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투하쳅스키

소련군 원수
육군
●1
알렉산드르 예고로프클리멘트 보로실로프P미하일 투하쳅스키세묜 부됸늬바실리 블류헤르
세묜 티모셴코보리스 샤포슈니코프그리고리 쿨리크게오르기 주코프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이오시프 스탈린P이반 코네프레오니트 고보로프콘스탄틴 로코솝스키로디온 말리놉스키
표도르 톨부힌키릴 메레츠코프라브렌티 베리야N바실리 소콜롭스키니콜라이 불가닌P
안드레이 예레멘코키릴 모스칼렌코SRF바실리 추이코프세르게이 비류조프AD, SRF이반 바그라먄
마트베이 자하로프필리프 골리코프니콜라이 크릴로프SRF표트르 코셰보이파벨 바티츠키AD
레오니드 브레즈네프P드미트리 우스티노프니콜라이 오가르코프빅토르 쿨리코프세르게이 소콜로프
바실리 페트로프세묜 쿠르콧킨세르게이 아흐로메예프드미트리 야조프
해군
●2
니콜라이 쿠즈네초프이반 이사코프세르게이 고르시코프
공군
●3
알렉산드르 노비코프알렉산드르 고로바노프파벨 지가레프콘스탄틴 벨쉬닌파벨 쿠타코프
보리스 부가에프알렉산드르 콜두노프
 : 소비에트연방 초기 5원수
 : 전간기 ~ 제2차 세계대전(~1945년 8월) 중 진급
 : 냉전 시기 진급
P : 정치장교, AD : 방공군, SRF : 전략로켓군, N : NKVD
● 1 : 전원 소비에트연방원수(Marshals of the Soviet Union). 스탈린은 대원수.
● 2 : 소비에트연방 함대사령관(Admiral of the fleet of the Soviet Union)
● 3 : 공군(항공원수)은 병과상원수(Chief marshal of the branch, 상급대장에 상응)에 해당.

64465ae52975.jpg

미사일 투하하는스키가 아니다

잘생기고 유능하니 친구가 죽여버리네

오래전에 숙청당해서 사진이 거의 없고 초상화가 대부분인데 미화 쩌는 소련답지 않게 원판에 충실하다. 그만큼 잘생겼다.[1]

1 개요

이름러시아어 : Михаи́л Никола́евич Тухаче́вский
영어 : Mikhail Nikolayevich Tukhachevsky
한국어 :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투하쳅스키
출생1893년 2월 16일, 러시아 제국
사망1937년 6월 12일, 소련 모스크바
복무러시아 제국군(1914년 ~ 1917년)
소련군(1922년 ~ 1937년)
최종 계급육군 원수
주요 참전제1차 세계대전
적백내전
소련-폴란드 전쟁
주요 서훈적기훈장 1회
레닌훈장 1회

소련의 군인. 제1차 세계대전에는 러시아 제국 장교로, 적백내전에는 붉은 군대 지휘관으로 참전하였으며, 이후 소련군의 현대화를 추진하다가 스탈린의 대숙청 때 처형당했다.

2 생애

폴란드계 러시아 귀족 출신으로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1914년 근위부대에 입대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과의 전투에서 용맹을 떨쳐 성 게오르기 훈장을 받았다. 그러나 1915년 독일군의 포로가 되었고, 이때 같은 연합국인 프랑스군 대위였던 샤를 드 골을 알게 되었다. 당시만 해도 포로에 대한 대우는 매우 신사적이어서 이 둘은 상당히 편히 지냈지만, 그래도 둘다 탈출을 시도하여 몇번 실패하였다. 실패할 때마다 장기간 독방신세가 되었지만 이런 처지에서 서로 격려했다고. 투하쳅스키는 1917년 8월 끝내 드골을 놔두고 탈출에 성공하여 돌아왔다.

tukhachevsky_mn.jpg

프로도 배긴스? 내전 당시 사진. 뾰족모자는 세묜 부됸늬 원수의 이름을 따서 부됸노프카라고 불리며 초창기 붉은 군대의 상징과 같은 모자다.

