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력사박물관

(조선중앙역사박물관에서 넘어옴)
북한의 시설물
체육시설
김일성경기장 · 류경정주영체육관 · 릉라도5월1일경기장 · 마식령 스키장 · 빙상관 · 서산축구경기장 · 양각도축구경기장 · 태권도전당 · 평양보링관 · 평양체육관 · 미림 승마구락부
식사 · 숙박시설
옥류관 · 류경 호텔 · 고려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평양호텔
유희시설
문수 물놀이장 · 조선중앙동물원 · 만경대 유희장
의료시설
평양산원
정치시설
만수대 의사당
군사시설
상원동 미사일 기지 · 판문점
도로시설
고속도로#s-5.2 · 대동강의 교량 · 압록강철교
철도시설
북한의 철도 환경 · 철도 노선 정보/북한 · 평양 지하철 · 평양전차
항구시설
서해갑문 · 남포항 · 원산항 · 청진항 · 해주항 · 흥남항 · 라선항
공항시설
평양순안국제공항 · 원산국제공항 · 청진공항
기념물
평양 개선문 · 주체사상탑 · 금수산태양궁전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당창건기념탑 · 북관대첩비 · 영생탑 · 천리마동상 · 해방탑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유적지
정일봉 · 단군릉 · 보통문 · 대동문 · 동명왕릉 · 총석정 · 백상루 · 박연폭포 · 광법사 · 만월대 · 안학궁 · 대성산성 · 평양성 · 함흥본궁 · 선죽교 · 현릉 · 현정릉
세계유산
개성역사유적지구 · 평양·남포 고구려 고분군
수용소
정치범수용소
산업체
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 · 아동식료품공장 · 순천구두공장 ·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 흥남비료연합기업소 · 2.8비날론련합기업소 · 김책수산사업소 · 운곡목장
교육시설
김일성종합대학 · 김책공업종합대학 · 인민대학습당 · 평양과학기술대학 · 고려성균관 · 김책수산사업소유치원 · 자강도 강계시 동문유치원 · 천리마련합제강기업소유치원 · 평양정오1유치원 · 평양관광대학 · 미림 군사대학
박물관
과학기술전당 · 3대혁명전시관 · 당창건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조선혁명박물관 · 조선인민군 무장장비관
종교시설
장충성당 · 정백사원 · 봉수교회 · 정릉사 · 금강사


533476c2d25c9bf2efbb3b7c656ebc2c.jpg
사진 왼쪽 끝에 보이는 건물. 맞은편 오른쪽 끝에 있는 것은 조선미술력사관.

64104913.jpg

朝鮮中央歷史博物館[1]

북한평양직할시 중구역 대동문동에 있는 역사 박물관. 1945년 12월 1일에 개관.

1 개요

유홍준이 쓴 나의 북한문화유산답사기에 따르면, 조선중앙력사박물관의 전신은 1935년 모란봉 을밀대 가는 길에 세워진 일제 시대의 평양부립박물관(平壤府立博物館)으로[2] 1945년 12월 1일에 평양박물관으로 개관한 뒤, 한국전쟁으로 평양이 그야말로 석기시대 수준으로 박살(...)이 난 뒤에 시가지를 마개조복구하면서 지금의 위치인 김일성광장으로 옮겨 1954년 9월에 완공했다.

소장 유물이라고 해봐야 고구려 와당과 낙랑 시대 유물 등 평양 지역에서 나온 출토품 및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화가 다였고, 1945년 12월 1일 개관 당시 소장 유물의 수는 2천 점 정도였다. 유홍준이 북한을 답사한 1997년에는 13만 점으로 늘어났다. 유홍준에 따르면 해방 직후 초대 국립박물관장이 된 김재원 관장이 개성부립박물관을 국립박물관 개성분관으로 승격시키고(38선 그어졌을 당시에 개성은 남한이었다) 38선 근처에 박물관이 있다는 것이 불안해서 개성분관에서 전시하고 있던 유물, 특히 고려청자 명품들을 모두 서울로 옮겼는데, 한국전쟁 터지고 휴전협정 맺고 나서는 개성분관도 북한 손에 넘어가기는 했지만, 알맹이는 거의 없다시피 했고 결국 평양에 남은 2천 점이 북한 문화재의 핵심이 되었다고. 덕분에 북한은 남한보다 상당히 일찍 리플리카(정밀복제품)를 박물관에 도입하게 되었다.[3] 13만 점이라는 것은 이 리플리카까지 포함시킨 수량. 2016년 현재는 어느 정도일지 불명. 아시는 분이 추가 바람.

