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 방면
교 대

0.7 km
명 덕
2·28민주운동기념회관 (129)

1.0 km
안심 방면
반월당
명덕역 - 신남역 연결선
기점명 덕 신남 방면
신 남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면
남 산

0.6 km
명 덕
2·28민주운동기념회관 (331)

1.0 km
용지 방면
건들바위
명덕역
(2·28민주운동기념회관)

다국어 표기
영어Myeongdeok(2·28 Democracy Movement Hall)
한자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
중국어明德
일본어明徳
역번
대구 도시철도 1호선129
대구 도시철도 3호선331
300px
1호선 역 안내도 크게보기
300px
3호선 역 조감도 크게보기
300px
3호선 역 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명덕역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지하 185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명덕역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 186
대구 도시철도
운영기관 100px
대구 1호선 개업일1997년 11월 26일
대구 3호선 개업일2015년 4월 23일

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驛 / Myeongdeok(2·28 Democracy Movement Hall)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상 3층(3호선), 지하 2층(1호선)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공통)
  • 반대편 횡단 : 가능

1 개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호선환승역이다. 1호선역의 벽면색상은 파랑색.

역명은 명덕네거리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는데 명덕네거리에는 4.19 혁명의 발상지임을 나타내기 위해 1961년 시민의 성금으로 높이 0.3m와 2.3m의 두 기둥으로 남녀의 젊음을 상징하는 2.28기념탑을 건립한 곳이다. 1960년 2월 28일 일요일, 수성천변에서 열리는 야당 후보의 유세를 들으러 가는 것을 막기 위해 학생들에게 등교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항의하여 경북고등학교 학생이 가두시위를 시작했다. 당시 경북고는 현재의 중구 대봉동 현 청운맨션 자리에 있어서 명덕역과 멀지 않은 곳이었다.[1] 경북고등학교 학생 700여 명의 가두시위를 시작으로 대구고, 경북사대부고 학생들의 합세로 4.19 혁명으로 계승되었다. 그래서 이 기념탑이 있던 명덕네거리의 지명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현재 이 탑은 달서구 두류3동 두류공원두류공원 야구장 근처로 이전되었다.

부역명 역시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다. 남구 대명2동과 마주보고 있지만 1호선의 지하 출구는 중구 남산동에만 있으며, 3호선은 대명2동과 남산동에 걸쳐 있다. 환승 통로는 대명2동에 있다.

2 역 정보

인근에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스티노 캠퍼스,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 경북예술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남문시장, 경북여자고등학교 등이 있다. 경북여고는 중구 남산동 소재의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다. 경북예술고등학교와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는 협성교육재단 산하의 사립학교이므로 구분한다.

역 주변에 이처럼 경북여고의 등하교 인원들과 경북여상, 경북예고가 있는 특성상 명덕역 주변에는 예체능 계열(주로 미술 계통) 실기평가를 대비하기 위한 입시학원들이 많다. 덕분에 학원이나 학교가 대부분 마치는 시간인 오후 9시~11시대에는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눈에 띈다. 명덕네거리에서 남문시장 사이로는 악기 판매점들이 있다.

1호선 철로에는 반월당역에서 내려오는 방향에 2호선 신남역과 연결선이 존재한다. 2호선 문양차량기지사업소는 경검수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2] 해당 선로는 중정비가 필요한 2호선 전동열차를 중정비가 가능한 월배차량기지사업소로 회송하기 위한 용도다. 따라서 건넘선이 있다.

1번 출구는 에스컬레이터와 캐노피를 설치하기 위해 잠시 폐쇄하였다가 완공됐다. 거기에 1번 출구 바로 옆으로 3호선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 출구가 붙어 있다. 대명2동에 환승 통로가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과 환승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향후 중구 남산동 일대에서 신남역반월당역, 명덕역이 삼각형 구도를 이루며 대구 도시철도의 중심역으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 도시철도에서 상대식 승강장끼리 환승이 이뤄지는 역은 명덕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중구 남산동에는 1호선, 2호선, 3호선이 모두 통과한다.

다만 3호선은 지상 모노레일이라 지상 11m 정도의 고도이고, 1호선은 지하 20여m에 있기에... 30m 이상의 고도차가 존재한다. 한 층이 3m인 아파트를 기준으로 삼으면 10층을 오르내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환승 통로는 지하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에스컬레이터로 설치되어 있지만, 노원역과는 달리 에스컬레이터를 한 번만 이용하면 승강장에 도달할 수 있다. 환승통로가 신남역보다 훨씬 짧아 환승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 편이다.