그러나 당시 러시아는 혁명으로 차르가 퇴위하고 공화국 임시정부가 들어섰으나 러시아군은 거의 해체상태였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는 독일과의 전쟁을 계속하기로 결정하여 인심을 잃었다. 이를 틈타 1917년 10월(그레고리력으로는 11월) 볼셰비키는 쿠데타를 일으켜 임시정부를 전복하고 세계 최초의 공산정권을 세웠다(10월 혁명). 그렇지만 각지에서 공산정권에 반대하는 백군(혹은 반혁명군)이 일어났고, 공산정부는 위기에 몰리게 되었다. 게다가 연합국은 독일과 단독강화를 맺으려던 공산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해 무장개입을 벌였다. 이것이 바로 적백내전.

다른 귀족출신 장교들은 대체로 반혁명군을 지지했으나, 투하쳅스키는 의외로 공산정부를 지지하여 볼셰비키당에 가입했고, 곧 붉은 군대에 입대하게 되었다. 초창기에 붉은 군대는 정규군사교육을 받은 자가 드물었고[2], 그래서 그는 24세의 나이로 군단장급의 사령관이 되었다.[3] 투하쳅스키는 모스크바 방위사령관, 제5군 사령관을 차례로 맡아 드넓은 러시아를 누비며 각지의 반란을 진압했으며, 이 공적으로 붉은 군대의 최고위급에 올랐다. 이때 그의 활약이 눈부셔서 이후 "붉은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사이가 나빴던 스탈린조차도 그를 "작은 나폴레옹"이라고 불렀을 정도.

1921년에 아직 적백내전의 후유증으로 엉망진창이던 소련을 갓 건국한 폴란드가 침공하면서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이 발발하였다. 투하쳅스키는 폴란드군을 막아냈을 뿐만 아니라 역습을 가해 오히려 국경을 넘어서 폴란드의 수도인 바르샤바까지 추격하였다. 그렇지만 바르샤바 근처에서 붉은 군대폴란드군에 대패했고, 이때 패배의 원인을 둘러싸고 정치장교스탈린과 사이가 엄청나게 나빠졌다. 이 점이 후에 대숙청의 구실이 되었다.

1925년부터 1928년까지 투하쳅스키는 붉은 군대의 총참모장이 되어 구태의연한 오합지졸의 의용군을 전문적인 직업장교 하의 현대적인 군대로 탈바꿈시키려고 하였다. 특히 전차를 비롯한 기갑부대와 공군을 육성하는데 큰 역점을 주었다. 더불어 그 주제와 관련된 여러 책을 써냈고, 이는 소련군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종심작전이론도 이 당시 그와 붉은 군대의 여러 전략전술 전문가들이 창안한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이런 급진적인 생각이 "붉은 군국주의"로서 보로실로프, 부됸니와 같이 여전히 기병을 신주모시듯이 하는 보수파 장교들의 반대를 받았기에 그는 총참모장직에서 해임되었다. 할배들 등쌀에 밀려 사임한 유능한 원수 스탈린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하쳅스키가 창안한 개념은 받아들였으며, 당시 막 기지개를 펴던 소련의 중공업들은 우선적으로 현대식 무기들을 뽑아내기 시작했다. 소련은 당시 자본주의 국가들이 연합해서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을 혁명 직후의 간섭전쟁(적백내전)처럼 침공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경공업농업은 거의 팽개치고 중공업에만 집중 투자했다.

1292951790_image001.jpg

원수 시절 초창기. 오오 슈퍼미남 오오.

1935년 반혁명적이라고 폐지되었던 계급이 붉은 군대에 도입되어 그는 원수가 되었고 이 해에 그는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의 서유럽을 방문하는데, 이것이 훗날 망명 중인 반정부 러시아인들을 만났다는 혐의를 받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새롭게 집권한 나치 독일의 정보기관들이 공작을 벌여 허위문서를 소련 정보기관에 흘러가게 해서 혐의가 되었다고도 한다.

tyxa_s.jpg

1935년 11월 11일 촬영. 5인방 중에서 가장 유능하고 젊었건만

1937년 5월 22일 그는 "나치 독일의 스파이"와 "군사적 트로츠키주의자 음모"라는 죄목으로 체포되었고, 심한 고문을 받았다. 그가 남긴 자술서에는 선혈이 낭자할 정도였다고 한다. 1937년 6월 12일 다른 8명의 고위장교와 함께 사형선고를 받고 즉각 처형되었다. 본인뿐만 아니라 부인이 굴라그로 가는 등 가족들도 풍비박산나고, 친척 몇명은 같이 처형되었다.

