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용 신짱/극장판

< 크레용 신짱(짱구 극장판에서 넘어옴)

크레용 신짱의 극장판 목록을 다룬 문서.

1 개요

1993년 '액션가면 VS 하이그레 마왕'을 시작으로 2016년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까지 총 24개의 작품이 일본에서 개봉되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극장판의 전편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TV판은 신짱과 주변인물들이 함께 사고를 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지만, 극장판은 주로 SF, 판타지, 첩보물 등을 베이스로 원작과는 관계없는 스케일 큰 사건으로 진행되며 크게 개그계와 진지계의 특성으로 작품이 갈린다.그림체답지 않게 스펙타클한 작화, 액션, 음악, 그리고 정밀 고증으로 유명.

스토리는 거의 항상 일상 → 중2병걸린악당들로 인해 사건에 휘말려 일상의 붕괴 → 사태 해결을 위한 모험 → 일상으로의 복귀 식으로 전개된다. 신짱도 극장판에 가면 도라에몽노진구와 같이 극장판 보정으로 소년만화 주인공스러운 듬직하고 올바른 캐릭터로 변한다. 뭐 아예 사고를 안 치는 것은 아니지만 원작에 비할 바가 못 되는 수준이다.

13기,14기,17기 극장판을 제외한 8기부터 20기 극장판까지는 어째 모두 폭풍을 부르고 있다.시공의 폭풍[1][2] 나름의 전통(...). 노하라는 반드시 폭풍을 부른다 그리고 오카마(...)와 거유캐(...) 그리고 아찔한 고층건물 등이 한 번씩은 나오는 편이다.

TV 시리즈에서 하차한 스태프 중 일부는 극장판에는 계속 참여하기도 하는데, 대표적 예시로 연출 ,콘티 파트의 유아사 마사아키와 오오츠카 마사미가 있다. 특히 오오츠카 마사미의 경우는 매번 대량의 원화작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22기에서는 하라 카츠노리와 공동 캐릭터 디자인을 맡아 극장판 오리지널 캐릭터에서 오오츠카의 스타일을 느낄 수 있다.
기존 오프닝 영상을 그대로 쓴 1기 극장판을 제외하고 오프닝 영상은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게 특징이다. 일본의 유명 클레이 애니메이션 작가이며 관련 강의도 하고 있는 이시다 타쿠야의 작품이다.

제작 스타일은 크게 감동 추구와 병맛개그 추구로 나뉜다. 극장판 초기에는 액션가면VS하이그레 마왕 같은 병맛개그계가 주류였지만 어른제국의 역습 히트 이후 감동계도 많이 제작된다. 다만, 근래 극장판은 개연성 없는 전개나 억지 감동 추구로 신파극 찍는다는 느낌이 들 수도 있다. 다만 과거의 극장판 추억보정의 영향도 있고 크레용 신짱이라는 타이틀을 떼고 보면 어떤 작품을 제외하고는 못해도 B급 이상의 의 수작임에도 신 극장판들이 작품에 비해 많이 저평가된다. 18기와 21기의 경우 제법 잘 만들어진 수작 극장판임에도 불구하고 이전작품이 너무 형편없어서 잘 만든것처럼 보이는거라는 주장도 있고 심지어는 그냥 싸잡아서 쓰레기라고 까기도 한다. 13기를 기점으로 극장판 자체의 연령대 타겟이 낮아지는 것이 나타나는데 성향상 비슷한 포지션인 8기-21기, 9기-22기를 비교해도 확실하다. 혼고나 하라 체제에서 무토 유지 체제로 가면서 블랙 코드나 성적 개그의 탈색도 강해졌기 때문에 극장판도 영향을 받는 것.

주로 그 극장판의 대표가 되는 물질이 뚜렷한 경우 애니메이션에서 그에 관련된 이야기를 주제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광고한다.

2 코난과 신짱의 라이벌 관계

1997년에 처음 개봉된 명탐정 코난의 극장판과는 2005년(13기 극장판) 딱 한번[3]을 제외하고는 항상 개봉일이 겹친다. 그래서 어느 한 쪽 극장판의 개봉일이 공개되면 다른 한쪽의 개봉일을 미리 알 수 있다(...) 그래서인지 일본에선 코난 팬과 크레용 신짱 팬이 묘하게 라이벌 의식을 불태우고 있다는 카더라도 있다.

