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해양경비안전본부
해양경비안전본부가 운용 중인 경비함 | |||||
해우리급 | 태극급 | 한강급 | 제민급 | 태평양급 | 삼봉급 |
현대의 대한민국 해군 함선 | ||
잠수정/잠수함 | 코스모스급R 돌고래급R, 장보고급, 손원일급, (KSS-III) | |
고속정 | 백구급R, 참수리급, (PKX-B) | |
고속함 | 윤영하급 | |
경비함/정CG | P-정CG 해누리급CG,해우리급CG, 태극급CG, 한강급CG, 제민급CG, 태평양급CG, 삼봉급CG | |
초계함/정 | 백두산급R, 수성급R, 노량급R, 거진급R, 신성급R, 동해급R, 포항급 | |
호위함 | 두만급R, 울산급, 인천급, (대구급) | |
호위구축함 | 경기급R, 충남급R, 경북급R | |
구축함 | 해외도입 | 충무급R, 대구/인천R, 광주급R, 충북급R |
한국형 | 광개토대왕급, 충무공 이순신급, 세종대왕급, (KDDX) | |
상륙정 | 서울급R, LSF-1R, LSF-2, 무레나급, 물개급 | |
상륙함 | LPH | 독도급 |
LPD | 천왕봉급 | |
LST | 천안급R, 운봉급R, 고준봉급 | |
LSSL | 영흥만급R | |
LSM | 대초급R, 시흥R | |
항공모함 | ||
기뢰전함 | 기뢰부설함 | 풍도급R, 원산급, 남포급 |
기뢰소해함 |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 |
구조함 | 창원급R, 청해진, 평택급R, 통영급 | |
군수지원함 | 소양급(초대)R, 천지급, (소양급(2대))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윗첨자CG : 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 함선 ※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미국 | 독일 제국 | ||
러시아 제국 | 영국 | ||
2차 세계대전 | |||
미국 | 일본 제국 |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폴란드 | 프랑스 | ||
스웨덴 | 핀란드 | ||
중화민국 | 만주국 | ||
냉전 | |||
소련 | 동독 | ||
현대전 | 미국 | 일본 | |
대한민국 | 인도 | ||
중화민국 | 러시아 | ||
영국 | 중국 | ||
프랑스 | 태국 | ||
독일 | 이탈리아 | ||
스페인 | 호주 | ||
북한 |
목차
1 개요
대한민국 해양경비안전본부 (구 대한민국 해양경찰) 소속의 대형경비함이며 배수량은 3000톤급으로[2]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보다 큰 배수량이며 5000톤급 삼봉호를 제외하면 해양경찰이 보유한 가장 큰 함정이며 현재 해양경찰의 주력 경비함정이다. 94년부터 2015년까지 13척이 건조,배치되어있다. 헬기 착륙장과 격납고등이 설치되어 있어 보다 입체적인 작전이 가능하고 무장은 함정에 따라 20mm 발칸포, 40mm 함포를 장비하고 있다. 매년 해경본부의 국외합동훈련시 이 함급의 경비함들중 한척이 한달가량 동원된다.(주로 중국,일본이나 동남아국가들을 방문한다)
해군 복무자 입장에서 보면 굉장히 부러운 점이 많은 함종이다. 제일 오래된 함정도 광개토대왕급과 비슷한 함령이고 전투임무가 주가 아닌 만큼 무장과 센서가 간략하니 여유 공간이 많아 소수가 방에서 생활하는 점, 운동시설/사우나실 비치 등등 복지도 해군함정보다 훨씬 좋고 대형함정답게 내파성과 항해성이 우수하며[3] 출동일정의 변수가 적고 예측가능하다는 엄청난 장점이 있다. 해군함정은 크기가 비슷해도 무장과 각종 전투장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고 데미지 컨트롤과 전투력 유지를 위해 인원도 많이 태우며 불시에 상황걸리는 일이 잦아 이런 호사는 못 누린다.
어느 경찰서가 땡보인지 아닌지를 알고 싶으면 이 급수의 경비함정이 있는가 없는가를 보면 된다. 당연히 없어야 땡보다. 단순한 농담이 아닌게, 이 배는 그만큼 치안 수요가 큰 해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대륙의 어선이나 열도의 대륙침략 야욕을 지켜보는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급의 경비함정이 두 척 이상인 곳들도 있는데 이것은 그만큼 해당 해역이 치안 수요가 장난 아니게 크며 외국 세력의 간섭도 심한 곳이기 때문이다.