그가 남긴 "종심전투교리" 이론은 반혁명적이라고 폐기되었으나, 독소전쟁 시기에 부활해 훗날 전쟁 후반 독일에 대한 반격작전의 교리가 되었다.

1957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 격하운동을 벌인 후 그는 무죄로 복권되었다. 독일측이 역공작으로 허위문서를 소련 정보기관에 흘러가게 해서 그에게 혐의가 씌워졌다는 설이 있으나, 소련 붕괴 후 공개된 문서를 보면 스탈린은 그 역공작 문서와는 관련없이 투하쳅스키를 숙청하려고 처음부터 작정하고 있었다고 한다. 평소에 자신의 솔직한 의견을 숨기는 성격이 아니었던 탓에 몇 차례 스탈린과 충돌했는데 이 때문에 일찌감치 숙청의 대상이 되었던 것 같다. 예를 들면 1936년에 그는 독일이 아무런 경고 없이 갑자기 공격해올 것이고 그로 인해서 매우 오랫동안 큰 희생을 치르는 전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는데(선견지명...), 물론 스탈린은 "도대체 자네 지금 뭘 하자는 건가? 소련 정권을 위협하는 건가?"라고 말하며 격노했다고...[4]

1986년 사망하는 그날까지 스탈린에게 충성했던 몰로토프는 투하쳅스키의 숙청에 대해, "문제가 있었다면 도대체 어느 쪽에서 시작된 것인가? 그는 위험한 사람이었"고, "나는 상황이 악화될 경우, 그가 과연 전적으로 우리 편이 될 것인가 의심스러웠다. 왜냐하면 그는 우파였기 때문이다. 그 당시에는 우익의 위험이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였다. 많은 우파들이 그 자신이 우파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우파였다"라고 평가했다.[5] 그러나 비록 귀족 출신이었지만 적백 내전에서 적군에 참전하였다는 점을 봤을 때 그가 정말 우파였는지는 불분명하다.

300px

흐루쇼프 시절 완전히 복권되어 우표 도안의 모델이 된 투하쳅스키.

한편 실질적으로 붉은 군대를 건설한 트로츠키는 소련이 망할 때까지 복권되지 못하였다.[6][7]

3 평가

최근에 투하쳅스키가 평범한 지휘관이며 그냥 가정법상에서나 능력이 있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생겼지만,[8] 그의 군사적 재능이 뛰어났던 것은 분명하다.

붉은 군대 초기 반혁명군의 공격으로 전선이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그가 지휘관으로 우선적으로 투입되었으며, 전과를 놓고 봐도 스탈린이 참전한 폴란드와의 전쟁을 제외하면 대부분 승리했다. 게다가 내전 후반부에는 붉은 군대에도 전직 제정 러시아군 장성이나 영관급 인물들이 대거 입대하는데, 전쟁전 대위에 불과했던 그가 계속 사령관급으로 남아있었던 것은 유능하지 않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그는 전술가로서뿐만 아니라 군사이론가로도 뛰어났고, 세계 최초로 공수부대를 창안했다. 이름부터가 '투하'다 또한 그가 주장한 기갑부대와 공군 중시 정책, 로켓무기 개발 등은 선구적인 것으로서 실로 몇 년 앞을 내다본 혜안이었다. 그가 숙청된 후에도 그 뒤를 이은 세묜 티모셴코가 이를 계속 추진하여 후에 독소전쟁에서 소련이 승리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투하쳅스키를 너무 과대평가하는 것 또한 금물인데, 투하쳅스키가 '선구적인 혜안'을 가지고 있는 이론가라더라도, 그의 혜안을 실제로 실현시키는 것은 별개의 문제였기 때문이다. 소련은 당시 적백내전의 혼란에서 겨우 벗어난 상태의 가난한 2류국가였고 이 시점에서 소련의 공업력은 투하쳅스키의 선진적인 구상을 현실로 실현시키기엔 너무나도 부실했다. 예를 들어 투하쳅스키의 종심전투교리의 핵심 중 하나는 탱크가 전선에 구멍을 내고 적군이 정신 못차리는 와중에 재빨리 쏟아부을 수 있는 기계화되어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보병인데 실제로 독소전쟁 중 소련군이 이 정도 수준에 달한 것은 1943년 이후 지프로 대표되는 미국의 대규모 렌드리스와 소련 스스로의 군을 기계화시키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있은 후에야 가능했다.

