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가

1 타나크 중 하나

※ 가톨릭 성경은 일부 시서와 지혜서를 제외하고는 서書/기記를 붙여 표기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구약 '공동번역(천주교 성경/개신교 성경)'
모세오경창세기 · 출애굽기(탈출기/출애굽기) · 레위기 · 민수기 · 신명기
역사서여호수아(여호수아기/여호수아) · 판관기(판관기/사사기) · 룻기 · 사무엘상·하(사무엘기 상·하권/사무엘상·하) · 열왕기상·하(열왕기 상·하권/열왕기상·하) · 역대상·하(역대기 상·하권/역대상·하) · 에즈라(에즈라기/에스라) · 느헤미야(느헤미야기/느헤미야) · 에스델(에스테르기/에스더)
시가서욥기 · 시편 · 잠언 · 전도서(코헬렛/전도서) · 아가#s-1
대선지서이사야(이사야서/이사야) · 예레미야(예레미야서/예레미야) · 애가(애가/예레미야애가) · 에제키엘(에제키엘서/에스겔) · 다니엘(다니엘서/다니엘
소선지서호세아(호세아서/호세아) · 요엘(요엘서/요엘) · 아모스(아모스서/아모스) · 오바디야(오바드야서/오바댜)· 요나(요나서/요나) · 미가(미카서/미가) · 나훔(나훔서/나훔) · 하바꾹(하바쿡서/하박국) · 스바니야(스바니야서/스바냐) · 하깨(하까이서/학개) · 즈가리야(즈카르야서/스가랴) · 말라기(말라키서/말라기)
제2경전(외경)가톨릭/정교회토빗기 · 유딧기 · 마카베오(기)상·하 · 지혜서 · 집회서 · 바룩서 · 다니엘 일부 · 에스델 일부
정교회에스드라스서 · 송시 · 마카베오 3서/마카베오 4서
신약 '공동번역(천주교 성경/개신교 성경)'
복음서마태오(마태오 복음서/마태복음) · 마르코(마르코 복음서/마가복음) · 루가(루카 복음서/누가복음) · 요한(요한 복음서/요한복음)
역사서사도행전
바울서신로마서 · I고린토(코린토 1서/고린도전서) · II고린토(코린토 2서/고린도후서) · 갈라디아(갈라티아서/갈라디아서) · 에페소(에페소서/에베소서) · 필립비(필리피서/빌립보서) · 골로사이(콜로새서/골로새서) · I데살로니카(테살로니카 1서/데살로니가전서) · II데살로니카(테살로니카 2서) · I디모테오(티모테오 1서/디모데전서) · II디모테오(티모테오 2서/디모데후서) · 디도서(티토서/디도서) · 필레몬서(필레몬서/빌레몬서)
공동서신히브리서 · 야고보서 · I베드로(베드로 1서/베드로전서) · II베드로(베드로 2서/베드로후서) · 요한 I·II·III서(요한 1·2·3서/요한일·이·삼서) · 유다서
예언서요한묵시록(요한묵시록/요한계시록)
한자: 哀歌

히브리어: איכה (에카)[1] / קינות (키노트)
그리스어: Θρήνοι (트레노이)
라틴어: Lamentationes (라멘타시오네스)
영어: Book of Lamentations

타나크 성문서 중 한 권. 조금 긴 예레미야서와 좀 더 긴 에제키엘서 사이에 있는 쉬어가기 코너(…). 이것은 본래 히브리 경전에서는 성문서로 분류되지만, 칠십인역을 거치면서 예언자 예레미야가 썼다는 것이 확립됨에 따라 그리스도교 성경에서는 예언서 사이에 들어가게 되었다.

예레미야가 썼다 하여 개신교식 정식 명칭은 예레미야 애가. 사실 본서 자체에는 누가 썼는지 언급돼있지는 않지만 70인 역을 거치면서 저자가 예레미야라는 점이 확립되었고, 그 외에도 그가 애가를 자주 지었다는 점(역대기 하권 35장 25절), 본서 저자가 예루살렘의 멸망을 직접 목격했다는 점, 본서에 예레미야가 아니면 실토할 수 없는 기록이 있는 점(3장 52-54절) 등을 통해 예레미야가 저자라는 사실이 입증된다. 물론 이에 대해서도 저자가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는 나름대로의 비평이 있기도 하다.

애가(哀歌)라는 이름에 걸맞게 그 내용도 바빌로니아에 의해 함락된 시온, 즉 예루살렘에 대한 슬픔과 비참함으로 일관되어 있다. 총 5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장은 예루살렘의 파괴로 인한 비참함의 묘사와 예레미야의 탄식과 애가이다. 2장은 예루살렘의 참상과 거짓 예언자의 잘못된 예언에 대한 탄식과 백성들에 대한 하느님의 진노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3장은 예레미야 한 사람의 곤궁한 처지로써 백성들을 향하여 회개를 권유하고 있다. 그리고 백성을 위하여 하느님의 자비를 구하고 있다. 4장은 다시금 예루살렘의 비참한 현실에 대한 탄식과 함께 환난의 원인인 거짓 예언자와 제사장, 이스라엘의 죄악을 기술하고 있고, 마지막으로 위로와 하느님에 대한 소망이 나타난다. 5장에서는 비참한 유다 백성의 처지를 하느님께 탄원하고 야훼에게 애타게 부르짖어 회개의 기도에 응답해주실 것을 간구하고 있다.

본서는 곧 유다 왕국과 예루살렘 성전에 임한 처참한 멸망을 애도하는 것이다. 애가의 대상은 안습한 상황에 놓인 백성들만 아니라 죄를 행한 것이기도 하다. 이것을 통하여 예레미야는 유다로 하여금 하느님의 자비로움을 깨닫고 회개함으로써 은혜를 간구해야 할 것을 호소한다. 또한 절망하지 않고 다시 확신을 가지고 하느님을 믿으면 이스라엘 민족이 다시 번영할 수 있으리라는 또다른 희망을 제시한다.

히브리어 애가는 시·노래의 형식을 따라 각 장이 EE22절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히브리 문자의 순서에 따라 각 절이 지어진 것이다. 66절로 기록된 3장이 있다고는 하지만 살펴보면 3장 또한 22절 구조라 볼 수 있겠다.

2 총몽의 등장인물

애가 무바디 항목 참고.

  1. "어찌(이렇게 슬픈가)!"라는 감탄사. '에카'라서 '애가'라고 쓴 게 아니다 (노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