역대 크레신 극장판 개봉날 짜들을 자세히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는데, 1기를 제외하고 전부 4월 20일 전후다. 일본의 연휴 주간[4]골든 위크의 효과를 노렸기 때문이다.[5] 한국에서도 방학이나 연휴 때에 영화가 다수 개봉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그 시기를 노리고 개봉하는 영화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작품이 특별히 회자되는 건 극장판 내력이 장난 아니기 때문이 아닐까.

참고로 일본 3대 애니메이션 극장판 중 나머지 하나인 도라에몽 극장판은 위의 두 극장판보다 1달 일찍 개봉하기 때문에 짱구랑 도라에몽이 극장에서 맞붙은 적은 없다. 하지만 도라에몽은 워낙 넘사벽의 흥행파워를 갖고있기 때문에 개봉시기가 안 겹치는게 다행일지도(...)

3 국내에서

TV판보다 먼저 비디오로 1편과 2편이 소개되었으며, 이후 SBS, MBC에서 일부 극장판을 방영하기도 했다. 그러나 폭풍을 부르는 정글(비디오, MBC) 이후로 한동안 공백기였다.

2008년부터 대원방송에서 극장판 더빙을 맡고있다. 대원방송에서 녹음한 극장판들을 대원판이라고도 칭한다. 2008년부터 대원방송 계열 채널에서 첫번째 극장판부터 계속해서 방영해 주고 있으며[6] 그리고 옆동네가 TV판을 죽도록 틀어준다면 이쪽은 극장판을 죽도록 틀어주고 있다. 2009년에 엉덩이 폭탄이 처음으로 극장에 정식 개봉된 이후 2011년부터 매년 어린이날이나 겨울방학 즈음 일본에서 이전 해에 개봉되었던 극장판을 상영하고 있다. 극장 상영 시작 전에 방영된 극장판들은 그 당시 대원 성우극회가 없어서 외부 성우가 꽤 다양하게 캐스팅 됐지만 극장상영 시작후에는 이쪽도 전속 시리즈를 피해갈 순 없었다(...). 다만 도라에몽은 기존 등장인물을 제외하고 모조리 전속으로 채우는데, 이쪽은 적어도 한 두 명 정도는 외부 성우를 투입하는 편.[7] 그리고 주제가는 CJ E&M이 판권을 가지고 있어서 일본 원판으로 틀어준다. 포켓몬코리아처럼 판권을 통합할 수 없나?

대원방송에서 방송된 극장판의 경우엔 초창기에는 수위에 비해 시청가능 연령대도 상당히 낮았으며[8] 삭제된 장면들도 없이 대사 등의 몇몇 요소만 편집된 채 영상 자체는 원본 그대로 방송하였지만[9]방송심의가 강화된 이후로는 편집 및 삭제된 장면이 상당히 늘어났다. 그 중에는 통편집 된 부분이 많아서 부자연스러운 연결이 종종 있는 편이다.[10] 또한 화면수정 및 로컬라이징에 신경을 별로 안 쓰는 편인지라 일본어가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며 삽입곡도 로컬라이징이 되지 않은 적이 많았다. 심지어 비디오판 더빙에서는 번안하여 불렀던 곡들 또한 일본어 그대로 내보내는 어이없는 연출도 보여준 적이 있다. 짱구의 코끼리 춤이나 부리부리 엉덩이춤도 투니버스랑은 달리 수정면에서 보면 무성의한 편이다. 대개 블러처리로 때우는 편. 다만 몇몇 극장판에서는 투니버스랑 비슷하게 아예 바지를 입은 것처럼 수정하기도 했다. TV 방영되었던 초창기 극장판의 경우엔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 방영시에는 짱구의 코끼리 부분에 대문짝만하게 원 안에다 "금지!"라는 글을 적어놓아 붙여놓는 걸로 수정한 적도 있다.(...) 이외에 투니버스랑 같이 시작 전에 절대 따라하지 마세요!라는 의미를 담은 영상을 송출한 뒤 방송을 시작한다.