그러나 독소전쟁 초반까지만 해도 소련이 막대한 기갑장비(성능은 차치하고서라도)를 보유하고 있다가 갈려나간 것을 본다면 투하쳅스키가 숙청되지 않았다면 상당히 다른 결과가 나왔을 수도 있을 것이다. 어디까지나 만약이지만.

이런 대규모 공업화를 통한 군의 기계화는 아이러니하게도 투하쳅스키를 숙청한 스탈린니콜라이 부하린같은 반대파들을 모두 숙청해가며 밀어붙인 중공업우선 정책으로 가능해졌으니 이 또한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마치 삼국지곽가처럼 너무 빨리 죽어버렸기 때문에 평가도 엇갈리고 지나치게 과평가되었다는 지적도 있는 인물. 그래도 보로실로프나 부됸늬 같은 양반들보다는 확실히 나았을 것 같다
  1.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에서도 투하쳅스키를 잘생겼다고 표현했다.
  2. 다만 후에 국방장관 레온 트로츠키가 대거 러시아 제국군 장교들을 영입하여 붉은 군대 수뇌부는 러시아 제국군 출신들이 주류가 된다.
  3. 나폴레옹도 프랑스 혁명 직후 군에서 장군 상당수가 목이 날아간 상태라 능력을 보이자 초고속 승진, 25세에 대장이 되었다.
  4. Overy, Richard, The Dictators: Hitler's Germany, Stalin's Russia.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004.
  5. Resis, Albert, ed. Molotov Remembers: Inside Kremlin Politics. Chicago: Ivan R. Dee, 1993.
  6. 현재도 트로츠키주의자들은 전세계 좌파/사회주의 운동에서도 소수파에 속한다. 국내에선 촛불시위 당시 많은 논란을 일으켰던 '다함께'가 트로츠키주의자 조직이다.
  7. 다만, 트로츠키주의자가 소수파라는 설명은 사실 정확한 설명은 아니다. 스탈린주의에 기반한 현실사회주의(좁은 의미의 공산주의)가 건재하던 시절에도 트로츠키주의자는 제 4 인터내셔널이나 IST같은 독자적인 국제조직을 유지할 정도로 상당한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이게 소수파라면 블랑키주의라거나 프루동주의, 라살레주의, 바쿠닌주의 등의 온갖 소수 당파들은 대체 어쩌라는 건가! 즉, 트로츠키주의가 소수파라는 것은 주류 중의 소수파, 또는 조직화가 가능한 세력을 가진 당파들 중 소수파라는 의미에 가깝다. 또한 과거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이 건재하던 시절에는 공산주의 당들이 트로츠키주의자들을 배척하고 견제했기 때문에 세력 규모에 비해 현실정치에 대한 영향력이 떨어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여하간 트로츠키주의자는 좌파/사회주의 운동 세력 내에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소련 및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의 문제점이 알려진 뒤에는 세력규모가 더욱 확장된 면도 있다. 특히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이 몰락하고 스탈린주의가 붕괴한 이후에는 오히려 트로츠키주의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최대 계파라고 봐야 한다.
  8. 예를 들어 구 제정 시절 벌어진 토벌전 등에서 범용한 작전을 쓰고도 별 성과를 못 올린 사례 등을 든다. 그러니까 그가 살아있었다면 독소전쟁의 양상이 바뀔 수도 있었다는 가정은 의미없다는 쪽으로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