이 중 제주와 서귀포에는 각각 2척씩 있지만 둘 다 같은 섬에 있으니, 이 섬이 대한민국 안보에 얼마나 중요한 섬인지 상상이 가겠는가?[4] 대륙어선들의 불법조업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이어도 해역 경비, 넓디 넒은 제주 남방 관활해역에서의 치안유지에 북한[5]까지 모두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6]
1.1 1세대 3000톤급 경비함 - 3001함
3000톤급에서 제일 먼저 건조된 3001함은 다른 3000톤급들과 비교해 외형이 매우 독특한데 경비함의 임무보다는 구난함의 임무를 위해 건조된 통영함의 20년전 해경 버전이기때문이다.[7] 1980년대 중반까지 중·소형 함정으로 연근해에서 경비 임무를 수행하던 해양경찰은 인접국인 일본과 비교해 세력이 열악했고, 기상 악화 시 해난구조 임무 수행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때부터 광범위한 해역에서 업무를 수행할 3000톤급 다목적 함정 도입을 추진하던 중 1988년 2월 24일 경북 포항 동방 1마일 해상(수심 96m)에서 침몰한 유조선 경신호 구조에 대형 함정 필요성을 제기하여 국내 기술로 3년 9개월 만에 건조해 1994년 1세대 3000톤급이 취역했다. 3001함은 해저 500~1000m까지 탐색할 수 있는 음파탐지기와 무인원격조종카메라, 150m까지 분사가능한 소화장비, 시간당 유출유 15톤을 회수할 수 있는 해양오염방제장비를 갖춘 다목적 구난함이다. 또한 25만톤급 선박을 예인할수 있는 예인기와 200톤급 이하의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는 구난장비를 구비하고 있으며 해난사고시 신속한 인명구조를 위해 헬기 1대를 탑재할 수 있다.
3001함의 취역을 계기로 경비위주의 고속선형의 중소형 함정에서 현재의 해난구조와 민생치안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다목적용의 함정운용체제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이후 본래 함 건조 목적중 하나인 구난임무에 운용되지 않고 다른 일반 해경함정들 처럼 경비임무만 맡다보니 구난장비들의 관리부실 및 운용요원 부재로인해 구난함의 기능은 상실되었다. 이 사실은 함 건조후 10년뒤인 2004년 국정감사에서 밝혀진뒤 2016년 현재까지도 함 껍데기만 구난함이지 실상은 일반경비함과 똑같이 운용되고있다.[8] 보통 해경함들이 30년 주기로 노후대체 되는 것을 보면 2020년대 초반 퇴역될때까지 구난함의 기능이 부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9]
1.2 2세대 3000톤급 경비함 - 3002함
1994년 제주도 연안과 동중국해에서 발생하는 각종 해난사고 구조 및 해상치안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세대 3000톤급 함정 건조가 추진됐다. 1998년 도입한 2세대 3000톤급 함정인 3002함은 수색,구조,예인,소화,긴급 해상수리, 해상 보급 등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으로서 태평양2호로 명명됐다. 획기적인 내파성능 개선을 위해 첨단 선형으로 대폭 개선하였고 헬기 이착륙 갑판의 길이를 기존 17m에서 36m로 늘렸다. 기존 함정 대비 추가시설로는 시체보관실, 피의자조사실, 조난자 수용실 등을 설비했으며 횡요성능 개선을 위해 빌지킬 확대와 갑판 간 높이를 조정하였다.
1.3 3세대 3000톤급 경비함 - 3003~3008함
1999년 해양경찰은 수색과 구조 임무 등 다양한 해상여건 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전천후 대형 경비함 건조를 추진하며 경비세력 증강을 위한 연차별(2000년 1척, 2001년 1척, 2002년 이후 3척) 신조 경비함 건조 계획을 수립했다. 이 같은 건조계획에 따라 내파성·조함 성능 극대화, 거주환경 쾌적화 등으로 승조원들의 근무 여건 향상, 헬기 격납고 설치, 함정 시설 등이 보강된 3세대 3000톤급 경비함 5척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건조되었다.
1.4 4세대 3000톤급 경비함 - 3009,3010,3012~3015함
2007년 해양경찰청은 독도,이어도 해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해양 주권수호에 따른 함정세력 증대와 역량 강화를 추진했다. 대형 신조 경비함을 주변국 함정과 대등한 수준으로 성능을 강화하고 국가적 대응 세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임무특성을 고려해 함정시설을 최적화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우수 함정 설계및 건조로 임무수행 역량을 강화했다.
