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해양경비안전본부
- 참조 항목 : 해양경찰대 전력화 계획
해양경비안전본부가 운용 중인 경비함 | |||||
해우리급 | 태극급 | 한강급 | 제민급 | 태평양급 | 삼봉급 |
현대의 대한민국 해군 함선 | ||
잠수정/잠수함 | 코스모스급R 돌고래급R, 장보고급, 손원일급, (KSS-III) | |
고속정 | 백구급R, 참수리급, (PKX-B) | |
고속함 | 윤영하급 | |
경비함/정CG | P-정CG 해누리급CG,해우리급CG, 태극급CG, 한강급CG, 제민급CG, 태평양급CG, 삼봉급CG | |
초계함/정 | 백두산급R, 수성급R, 노량급R, 거진급R, 신성급R, 동해급R, 포항급 | |
호위함 | 두만급R, 울산급, 인천급, (대구급) | |
호위구축함 | 경기급R, 충남급R, 경북급R | |
구축함 | 해외도입 | 충무급R, 대구/인천R, 광주급R, 충북급R |
한국형 | 광개토대왕급, 충무공 이순신급, 세종대왕급, (KDDX) | |
상륙정 | 서울급R, LSF-1R, LSF-2, 무레나급, 물개급 | |
상륙함 | LPH | 독도급 |
LPD | 천왕봉급 | |
LST | 천안급R, 운봉급R, 고준봉급 | |
LSSL | 영흥만급R | |
LSM | 대초급R, 시흥R | |
항공모함 | ||
기뢰전함 | 기뢰부설함 | 풍도급R, 원산급, 남포급 |
기뢰소해함 |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 |
구조함 | 창원급R, 청해진, 평택급R, 통영급 | |
군수지원함 | 소양급(초대)R, 천지급, (소양급(2대))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윗첨자CG : 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 함선 ※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 | ![]() | ||
![]() | ![]() | ||
2차 세계대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냉전 | |||
![]() | ![]() | ||
현대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최신형 3세대 300톤급 경비함 '해우리 22호'
목차
1 개요
대한민국 해양경비안전본부가 운용하는 250톤 및 300톤급 중형경비함이다. 1978년부터 현재까지 총 48척이 건조되었다. 현재는 24척이 운용중이고 나머지는 모두 퇴역하였다. '해우리'라는 명칭은 2003년에 만들어졌다. 그 전까지는 각 함마다 국내 산의 이름을 딴 고유의 함명이 있었으나 이후 모든 함명이 해우리 1호,2호...등으로 개명되었다.[1]
2 250톤급 경비함
![]() | ![]() | |
1978~86년 건조분 250톤급 함정. 현재는 전량 퇴역 | 1987,88년 건조분 250톤급 함정. 총 2척 모두 완도서 배치중. |
최초의 해우리급은 250톤 경비함이었다. 863함 피격사건 이후 수립된 해양경찰대 전력화 계획에 의해 1978,79년도 건조분 각 7척, 1980년도 건조분 4척, 81년도 건조분 5척 등 23척을 건조하였다. 이후 1986,88,89년 3척이 추가로 건조되었다. 현재는 88,89년도 건조분인 완도의 278,279함 2척만 남아있고 나머지는 모두 퇴역하였다. 남은 2척도 건조된지 30년이 다되어가기 때문에 2020년전까지 모두 퇴역할 예정이다.
주무장은 선수의 20mm MK-16 연장기관포 1문과 선미의 MK-16 단장기관포 2문이나 일부함정은 2000년대에 들어서 노후화로인해 선수에는 20mm 발칸포로 선미에는 50구경 쌍열중기관총으로 교체하였다. 후기형 3척은 건조당시 선수에는 40mm 자동포(40L60K 혹은 브레다)를 장착했으나 2000년대에 모두 발칸포로 다운그레이드 되었다.