대원방송판 및 극장 개봉판의 연출은 1기부터 17기까지는 김정규, 18기는 김정령, 19기는 김정령황태훈, 20기는 황태훈, 21기와 22기는 곽영재, 23기는 황태훈, 24기는 국내 개봉 시 추가 바람.

4 역대 극장판 일람

역대 극장판은 각각의 문서를 참조바람.
몇몇만 국내 개봉 및 방영된 도라에몽 극장판과는 다르게 모두 국내 개봉 및 방영되었다.[11]

캐치프레이즈 : 없음
감독 : 혼고 미츠루
개봉일 : 1993년 7월 24일
주제가 : 카지타니 미유키(Mew)[12] - 나는 영원한 어린이(僕は永遠のお子様)
흥행수입 : 22.2억 엔 (2위)어??
캐치프레이즈 : 오옷, 내가 두 명 있다!(おおっ、オラが二人いる!)
감독 : 혼고 미츠루
개봉일 : 1994년 4월 23일
주제가 : 키시 쿄코 - 약속 See You!(約束See You!)
흥행수입 : 20.6억 엔 (4위)
캐치프레이즈 : 신짱, 세 번 대변신!(しんちゃん、3回だいへんしん!)
감독 : 혼고 미츠루
개봉일 : 1995년 4월 15일
주제가 : 스키모토 사치코 - 구해줘해구(たすけてケスタ)
흥행수입 : 14.2억 엔 (8위)
캐치프레이즈 : 나, 이 승부에서 반드시 이길거야!!(オラ、この勝負には絶対勝つぞ!!)
감독 : 혼고 미츠루
개봉일 : 1996년 4월 13일
주제가 : 히나가타 아키코 - SIX COLORS BOY
흥행수입 : 12억 엔 (공동 17위)
캐치프레이즈 :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オラたちに明日はない!?)
감독 :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 1997년 4월 19일
주제가 : 자이츠 카즈오 - 해바라기의 집(ひまわりの家)[14]
흥행수입 : 11.3억 엔 (19위)
캐치프레이즈 : 이 바보, 무섭다(このおバカ、恐るべし)
감독 :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 1998년 4월 18일
주제가 : SHAZNA - PURENESS
흥행수입 : 10.6억 엔 (21위)
캐치프레이즈 : 벗으면 무적.(脱いだら無敵。)
감독 :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 1999년 4월 17일
주제가 : 노하라 일가&온천 두근두근 '99 - 좋은 물이구나(いい湯だな)
흥행수입 : 9.5억 엔 (뒤에서 1등...)
캐치프레이즈 : 야생의 바보가 눈을 뜹니다!(野生のおバカが目をさます!)
감독 :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 2000년 4월 22일
주제가 : 코바야시 사치코 - 안녕 고마워(さよならありがとう)[15]
흥행수입 : 10.7억 엔 (20위)
캐치프레이즈 : 미래는 내가 지킨다(未来はオラが守るゾ)
감독 :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 2001년 4월 21일
주제가 : 코바야시 사치코 - 건강하세요(元気でいてね)
흥행수입 : 14.5억 엔 (7위)
캐치프레이즈 : 역사를 바꾸는 바보 등장!(歴史を変えるおバカ参上!)
감독 :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 2002년 4월 20일
주제가 : 댄스☆맨 - 이중 판타지 ~체육을 쉬는 여자아이편~(二中のファンタジー〜体育を休む女の子編〜)
흥행수입 : 13억 엔 (공동 11위)
캐치프레이즈 : 달려라 신노스케! 노하라 일가가 지명수배?(走れしんのすけ!のはら一家が指名手配?)
감독 : 미즈시마 츠토무
개봉일 : 2003년 4월 19일
주제가 : 노하라가 올스타즈 - 이런 때야말로 야키니쿠가 있다(こんな時こそ焼肉がある)