2010년 3월에 배치된 3009함은 대한민국 해경과 해군을 포함하여 최초로 배치된 CODLAD방식 하이브리드 추진 함선이다. [10] 즉 저속시(12노트이하), 발전기에서 생산한 전기로 전동 모터를 구동시켜 12노트까지 항해 하고, 순항시(15노트), 디젤엔진 2기를, 고속시(28노트) 디젤엔진 4기를 탄력적으로 운용하여 함정 고속화에 따른 대용량, 고마력 엔진을 효율적으로 분할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개선연료비용 절감과 엔진수명 연장, 함내 소음ㆍ진동 감소로 쾌적한 거주환경을 도모하여 승조원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였다.
한편 2011년 12월 서해상에서 불법조업 중국어선 단속과정에서 폭력저항하던 중국어선 선원에 의해 故 이청호 경사가 순직하였다. 이에따라 당시 정부는 단속역량 확충의 일환으로 불법침입 조업 외국어선 감시 및 단속세력보강을 위해 3천톤급 경비함 2척을 신규건조 추진하였고 2015년 6월 진수된 2척은 4세대 3000톤급 경비함과 같은 제원으로 특별히 다른 것은 고속단정 4척 길이 10m 2척, 8m 2척을 탑재(기존 동급 경비함정은 고속단정 2척 탑재)하여 해상인명 사고 발생시 얕은 수심 등 장소에 구분 없이 신속히 접근할 수 있다.
1.5 3000톤급 훈련함 '바다로(3011함)
파일:/image/001/2012/07/02/PYH2012070201630006500 P2.jpg
해양경찰청 산하 해양경찰학교(현 해양경비안전교육원)는 자체 교육 훈련함이 없어 신규임용 후 실무적응과 연결하기 부족한 점이 많았다. 해양이라는 특수성, 전문성을 감안하고 체계적인 교육 훈련을 위해서라도 신임교육 과정에 훈련함은 절실했다. 따라서 급변하는 미래 해양환경 변화와 고품질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해양경찰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3000톤급 훈렴함 도입을 2008년에 착수하여 2011년 진수하였다.
주요 임무 및 운용으로는 함정 운항 및 장비 운용 실습, 해상에서 특수 상황별 함상 훈련, 항해학·기관학 등 관련 이론 교육 및 연구, 국내외 순항 방문 및 합동훈련 관할구역경비, 구난 및 방제, 해양조사 등 임무를 수행한다. 교육생 및 승조원 150명이 25일간 항해할 수 있는 거주 시설을 배치하였으며 교육시설로 강의실(100명,50명 각각 수용), 세미나실(30명 수용), 멀티미디어실 및 조타실과 기관제어실에 모의실습을 할 수 있는 실습실을 배치하였으며, 승조원과 교육생 구역을 분리배치하여 독립성을 강화하였다.
태안 기름유출 사고 이후 국가방제능력 제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방제전용 대형함정 건조에 따른 재정부담으로 다기능·다목적 함정건조 추세를 반영하여 기존 설계 중인 훈련함에 방제기능을 추가하였다. 여담으로 3011함은 여수엑스포 기간 중에 함정공개행사를 여수신항 부두에서 하기도 하였으며 2012년 해경 국정감사가 이 함에서 이루어졌다.
2 사건 사고
500px
2016년 10월 7일 인천해양경비안전서 소속 3005함이 불법조업 중국 어선을 단속하던 중 3005함의 4.5톤급 No.1단정이 중국 어선의 충각으로 인해 침몰하였다. 다행히 단정에 타고 있던 경찰관 1명은 다른 단정에 의해 구조되어 인명피해는 없었다.중국 어선이 해경의 단속정을 들이받는 시도는 종종 있었지만 해경의 단속정이 침몰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11] 앞으로의 중국 어선 단속에 더욱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12]
3 제원
항목 | 3001함 | 3002함 | 3003~3008함 | 3009,3010,3012~3015함 | 3011함 |
만재배수량 | 4400톤 | 3854톤 | 3900t | 3220t[13] 3000t[14] | 4200톤 |
전장 | 104.7m | 110.5m | 110.0m | 112.8m[15] 113.7m[16] | 118m |
폭 | 15m | 15.4m | 14.2m | 16m | |
흘수 | 5.19m | 4.86m | 4.9m | 4.2m | 4.5m |
높이 | 35.9m | 29.1m | 29.3m | 27.5m | 30.55m |
항속거리 | 8500마일 | 6000마일 | 5000마일 | ||
속도 | 21노트 | 18노트 | 21노트 | 28노트 | 18노트 |
추진기 | CPP | ||||