한국전쟁 때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해 인민군이 쫓겨가고 평양이 한미연합군에게 점령되자 평양박물관 건물은 어느 미군부대가 접수했는데, 박물관 건물 지하실에 권총사격장을 만들고 사격 연습을 하던 한 미군 병사가 표적으로 쓰던 시멘트 벽이 허술한 것을 알아챘고, 벽을 조사하다가 벽이 이중벽으로 되어 있으며 그 안에 평양박물관에서 소장했던 유물들이 숨겨져 있는 것이 드러났다. 인민군이 평양에서 퇴각하기 전 숨겨놓은 것으로 유물 가운데는 채협총(1916년 발굴조사)에서 나온 낙랑 시대의 채협칠기 유물도 있었는데, 당시 학자들이 이 유물들을 수습해 서울로 옮기려고 했지만 중국군이 참전하고 1.4 후퇴가 벌어져 실현되지는 못했다고.[4]

2 구성

박물관 내부는 모두 19호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같다.국가지식포털 북한지역정보넷

  • 1호실 - 김일성이 평양의 주요 사적을 돌아보고 찍은 기념사진들 전시박물관에다 무슨 짓거리야
  • 2, 3호실 - 평양 검은모루동굴 유적지에서 발굴된 구석기 유물[5]
  • 4~5호실 - 고조선, 부여, 진국 및 한반도 고대 국가 관련 유물 전시
  • 6~9호실 - 고구려 자료관
  • 10호실 - 주로 남쪽, 무령왕릉이나 석굴암 같은 백제, 신라, 가야 유물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복제품이다.
  • 11호실 - 발해 자료관
  • 12~14호실 - 고려시대관
  • 15~17호실 - 조선시대관
  • 18~19호실 - 근현대관. 일제 강점기 의병 및 항일 투쟁을 다루고는 있지만 그것도 김일성 및 그 일가의 활동에 대해서 몰아주기 식 전시나 설명이 많아서 상당히 껄끄럽다.(일본측 위키백과 설명으로는 고려가 원나라에 복속된 것, 조선이 청나라에 항복한 것이나 근현대 운요호 사건에 대해서는 전시가 안 되어 있다고.)

남북교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던것 같던 2006년 까지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유물 가운데 일부가 6월 13일부터 8월 16일까지 '북녘의 문화유산-평양에서 온 국보들'이라는 표제로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대여 전시되었다.[6] 8월 28일부터 10월 26일까지는 대구에서도 국립대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가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전시 당시 고려 태조 왕건의 청동상이 함께 전시되었는데, 전시 4년 전인 2002년에 방영된 사극 태조 왕건에서 주인공 왕건 역할을 맡았던 최수종이 개관 전날 특별초청되어 왕건의 청동상을 관람했고, "혼신을 다해 연기했던 분을 꼭 한 번 만나보고 싶은 생각을 가져왔는데 서울의 한복판에서 북한의 최고문화유산을 보게 돼 영광이다. 이번 기회로 통일에 한 발짝 더 다가간 느낌이다"라고 소감을 밝히기도.조이뉴스24 보도

박물관의 입지는 김일성광장의 한복판으로 일단은 좋은 편이다.[7] 북한 정부에서 주체사상에 입각한역사교육의 학습장, 문화유산을 통한 애국주의그리고 김씨 일가의 독재에 대한 합리화 배양의 장으로써 중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당장 제1관에 김일성이 어디어디에 있는 유적지를 찾아가 찍은 기념사진을 전시해 놓은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위키백과에 따르면 북한의 경제난 악화에 따라 관람객이 없을 때는 전기를 꺼놓고 있다고 하는데안습 이게 문제가 큰 것이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 가운데 실제 진품도 만만치 않은데[8] 시대가 오래된 유물인 이상 내부에서 습도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관리되지 못하면 유물 자체가 자칫 손상될 수도 있기 때문.[9][10]

3 통일 이후에는?