흥행수입 : 13.5억 엔 (10위)
캐치프레이즈 : 신짱, 컴백!(しんちゃん、カムバ~ック!)
감독 : 미즈시마 츠토무
개봉일 : 2004년 4월 17일
주제가 : NO PLAN - 동그라미 주자(○(マル)あげよう)
흥행수입 : 12.8억 엔 (14위)
캐치프레이즈 : 내 미래가 없어져 버린다고?! 긴급출동 3분 GO!(オラのミライがなくなっちゃう?!緊急出動3分GO! )
감독 : 무토 유지
개봉일 : 2005년 4월 16일
주제가 : AI - Crayon Beats
흥행수입 : 13억 엔 (공동 11위)
캐치프레이즈 : 춤추는 바보에 보는 바보 "전국 삼바화 계획" 진행중(踊るおバカに見るおバカ“世界サンバ化計画”進行中)
감독 : 무토 유지
개봉일 : 2006년 4월 15일
주제가 : 코다 쿠미 - GO WAY!!
흥행수입 : 13.8억 엔 (9위)
캐치프레이즈 : 시로 폭발 10초 전!(シロが爆発10秒前!)
감독 : 무토 유지
개봉일 : 2007년 4월 21일
주제가 : SEAMO - Cry Baby
흥행수입 : 15.5억 엔 (6위)
캐치프레이즈 : 선택받은 "바보"의 전설과 모험이 시작된다!(選ばれし“おバカ”の伝説と冒険が始まる!)
감독 : 혼고 미츠루
개봉일 : 2008년 4월 19일
주제가 : DJ OZMA - 인기인으로 가자!(人気者で行こう!)
흥행수입 : 12.3억 엔 (16위)
캐치프레이즈 : 풀어라, 바보 본능(解き放て、おバカ本能)
감독 : 시기노 아키라
개봉일 : 2009년 4월 18일
주제가 : 제로 - 응석 길(やんちゃ道)
흥행수입 : 10억 엔 (22위)
캐치프레이즈 : 나, 결혼합니다.(オラ、ケッコンします。), 미래도 사랑도 그 손으로 잡아라!(未来も愛もその手でつかめ!)
감독 : 시기노 아키라
개봉일 : 2010년 4월 17일
주제가 : mihimaru GT - 축하해(オメデトウ)
흥행수입 : 12.5억 엔 (15위)
캐치프레이즈 : 아빠, 엄마. 사실은 나, 스파이입니다.(父ちゃん母ちゃん 実はオラ、スパイです。)
감독 : 마스이 소이치
개봉일 : 2011년 4월 16일
주제가 : 칸쟈니∞ - 옐로우 팬지 스트리트(イエローパンジーストリート)
흥행수입 : 12억 엔 (공동 17위)
캐치프레이즈 : 안녕, 히마와리(さよなら、ひまわり), 바보, 때로는 오빠. 우주도 흔들 5살의 결단!!(おバカ、ときどき、兄 宇宙も揺るがす、5才の決断!!)
감독 : 마스이 소이치
개봉일 : 2012년 4월 14일
주제가 : 이동복도주행대7 - 소년이여 거짓말을 하라!(少年よ 嘘をつけ!)
흥행수입 : 9.8억 엔 (23위)
캐치프레이즈 : 불타라! 야키소바!! 타올라라! 우정!!(燃えよ!焼きそば!! 焦がせ!友情!!)
감독 : 하시모토 마사카즈
개봉일 : 2013년 4월 20일
주제가 : SEKAI NO OWARI - RPG
흥행수입 : 13억 엔 (공동 11위)
캐치프레이즈 : 로봇,그래도 아빠.(ロボ、でも父ちゃん。)
감독 : 타카하시 와타루
개봉일 : 2014년 4월 19일
주제가 : 캬리 파뮤파뮤 - 패밀리 파티(ファミリーパーティー)
흥행수입 : 18.2억 엔 (5위)[16]
캐치프레이즈 : 고마워 카스카베. 안녕 카스카베.(ありがとうカスカベ。さようならカスカベ。)
감독 : 하시모토 마사카즈
개봉일 : 2015년 4월 18일
주제가 : Yuzu(ゆず) - OLA!!
흥행수입 : 22.8억 엔 (1위)[17]
캐치프레이즈 : 눈을 떠라, 신노스케(目覚めよ、しんのすけ。), 이 남자, 자고 있어도 최강(この男、寝てても最強。)
감독 : 다카하시 와타루
개봉일 : 2016년 4월 16일
주제가 : 케츠메이시(ケツメイシ) - 친구야 앞으로도 계속...(友よ〜この先もずっと…)
흥행수입 : 21.1억 엔 (3위)
캐치프레이즈 :
감독 :
개봉일 : 2017년 4월 15일
주제가 :
흥행수입 :

