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역

병기역명이 경기대인 신분당선의 역에 대해서는 광교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 지하철
2호선
외선순환
아 현

0.8 km
충정로
경기대입구 (243)

1.1 km
내선순환
시 청
5호선
방화 방면
애오개

0.9 km
충정로
경기대입구 (531)

0.7 km
상일동, 마천 방면
서대문
충정로(경기대입구)

다국어 표기
영어Chungjeongno
(Kyonggi Univ.)
한자忠正路(京畿大入口)
중국어忠正路
일본어チュンジョンノ
역번
서울 지하철 2호선243
서울 지하철 5호선531
300px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경기대입구)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지하 17
(舊 충정로3가 295-60)
서울 지하철 5호선
충정로(경기대입구)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지하 28-1
(舊 충정로3가 248-1)
서울 지하철
운영기관" />?width=100
2호선 개업일1984년 5월 22일
운영기관 100px
5호선 개업일1996년 12월 30일

忠正路(京畿大入口)驛 / Chungjeongno(Kyonggi Univ.) Station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243번.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지하 17(舊 충정로3가 295-60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5호선 531번.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지하 28-1(舊 충정로3가 248-1번지) 소재.

2 역 정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와 중구 중림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으로, 2호선은 서울메트로에서, 5호선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에서 관리한다. 2호선 충정로역은 처음부터 충정로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역했는데 주소지는 충정로3가가 맞지만 충정로가 아니라 서소문로 지하에 위치해 있다. 사실 이마저도 엄밀히 말하면 중구 중림동과 반반씩 걸쳐 있다. 이 구간에서 서소문로가 서대문구와 중구의 경계선 역할을 하기 때문. 5호선 충정로역은 충정로 지하에 있다.

충정로의 '충정'은 구한말대신으로 을사조약 때 자결한 민영환시호인 충정공(忠正公)에서 따온 이름이다. (충정로는 민영환의 호에서 유래되었지만 충정공이라는 시호가 민영환에게만 하사된 것은 아니다. 예로 사육신 박팽년도 충정공.) 일제강점기 당시의 이름은 죽첨정(竹添町, 다케조에마치)으로, 초대 주조선 일본 공사이면서 갑신정변에도 가담했던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해방 이후 개칭된 이름이 바로 충정로.

2.1 승강장

2.1.1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
시청
서울 지하철 2호선합정·당산·신도림·사당 방면
서울 지하철 2호선시청·동대문역사문화공원·왕십리·성수 방면

2.1.2 서울 지하철 5호선

애오개
서대문
서울 지하철 5호선공덕·신길·우장산·방화 방면
서울 지하철 5호선광화문·천호·상일동·마천 방면

3 역 주변 정보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는 오히려 서대문역에서 더 가깝다. 덕분에 신입생들은 병기역명에 낚이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다만, 마을버스를 이용할 경우 충정로역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5호선 충정로역과 2호선 충정로역 사이에 종근당 본사 건물이 위치하며, 4번출구에서 내려 300m만 걸어가면 서소문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2호선이 다니는 길로는 서소문 고가도로가 있다.(그래서 섬형이다.)

이외에도 주한 프랑스대사관, 동아일보 본사(세종로의 미디어센터 사옥은 이와 별개다), 골든브릿지투자증권의 사옥이 있기도 하다. 이 건물은 과거 화장품 회사인 피어리스의 본사 사옥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4 충정로역의 막장환승

500px
위 사진 모두 서울메트로 또는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작성한 역 구조 안내도로, 이 곳에선 "공정사용"의 개념으로 원작자에게 특별한 허락은 구하지 않고 이용하고 있다.


5호선→2호선으로 갈아탈 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지하 5층에서 지하 2층으로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올라간다.
2. 잠실역 환승과 맞먹는 길이의 환승 통로를 건넌다. '그런데다가 커브에 오르막이기까지 하다. 사실, 얼핏 눈으로 보면 평지로 보이는데, 걸을 때 몸이 뒤로 쏠리는 느낌이 든다. 분명 평지를 걷는 것 같은데 왜 오르막을 오르는 느낌이 나는걸까. 단 2호선에서 거꾸로 내려올 때는 내려가는 느낌이 분명 든다. 참고로, 환승통로가 상당히 굴곡이 있는데, 이유는 2호선 충정로역과 5호선 충정로역 사이에 우뚝 서 있는 종근당 건물 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건물을 피해서, 최대한 피해 안 가게 환승통로를 뚫어야 하니까.
3. 지하 3층으로 내려간다.

이러한 탓에 2호선에서 5호선을 환승할 때에는 내려가는 느낌이지만, 반대로 5호선에서 2호선을 탄다면

고저차가 있는데다가, 살짝 휘어진 탓에 얼핏 보면 고속도로 터널같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5호선 → 2호선으로 환승을 편하게 하려면 을지로4가역이나 왕십리역을 이용하자. 그 외에 영등포구청역도 있으나, 2호선 내선과의 환승은 무조건 피할 것. 2호선 내선과의 환승통로가 없어서 외선으로 건너가서 환승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까치산은 2호선 지선이어서 제외)

같은 지하 2층이어도 5호선과 2호선은 높이가 다르다. 직접 충정로역 출구로 가 보면 알겠지만 5호선 충정로역과 2호선 충정로역은 지대 차이가 은근히 심하다.

충정로삼거리에서 5호선 충정로역 방면으로 내리막길이 꽤 급하게 이어지지만, 2호선 충정로역 방면으로는 오히려 오르막이다. 2호선 충정로역과 5호선 충정로역 사이에 종근당 건물 및 연결 통로가 있는데, 2호선 출구 쪽으로 나가면 지하 1층이지만, 5호선 출구 쪽으로 나가면 거의 지상이다.

종합운동장역이 이 역의 형태를 완벽하게 물려받을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환승시 오르락내리락하는 구조 외에는 충정로역보다 환승 거리가 훨씬 짧다. 경사진 커브길로 악명높은 환승통로는 다행히 종합운동장역에 없다.

5 트리비아

상일동 방면 3-3 앞에 있는 '5호선 타는 곳 안내'를 보면 왕십리역 옆에 국철이란 명칭이 남아있다. 참고로 그 표지판을 잘 보면 김포공항역 환승마크가 위아래 뒤집힌채로 붙어있다.

한 때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 당시 모 의원은 근처의 경의선 선로에 충정로역을 설치하여 환승역으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했었다. 그러나 구조상 경의선 선로에 역을 설치하고 환승통로를 만드는 것도 난공사이며 현재 1시간에 1대꼴로 배차되고 있는 신촌역 경유 경의선 열차를 위해 역을 설치하는 것도 타당성이 없는 이야기이다.

6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2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8,305명9,298명10,122명10,748명11,247명11,007명11,127명11,450명11,191명11,378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11,818명11,833명12,539명12,445명11,928명11,464명
서울 지하철 5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554명4,101명3,819명3,605명3,863명3,880명3,967명3,988명3,901명3,930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4,063명4,097명4,515명5,083명4,921명4,75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