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2동원보병사단

틀:군관련

대한민국 육군 보병사단
수도사단1사단2사단3사단5사단6사단
7사단8사단9사단11사단12사단15사단
17사단20사단21사단22사단23사단25사단
26사단27사단28사단30사단31사단32사단
35사단36사단37사단39사단50사단51사단
52사단53사단55사단56사단60사단61사단
65사단66사단72사단73사단75사단
기계화보병사단 보병사단 ■ 향토보병사단 ■ 동원보병사단
대한민국 육군의 동원보병사단

60사단
50px
61사단
50px
65사단

66사단

72사단

73사단

75사단


1 개요

대한민국 육군보병 사단. 1981년에 수도군단 예하 제72훈련단으로 창설되어, 1983년 제1군단으로 군단배속변경되어 제72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상비사단이 아닌 감편사단으로 예비군훈련이 주 임무이며, 전시 동원예비군으로 완편되는 부대이다. 한마디로 동원사단'

창설 당시의 부대 별칭은 오봉산부대였으나, 부대 병력들이 88 서울 올림픽을 지원하면서 [1] 노태우 前 대통령이 직접 올림픽 부대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올림픽이 끝나고 더 이상은 국내외 체육행사와 큰 연관이 없지만, 올림픽 부대라는 명칭은 사단 안팎을 가리지 않고 널리 통용된다. [2]

사단사령부의 위치는 경기도 양주시에 있다. 하지만 보통 말하는 양주 생활권하고는 거리가 멀다. 송추 끝자락에 있기 때문. 오히려 서울시 은평구와 도로로 일직선상에 있으며 구파발·연신내에서 자차로 불과 10여 분 거리이다. 의정부도 비슷한 거리에 있다.[3]

경례 구호는 올림픽 육군 범용[4]인 '충성'.
부대마크가늠자가늠쇠를 나타내며 숫자 72를 상징

2 사단가


1절

화랑의 후예들이 여기 모여서 총칼을 굳게 잡고 전기를 닦아
수도권 수호위해 신명을 바친 우리는 떨쳐나설 무적의 용사
나아가자 진군이다 싸워 이기자 그 이름 길이 빛날 72사단

2절

오봉산 정기받아 일어선 우리 송추천 맑은 물에 기량을 닦아
겨례와 나라수호 신명을 걸고 역경을 헤쳐가는 무적의 용사
나아가자 진군이다 싸워 이기자 그 이름 길이 빛날 72사단

3 예하부대 편성

  • 육군 연대급 이하 부대는 고유명칭(예 ; 육군 제 1보병연대)을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통상명칭(예 ; 육군 제3260부대)이나 애칭(예 : 한라산 부대)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 주둔지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내용 또한 작성할 수 없습니다. 내용 작성에 주의해 주세요.

예하부대 편성은 다음과 같다.

사단직할대

  • 본부근무대
  • 공병대대
  • 군수지원대대
  • 수색대대
  • 의무근무대
  • 정보통신대대
  • 화학지원대대
  • 헌병대
  • 전차대대

예하연대

  • 흑표연대오봉산 연대[5]
  • 독수리연대
  • 맹호연대
  • 불사조연대
516 포병대대
517 포병대대
518 포병대대
623 포병대대

4 특징

BBS_201507020516495360.jpg
2015년, 72사단 전차중대의 M48A3K. 출처

1개 중대의 인원이 10명 안팎이고 간부의 비중이 높다. 사단 주둔지는 물론이고 탄약고, 치장물자창고, X연대가 관리하는 예비군훈련장 등 각종 시설이 오라지게 넓기 때문에(…) 청소하고, 제초하고, 나르고, 닦고, 조이고, 기름치느라 죽어나기 십상인 전형적인 동원사단.