4.1 국내에서 방영 & 개봉된 극장판 목록

  1. 태풍을 부르기도 한다.
  2. 참고로, 국내판의 경우에는 9기가 국내판 한정으로 "폭풍을 부르는~"에서 제외되었고 13,14기는 "전설을 부르는~" 이라고 표기되었다. 24기에는 폭풍은 붙었으나 원제는 폭발적인 수면을 의미하는 폭수(爆睡)로 전작들의 폭풍을부르는(嵐を呼ぶ)과 관련이 없다.
  3. 당해 명탐정 코난의 극장판 수평선상의 음모는 4월 9일에, 본작의 극장판 부리부리 3분 대진격은 4월 16일에 개봉하였다. 참고로 2005년엔 같은 제작사, 방송사의 간판작 도라에몽이 제작진, 성우진을 교체하는 리뉴얼 작업을 한 터라 극장판이 개봉되지 않았다.
  4. 연휴 기간이 추석 연휴와 비슷한 규모다.
  5. 해당 문서에도 기술되어 있다.
  6. 기존에 한국에 수입된 작품들은 전부 재더빙되었다.
  7. 단,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는 제외.
  8. 대개 7~12세로 방영하였다. 심의 강화 후에는 7세였던 극장판 대부분이 시청가능 연령대가 15세가 되었다.
  9.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에서 부리부리자에몽과 짱구가 서로 그곳을 움켜쥐는 장면 같은 것도 아무렇지 않게 방송되었다. 또한 어른제국의 역습처럼 원본의 대사보다 훨씬 수위가 세게 초월번역으로 번역된 경우도 있긴 했다. 물론 심의 강화후에는 이러한 장면들은 삭제되었다.
  10. 그 중 대표적인게 푹풍을 부르는! 석양의 카스카베 보이즈에서 노하라 미사에, 신노스케 모자가 저스티스 러브에게 채찍질을 맞는 장면이 어른이 봐도 수위가 커서 통편집되서 갑자기 붕대를 매는 장면이 나오는데 개연성이 떨어졌다.
  11. 도라에몽 극장판은 1981년 ~ 1998년 극장판은 개봉 및 방영이 안되었고, 1999년 ~ 2004년, 2008년 ~ 2009년 극장판은 개봉을 안한 대신 방영되었다. 2006년~2007년, 2010년 이후 극장판은 극장에 개봉되었다.
  12. 세일러문 SuperS 2기 엔딩 '나답게 살거에요'의 그 Meu이다.
  13. 짱아(히마와리)의 첫 출연극장판이다. 이전 극장판까지 짱아가 안 나왔던 이유는 본편 애니메이션에서 아직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짱아는 애니메이션 처음부터 나온게 아니라 중간에 태어났다. 당연히 봉미선의 임신과 짱아의 탄생에 대한 에피소드가 있다.
  14. 여기서 해바라기(히마와리)는 짱아를 뜻하기도 한다.
  15. 이 노래는 우스이 사망 당시, 팬들이 만들어 낸 추모영상의 노래가 되었다.
  16. 2014년 기준 3위였으나 나중에 두 후속작 때문에 5위로 밀려났다.
  17. 7월 7일 기준. 6월 3일 흥행 2위였던 2기 극장판 기록을 넘었으며, 6월 28일을 기점으로 22년간 흥행 1위였던 1기 극장판 기록도 넘어서며 역대 1위에 등극했다.
  18. 짱구아빠 신형만의 성우 오세홍 성우의 마지막 더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