2.1 250톤급 제원
항목 | 251함~276함[2] | 277함 | 278함,279함 | |
만재배수량 | 280t | 300t | 300t 이상 | |
전장 | 47.7m | 53.1m | ||
폭 | 7.1m | 7.3m | ||
흘수 | 2.2m | 2.4m | 2.3m | |
항속거리 | 4000마일 | 2480마일 | 2500마일 | |
속도 | 25노트 | 28노트 | ||
추진기 | FPP | |||
엔진 | MTU 16V 538 TB91 (3390hp) ×2 | MTU 20V 538 TB91 (4150hp) ×2 |
2.2 250톤급 함정 목록
함번 | 함명[3] | 준공일 | 퇴역일 | 건조금액 | 건조사 | |
1978년도 건조분 | ||||||
1 | 251 | 명지산 | 1979년 10월 26일 | 2011년 2월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2 | 252 | 계방산 | 1979년 11월 21일 | 2010년 8월 24일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3 | 253 | 옥석산 | 1979년 10월 29일 | 2011년 5월 10일 | 11.8억원 | 대한조선공사 |
4 | 255 | 팔공산 | 1979년 12월 19일 | 2008년 12월 10일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5 | 256 | 보현산 | 1979년 11월 30일 | 2010년 4월 5일 | 11.8억원 | 대한조선공사 |
6 | 257 | 주왕산 | 1979년 12월 29일 | 2008년 12월 18일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7 | 258 | 가야산 | 1979년 12월 14일 | 2008년 | 11.8억원 | 대한조선공사 |
1979년도 건조분 | ||||||
8 | 259 | 치악산 | 1980년 7월 30일 | 2008년 12월 18일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9 | 260 | 통고산 | 1980년 8월 10일 | 2009년 9월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10 | 261 | 지리산 | 1980년 9월 30일 | 2009년 12월 21일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11 | 262 | 무등산 | 1980년 9월 30일 | 2009년 10월 30일 | 11.8억원 | 코리아타코마 |
12 | 263 | 내장산 | 1980년 10월 13일 | 2008년 12월 26일 | 11.8억원 | 대한조선공사 |
13 | 265 | 계룡산 | 1980년 11월 14일 | 2011년 11월 8일 | 11.8억원 | 현대중공업 |
14 | 266 | 속리산 | 1980년 11월 28일 | 2011년 4월 9일 | 11.8억원 | 현대중공업 |
1980년도 건조분 | ||||||
15 | 267 | 덕유산 | 1981년 9월 30일 | 2013년 3월 28일 | 17.2억원 | 코리아타코마 |
16 | 268 | 백운산 | 1981년 10월 15일 | 2011년 11월 8일 | 17.2억원 | 코리아타코마 |
17 | 269 | 소백산 | 1981년 10월 10일 | 2011년 | 17.2억원 | 대한조선공사 |
18 | 270 | 원효산 | 1981년 10월 10일 | 2010년 5월 17일 | 17.2억원 | 대한조선공사 |
1981년도 건조분 | ||||||
19 | 271 | 태백산 | 1982년 7월 31일 | 2013년 6월 27일 | 21.9억원 | 대한조선공사 |
20 | 272 | 설악산 | 1982년 7월 31일 | 2010년 2월 22일 | 21.9억원 | 대한조선공사 |
21 | 273 | 마니산 | 1982년 7월 31일 | 2008년 6월 27일 | 21.9억원 | 대한조선공사 |
22 | 275 | 오대산 | 1982년 7월 31일 | 2012년 1월 31일 | 21.9억원 | 대한조선공사 |
23 | 276 | 금정산 | 1982년 12월 15일 | 2008년 10월 24일 | 21.9억원 | 대한조선공사 |
1986년도 건조분 | ||||||
24 | 277 | 금산 | 1986년 12월 10일 | 2014년 8월 20일 | 62.7억원 | 코리아타코마 |
1987년도 건조분 | ||||||
25 | 278 | 북한산 | 1988년 12월 24일 | 78.8억원 | 현대중공업 | |
1988년도 건조분 | ||||||
26 | 279 | 철마산 | 1989년 12월 30일 | 95.5억원 | 대우조선해양 |
3 300톤급 경비함
![]() | ||
300톤 1세대.(300~303함,1990~94년 건조) | 300톤 2세대. (305함~307함,2000~02년 건조) 구도색 시절 함정사진. |
1988년 해상치안 수요 등 해난사고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300톤급 구난함을 건조하기 위해 연차적 계획이 수립되었고, 이에 의거해 노후된 150함은 301함으로, 208함은 302함으로 대체 건조하고, 303함은 신조 건조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와 별도로 기존에 교육훈련함으로 운용되던 300함[4] 1992년 신조 경비함으로 대체 건조를 추진하였다. 1세대 300톤급 경비함 4척은 조난어선 구조 및 수색, 범법선박 검거 등의 업무를 담당해왔다.
2세대 300톤급 경비함은 1999년도 노후함정 대체계획에 따라 당시 운항 중인 305함을 대체 건조하였고 그 이듬해인 2000년에는 선령 초과로 노후대체가 시급한 200톤급 함정인 206함을 306함으로, 207함을 307함으로 증톤하여 대체 건조했다.
3세대 300톤급 경비함은 기존의 250톤급 경비함들의 교체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2005년경 부터 건조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250톤급과 동시기에 건조된 1000톤, 500톤급 경비함을 모두 교체하려면 1조원에 육박하는 엄청난 재원과 10년이상의 사업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사업추진에 큰 난제가 되었다. 당시 대통령이었던 노무현 대통령이 민간선박 펀드자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거북선 펀드'사업이 추진되었고 15척이 3세대 300톤급 경비함으로 대체 건조되었다. 전체적인 설계는 동시기에 대체 건조되는 500톤급과 공유하고 있다.