전술했듯 박물관의 입지는 일단 괜찮은 편이라서, 이름은 국립평양박물관 따위로 바뀌겠지만 남북통일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물론 설비들을 확충하고 체제 선전용 전시품을 철거, 이전하는 작업은 필수.
  1. 한국어로 읽으면 '조선중앙역사박물관'이 되어야 하지만, 북한은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歷史'를 '력사'로 발음한다.
  2. 해방 직후 우리나라의 박물관 사정은 우선 서울에 총독부박물관과 이왕가미술관이 있었고 나중에 이 곳이 국립박물관으로 합쳐지며, 경주와 부여에 국립박물관의 분관이 있었다. 그리고 공주에 공주고적현창회 진열실, 개성과 평양에 각각 부립박물관이 있었다.
  3. 유홍준에 따르면 아예 북한은 문화보존총국(우리나라의 문화재청) 산하에 문화유물창작사가 독립기관으로 존재하고 있을 정도라고 한다.왠지 창작이라는 말이 신경쓰이는 것은 기분 탓이겠지 물론 그 복제품이라는 것도 호모 에렉투스 시절의 검은모루동굴 풍경 상상도라던가 고인돌 끌고 가는 청동기인 모형이라던가, 대성산성 배치도나 안학궁 모형도, 안악 3호분 실물대(말 그대로 실물 크기로 박물관 안에 재현되어 있다!) 복원, 발해 상경용천부 석등 모조품 이런 것들. 남한의 박물관에서도 으레 전시되어 있는 상상모형(디오라마) 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4. 경향신문 1975년 6월 21일자 기사.
  5. 박물관에 전시된 리플리카 가운데 상원검은모루 동굴에 살았을 호모 에렉투스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가 있는데, 유홍준은 똑바로 서지 못해 꾸부정하게 걸으면서 두개골은 작고 몸에는 털이 많고 입술은 아직 생기지 않은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호모 에렉투스의 모습 그대로라고 평했다.(외국에서도 박물관에 원시인의 상상도를 설치할 때 호모 에렉투스와 호모 사피엔스를 혼동해 그냥 털 없는 원숭이를 그려 놓은 경우가 많다고). 영남대학교 이청규 교수(당시 고고학, 현재는 문화인류학)도 영남대 박물관 대학에서 강의할 때 이 상상도를 보여주면서 "호모 에렉투스를 비교적 정확히 그렸다"고 평가했다고.(출처: 유홍준 나의 북한문화유산 답사기)
  6. 이때 유물들은 평양에서 원산을 거쳐 금강산을 통해 우리나라로 전달되었다.미국의소리
  7. 일본의 고고학자인 도쿄대 사이토 다다시 교수는 평양을 방문하고 쓴 북조선 고고학의 신발견(1996년)에서 "평양시의 중심지인 김일성광장의 양측에 조선중앙력사박물관과 조선미술박물관이 마주하고 있다는 것은 이 나라가 박물관과 미술관을 얼마나 중요시하고 있는가를 무언으로 말해 주는 것이다. 이런 자리설정은 세계의 박물관에서도 유례가 드물다"고 평가했다. 유홍준도 평양을 방문하기 전까지 방송에 나오던 김일성광장의 양 옆 건물이 로동당 당사나 의사장 정도인 줄 짐작했었다고.(출처: 유홍준, 나의 북한문화유산답사기)
  8. 대표적인 것이 상원 검은모루동굴에서 나온 뗀석기나 신의주에서 발굴된 청동기 시대의 미송리식 토기.
  9. 박물관에서는 유물 보존을 위해 내부에 자체적으로 온도와 습도 조절(그리고 충해蟲害 방지)을 적절히 해 주어야 한다.
  10. 우리나라에서도 대구에 있는 화폐박물관의 경우 관람객이 없을 때 불을 꺼놓고는 있기도 하지만 유물 보존을 위한 일부 동력은 상시 돌리고 있기에, 북한의 경우 유물을 보존 관리할 박물관 내 자체적 동력을 남겨놓기는 하는지 의심스러울 수밖에 없고, 실제로도 돌리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더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