90년대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각 연대별로 인원 편성과 운영에 차이가 있었다. 위의 예는 201, 202연대의 경우고, 각종 훈련 위주의 200연대는 인원수나 편성이 달랐다. 중대 기준 120여명 정도의 방위병으로 완편 구성되었고, 현역병은 5~8명 정도 배정되는 형태. 훈련 위주로 운영되는 전력화 연대라서 동원 관련 업무는 주업무가 아니라 가끔 지원하는 수준이었다. 사격(소총 및 주특기 사격)과 진지보수는 물론 상비사단과 동일하게 훈련을 시행했다. 이후, 방위병의 수가 점차 줄어들면서 1995년부터는 전형적인 동원사단으로 변했지만, 90년대 당시에는 90% 이상이 방위병만으로 구성된 부대로서는 이례적으로 정규 훈련을 시행했었다.

등산객들이 자주 찾아오는 북한산 일대에 사단 주둔지가 걸쳐 있는데, 이 때문에 간혹 골치 아픈 일에 걸려든다. 사단 뒷쪽 XX초소에서 발치 직후 무리하게 등산하다 쓰러진 민간인을 초병이 발견해 간부가 달려간 적도 있었다. 또한 부대 안에, 북한산에서 흘러내려오는 수로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간혹 이곳을 정비하느라 애를 먹기도 한다.

2013년에 사단 의무대/수색대, XXX연대 1-3대대 막사 일대와 그앞 연병장에서 푸른거탑을 촬영하기도 하였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좀 슬프다. 국군 막사들이 죄다 신형 막사로 바뀌면서 옛 냄새가 나는 건물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라나... 즉 그 일대는 건물이고 뭐고 모조리 구식이라는 거(…)

사단 주둔지 바로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고, 위수 지역은 한강 이북에서 의정부까지 포함한다.

5 송추방위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까지 금곡방위[6]와 함께 유명했던 송추방위가 속해있던 사단이다. 일명 '송추방위사령부'
자세한 사항은 송추방위 문서를 참조.

6 사건사고

  • 1990년 7월 9일, 32도가 넘는 무더위 속에서 완전군장으로 행군을 하던 병사 3명이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신체 조건이 군복무에 부적합한 병사였기에 사망한 것이 아니라, 전날 새벽 4시까지 축구 경기를 보면서 음주를 한 상태에서 부대로 출근하고, 바로 몇 시간 후 훈련에 참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기사 사건의 파장이 의외로 컸는데, 그 해 전 육군 부대에서 여름에 예정되어 있던 모든 훈련이 취소되었고, 일과 또한 최소한의 경계 근무 등을 빼면 전부 실내에서 실시했고, 그나마도 상당한 시간을 오침을 실시했다고 한다. 민감한 부대에서는 낮에 담배를 좀 피우러 그늘 밖으로 나왔더니 어디선가 하사관이 튀어나와서 "너 죽고싶어 환장했어? 당장 그늘로 안 들어가?"라며 갈구기도 했다(...)는 증언도 있다.

7 미래동원 사단개편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시작된 미래동원사단 개편의 마지막 부대로, 2015년 11 월 30일 미래동원사단으로 개편되어, 부대 전투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병사 숫자를 대폭 감축해 간부 비율을 높인 점이다. 또 전차가 대대급으로 증편되고 보병연대 예하에 포병대가 창설됐다. 또 정보감시자산을 갖춘 정보대대가 직할부대로 창설됐으며 화생방장비도 크게 늘었다. 아울러 기존 정비·보수대대를 통합해 군수지원대대를 창설함으로써 더 효율적인 전투근무지원이 가능해졌다.

국방일보 유튜브 링크

8 출신인물

  1. 개/폐회식에서 매스 게임에 2500여명의 방위병력을 투입하였다.
  2. 사단 역사관에는 88 서울 올림픽 당시에 고싸움을 재현하는 매스 게임에 사용했던 '고'가 보관되어 있기도 했다.
  3. 외부 순환고속도로를 타고 송추IC에서 빠지면 바로 앞이 부대 정문이다.
  4. 군대 전체로 따지면 범용은 필승.
  5. 한참전에 바뀌었다. 정확한 날짜 기재바람
  6. 금곡방위는 73사단에 속해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