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댜


※ 가톨릭 성경은 일부 시서와 지혜서를 제외하고는 서書/기記를 붙여 표기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구약 '공동번역(천주교 성경/개신교 성경)'
모세오경창세기 · 출애굽기(탈출기/출애굽기) · 레위기 · 민수기 · 신명기
역사서여호수아(여호수아기/여호수아) · 판관기(판관기/사사기) · 룻기 · 사무엘상·하(사무엘기 상·하권/사무엘상·하) · 열왕기상·하(열왕기 상·하권/열왕기상·하) · 역대상·하(역대기 상·하권/역대상·하) · 에즈라(에즈라기/에스라) · 느헤미야(느헤미야기/느헤미야) · 에스델(에스테르기/에스더)
시가서욥기 · 시편 · 잠언 · 전도서(코헬렛/전도서) · 아가#s-1
대선지서이사야(이사야서/이사야) · 예레미야(예레미야서/예레미야) · 애가(애가/예레미야애가) · 에제키엘(에제키엘서/에스겔) · 다니엘(다니엘서/다니엘
소선지서호세아(호세아서/호세아) · 요엘(요엘서/요엘) · 아모스(아모스서/아모스) · 오바디야(오바드야서/오바댜)· 요나(요나서/요나) · 미가(미카서/미가) · 나훔(나훔서/나훔) · 하바꾹(하바쿡서/하박국) · 스바니야(스바니야서/스바냐) · 하깨(하까이서/학개) · 즈가리야(즈카르야서/스가랴) · 말라기(말라키서/말라기)
제2경전(외경)가톨릭/정교회토빗기 · 유딧기 · 마카베오(기)상·하 · 지혜서 · 집회서 · 바룩서 · 다니엘 일부 · 에스델 일부
정교회에스드라스서 · 송시 · 마카베오 3서/마카베오 4서
신약 '공동번역(천주교 성경/개신교 성경)'
복음서마태오(마태오 복음서/마태복음) · 마르코(마르코 복음서/마가복음) · 루가(루카 복음서/누가복음) · 요한(요한 복음서/요한복음)
역사서사도행전
바울서신로마서 · I고린토(코린토 1서/고린도전서) · II고린토(코린토 2서/고린도후서) · 갈라디아(갈라티아서/갈라디아서) · 에페소(에페소서/에베소서) · 필립비(필리피서/빌립보서) · 골로사이(콜로새서/골로새서) · I데살로니카(테살로니카 1서/데살로니가전서) · II데살로니카(테살로니카 2서) · I디모테오(티모테오 1서/디모데전서) · II디모테오(티모테오 2서/디모데후서) · 디도서(티토서/디도서) · 필레몬서(필레몬서/빌레몬서)
공동서신히브리서 · 야고보서 · I베드로(베드로 1서/베드로전서) · II베드로(베드로 2서/베드로후서) · 요한 I·II·III서(요한 1·2·3서/요한일·이·삼서) · 유다서
예언서요한묵시록(요한묵시록/요한계시록)

1 구약성경의 소선지서 및 그 예언자

구약성서의 예언서 중의 하나이다. 저술 시점의 배경은 이스라엘이 현재 패망하고 압제를 받으며 재기를 약속받는 내용으로 보아 바벨론 포로기인 기원 전 587년에서 기원 전 538년 사이로 보인다.

2 내용

주된 내용은 에돔대차게 까는 책망하고 저주하는 내용으로 유다 멸망 이후 망국민인 이스라엘 민족을 압제하고 약탈하는 행태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 것임을 선고하는 내용이다.
여기서 에돔은 이스라엘 남~남동쪽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현재의 요르단의 영토에 거주했다. 이 에돔은 조상 에서를 시조로 하는 민족인데 이 에서는 이스라엘의 시조인 야곱의 형으로 두 민족은 형제의 나라인 셈이다.[1] 다만 세력이 서로 크지 않을 때는 서로 그냥저냥 있겠지만, 교류가 생기면서 마찰도 생겼다. 다윗 치세하에 전쟁으로 크게 패한 에돔군의 포로들은 무릎 꿇린 뒤 3줄에 한 줄씩 살리고 나머지 두 줄은 처단한 일이 있었고, 그 뒤 수 십년간 이스라엘의 지배하에 놓인 때도 있었다.[2] 독립을 선언한 뒤에도 가끔 모압을 치러간다든지 이스라엘 및 유다와 연합한 적은 있지만, 오히려 이스라엘의 주도로 모압, 암몬과 연합하여 유다를 지도상에서 삭제하려 한다든지, 후에도 산간 부족 국가답게 약탈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그리고 결국 유다 멸망 이후 가나안 지역을 장악하러 간 것이다.

3 일각의 의견

느헤미야를 보면 아랍 사람, 암몬 사람, 블레셋 사람등 별의별 종족들이 이스라엘을 압제했다. 그렇지만 여기서는 에돔을 감정적으로 비난하는 것으로 보아 에돔에 대한 감정을 오바댜라는 이름으로 한데 모은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4 해석

여기서 에돔은 선택받은 신의 백성을 압제했던 모든 것의 대명사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여기서 신께서 에돔을 치는데에서 세계 만민을 심판하는 데까지 확대되는 것까지 확대된다. 심지어 우주로 도망가도 못 피한다고 한다. 즉 에돔은 일종의 대유법으로 사용된 대명사인 것이다.
결국 신께서는 모든 적들을 심판하시고 구원받은 백성들에게 회복을 약속하는 우리가지게 만들어 버려진 언약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1. 그래서 율법에는 에돔 출신인은 3대 까지는 이스라엘 공동체에 속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2. 다윗이 사울을 피해 도망다닐 때 잠시 의탁했던 제사장 아히둡(사무엘의 선대 제사장이자 이가봇의 형제)의 아들 아히멜렉의 일가를 에돔 사람 도엑이 꼰질러서 아들 아비아달을 제외한 일가가 사울에게 학살당하게 했던 적이 있다. 그래서 다윗이 에돔에 대해 증오를 가졌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