2016년 조선업 불황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계획에 잡혀있던 해경함정 총 30척을 조기발주해서 조선업계를 지원한다. 2020년까지 500톤급 3척이 신규건조되고 5척이 노후대체 건조된다. 현재의 500톤급 경비함들이 건조된지 10년도 채 되지않은것으로 보아 건조된지 30년이 다 되어가는 250톤급(278,279함)과 300톤급 1세대 경비함들(300함~303함)이 증톤되어 노후대체 건조하는 것으로 보인다.[5]
300톤급의 함정은 단정을 크레인을 통해 양/하강을 하는것이 500톤과의 차이점이다.
300톤급 함정에 관한 사진은 여기를 참조.
3세대 300톤급의 함교와 현측통로 형상은 해군의 PKMR 고속정과 유사하다.
3.1 300톤급 제원
항목 | 1세대 [6] | 2세대 [7] | 3세대 [8] | |
배수량 | 430t 또는 474톤(300함) | 410 t | 460 t | |
전장 | 53.7m 또는 55.9m(300함) | 55.4m | 57m 또는 58m(321,322함) | |
폭 | 7.4m 또는 7.6m(300함) | 8.3m | 8.5m | |
흘수 | 2.6m | 2.2m | 2.3m | |
높이 | 14m | 14.7m | ||
항속거리 | 2100마일 | 2000마일 | ||
속도 | 19노트 또는 18노트(300함) | 30노트 | 35노트 | |
추진기 | CPP | FPP | 워터제트 | |
엔진 | MTU 16V 396 TB83(2253hp)×2 | MTU 12V 1163 TB93(5854hp)×2 | MTU 16V4000 M90(3650hp)×4 | |
무장 | 20mm 발칸 ×1, 50구경 쌍열중기관총 ×1 또는 20mm 발칸포 x2(3세대 일부) |
3.2 300톤급 함정 목록
함번 | 함명[9] | 준공일 | 인수일 | 건조금액 | 건조사 | |
1세대 | ||||||
1 | 300 | 함백산 | 1994년 3월 30일 | 1994년 4월 14일 | 34.1억원 | 현대중공업 |
2 | 301 | 도봉산 | 1990년 4월 14일 | 1990년 4월 29일 | 20.0억원 | 대우중공업 |
3 | 302 | 한라산 | 1990년 12월 15일 | 1990년 12월 30일 | 28.8억원 | 현대중공업 |
4 | 303 | 용문산 | 1991년 12월 20일 | 1991년 12월 30일 | 28.2억원 | 현대중공업 |
2세대 | ||||||
5 | 305 | 일월산 | 2000년 9월 25일 | 2000년 10월 5일 | 80억원 | 한진중공업 |
6 | 306 | 삼각산 | 2001년 11월 23일 | 2001년 12월 1일 | 106.5억원 | 한진중공업 |
7 | 307 | 백암산 | 2002년 9월 10일 | 2002년 9월 26일 | 111.9억원 | 한진중공업 |
3세대 | ||||||
8 | 308 | 해우리8호 | 2008년 12월 9일 | 2008년 12월 26일 | 178.5억원 | 한진중공업 |
9 | 309 | 해우리9호 | 2009년 1월 15일 | 2009년 1월 31일 | 178.5억원 | 한진중공업 |
10 | 310 | 해우리10호 | 2009년 2월 11일 | 2009년 2월 24일 | 178.5억원 | 한진중공업 |
11 | 311 | 해우리11호 | 2009년 2월 26일 | 2009년 3월 10일 | 178.5억원 | 한진중공업 |
12 | 312 | 해우리12호 | 2009년 12월 7일 | 2009년 12월 18일 | 170.0억원 | 대우조선해양 |
13 | 313 | 해우리13호 | 2010년 1월 27일 | 2010년 2월 9일 | 170.0억원 | 대우조선해양 |
14 | 315 | 해우리15호 | 2010년 3월 22일 | 2010년 3월 27일 | 170.0억원 | 대우조선해양 |
15 | 316 | 해우리16호 | 2011년 4월 13일 | 2011년 4월 27일 | 176.5억원 | 한진중공업 |
16 | 317 | 해우리17호 | 2011년 5월 18일 | 2011년 5월 31일 | 176.5억원 | 한진중공업 |
17 | 318 | 해우리18호 | 2011년 7월 4일 | 2011년 7월 12일 | 176.5억원 | 한진중공업 |
18 | 319 | 해우리19호 |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1월 13일 | 170.6억원 | 현대중공업 |
19 | 320 | 해우리20호 | 2012년 1월 10일 | 2012년 1월 27일 | 170.6억원 | 현대중공업 |
20 | 321 | 해우리21호 | 2013년 5월 3일 | 2013년 5월 15일 | 156.7억원 | STX조선해양 |
21 | 322 | 해우리 22호 | 2013년 8월 5일 | 2013년 8월 15일 | 156.7억원 | STX조선해양 |
22 | 323 | 해우리 23호 | 2014년 10월 | 2014년 10월 29일 | 186억원 | 한진중공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