당역에서 타는 것보다 이 역에서 타는 쪽이 앉아서 갈 확률이 더 높다.
  12. 고장이 나서 원래 키의 +10cm 이상은 거뜬히 나온다.희망고문
  13. 화재 참사로 일시 운행 중단 기간 제외.
  14. 아마 작년도에 있었던 화재 참사 때문에 도시철도 이용을 기피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서 이용객이 확 준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