명덕역 자체가 많이 타는 역이 아니지만 대구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1호선과 연계되는 특성상 칠곡, 북구, 남구, 수성구의 인구가 다 몰리면 출퇴근 시간에 신남역을 초월하는 헬게이트가 열릴 수도 있다. 1 ~ 3호선 환승통로.

역 공사가 이뤄지던 당시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2012년 8월 5일 새벽에 환승 통로 굴착 작업이 이뤄지던 도중 천공기가 쓰러지면서 도로에서 신호 대기 중이던 차량을 덮쳐 1명이 죽고 1명이 다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이 일로 인해 공사 당시 3호선에 대한 안전 문제가 불거져 나왔다.

환승통로 쪽에 세븐일레븐우리은행 명덕지점이 있고 경북여상 쪽에는 CU가 있다. 따라서 명덕역 근처에서 캐시비레일플러스 교통카드의 충전이 가능하다. 1번 출구 앞에 남산동우체국이 있어서 티머니의 충전도 가능하다.

1호선은 건너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있으며, 환승통로를 통해 횡단할 수도 있다. 환승 통로는 대곡 방향 끄트머리에 있다. 화장실은 1호선이 운임구역 바깥에 있고 3호선은 운임구역 안에 있다.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들 중 유일하게 역번이 일치하지 않는다. 사실 2호선까지 전부 연계해 맞추는 것은 가능하지만 바꾸려면 1호선의 역번을 반월당역을 기준으로 뒤집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그대로 두고 있다.

2016년 스크린도어 우선 설치역으로 지정됐다. 일단 스크린도어 관련 전기스위치 박스가 1호선 승강장 벽면에 설치됐으며, 5월부터 공사에 들어간다고 한다. 2016년 9월 현재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고, 가동 중에 있다.

2016년 10월 6일 현재, 3호선 승강장이 신남역과 함께 확장공사를 시작했다. 이는 서문시장역에 이은 두 번째 확장 공사인 것이다.

2.1 승강장

2.1.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월당
교대
대구 도시철도 1호선반월당·중앙로·대구역·안심 방면
대구 도시철도 1호선현충로·성당못·상인·설화명곡 방면

2.1.2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건들바위
남산
대구 도시철도 3호선수성시장·수성못·범물·용지 방면
대구 도시철도 3호선신남·달성공원·칠곡운암·칠곡경대병원 방면

역의 높이 : (3층)
승강장 : 상대식(지상 3층)
내리는 문 : 오른쪽
화장실 위치 : 게이트 안쪽
반대편 횡단 여부 : 대합실을 통해 가능
만남의 광장 : 없음
연락처 : 053-327-1670[3]

3 출입구 정보

출입구는 4개지만, 3호선이 완공되어 3개가 더 늘어나 총 7개가 되었다.

  • 1번 출입구(에스컬레이터) : 대구남산동우체국
  • 2번 출입구(계단, 에스컬레이터) : 대구남산동우체국
  • 3번 출입구(계단) : 우리은행 명덕지점
  • 4번 출입구(계단, 에스컬레이터) : 우리은행 명덕지점, 롯데하이마트 명덕점, 불교대구회관,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북예술고등학교
  • 5번 출입구(에스컬레이터) : 고토갤러리
  • 6번 출입구(계단) : 경북여자고등학교
  • 7번 출입구(계단) : 2.28민주운동기념회관, 대구명덕초등학교, 남산자동차골목, 남문시장방면

4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

도시철도 3호선 개통 후 출입구 번호가 바뀌었는데, 정류소 명칭은 바뀌지 않았다. 3번 출구 -> 6번 출구, 4번 출구 -> 7번 출구다.
1호선 출구명 기준으로 지어져서 이후에 부정류소명으로 붙을 가능성 정도만 남아있다. 3호선과 출구명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착각하면 반대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타게 된다. 개편 이후 새로 스티킹된 상태.

정류소시내버스
명덕역(6번출구)204, 304, 306, 349, 405, 410, 503, 518, 649, 650, 706, 805
명덕역(7번출구)306, 349, 405, 410-1, 503, 518, 649, 650, 706, 805
명덕네거리1204, 304, 509, 남구1, 순환2-1
명덕네거리2204, 304, 509, 남구1-1, 순환2

5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002년2003년[4]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910명4,033명4,534명4,636명6,115명5,976명5,971명5,919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5,953명6,080명5,874명5,849명5,579명5,004명
대구 도시철도 3호선
2015년2016년2017년
2,974명
  1. 1985년에 수성구 황금1동으로 이전했다.
  2. 이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차량사업소도 마찬가지이다.
  3. 수성구민운동장역의 전화번호이며 남산역,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수성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수성구민운동장역이 관리한다.
  4.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한 일시 운행 중단 기간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