엔진 | MAN B&W 16V 28/32 (4800hp) x4 | MAN B&W 16V 28/32A (5330hp) x2 | PIELSTICK 16PA 6B 280STC (8800hp)x2 | MTU 20V 1163 TB93 (9925hp) ×4 | MTU 12V 1163 TB03 (5955hp)x2 |
무장 | 20mm 발칸포x2 | 20mm 발칸포x1 | 40mm 자동포[17]x1, 20mm 발칸포x1 혹은 20mm 발칸포x1 | 40mm 노봉x1, 20mm 발칸포x1 | 20mm 발칸포x1 |
4 함정 목록
함번 | 함명 | 배치서 | 준공일 | 인수일 | 건조금액 | 건조사 | |
1 | 3001 | 태평양1호 | 부산 | 1993년 9월 30일 | 1994년 3월 11일 | 304.3억원 | 현대중공업 |
2 | 3002 | 태평양2호 | 제주 | 1998년 10월 31일 | 1998년 10월 31일 | 251억원 | 현대중공업 |
3 | 3003 | 태평양3호 | 서귀포 | 2002년 12월 21일 | 2002년 12월 30일 | 312억원 | 한진중공업 |
4 | 3005 | 태평양5호 | 인천 | 2004년 1월 27일 | 2004년 2월 10일 | 326.1억원 | 한진중공업 |
5 | 3006 | 태평양6호 | 서귀포 | 2005년 12월 9일 | 2005년 12월 15일 | 338.5억원 | 한진중공업 |
6 | 3007 | 태평양7호 | 동해 | 2006년 7월 14일 | 2006년 7월 27일 | 342.5억원 | 한진중공업 |
7 | 3008 | 태평양8호 | 인천 | 2007년 12월 20일 | 2008년 1월 10일 | 342.5억원 | 한진중공업 |
8 | 3009 | 태평양9호 | 목포 | 2010년 1월 28일 | 2010년 2월 26일 | 604.5억원 | 현대중공업 |
9 | 3010 | 태평양10호 | 군산 | 2010년 7월 7일 | 2010년 7월 23일 | 604.5억원 | 현대중공업 |
10 | 3011 | 태평양11호[18] | 교육원 | 2012년 4월 10일 | 2012년 4월 23일 | 528.6억원 | STX조선해양 |
11 | 3012 | 태평양12호[19] | 제주 | 2012년 6월 29일 | 2012년 7월 24일 | 566.3억원 | 현대중공업 |
12 | 3013 | 태평양13호 | 군산 | 2015년 6월 30일[20] | 2015년 11월 16일 | 567.5억원 | STX조선해양 |
13 | 3015 | 태평양15호 | 목포 | 2015년 6월 30일[21] | 2015년 12월 17일 | 567.5억원 | STX조선해양 |
14 | 3016[22] | - | 동해(예정) | 2020년 (예정) | 2020년 (예정) | - | - |
5 함정 사진
3005함 |
3006함 |
파일:/image/003/2012/08/14/NISI20120814 0006887588 web.jpg |
3007함 |
3008함 |
3010함 |
3012함 |
3013함 |
6 관련 항목
- P-정 : 50톤이 주력, 30톤도 소수있음
- 해누리급 : 100톤급
- 해우리급 : 300톤급 및 250톤급
- 태극급 : 500톤급
- 한강급 : 1000톤급
- 제민급 : 1500톤급
- 삼봉급 : 5000톤급
- 원양초계함
- ↑ 일각에서는 건조시기에 따라 함형도 제각각이고 탑재된 장비도 상이한데 장비유지관리 차원에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전시에 해군과의 합동성 및 함 생존성이 매우 우려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재 해경은 예산부족으로 인해 함정의 계획정비도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상기의 문제점은 쉽게 해결되기 힘들것같다. [1]
- ↑ 말이 3천톤급이지 만재배수량은 3800톤가량이고 3001,3011함은 4200톤이 넘는다. .
윗동네 해군의 제일 큰 함정 배수량이 몇톤이더라??해군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과 체급이 같다. 이 큰 배에 승무원은 약 50명 가량 타며 제일 안좋은 거주구역이 무려 2~3인실이다.이걸 본 해군 포항급 승무원들은 눈물만 흘렸다고 한다. - ↑ 승선경험자의 증언에 의하면 파도가 심한 날에도 탁구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라고 한다.
- ↑ 더하여 해양경비안전본부가 보유한 함정 중 가장 강한 전투력을 지닌 5002함도 서귀포서에 배치되어 있다.
- ↑ 제주도에서 북한까지 상대하는게 이상해 보일수도 있겠지만 제주해협은 천안함 사건 이전까지 북한 상선들이 지나 다닐수 있는 고정 항로가 존재했던 곳이다. 남북관계가 경색된 지금은 제주도 바로 남쪽 공해상으로 지나가는데 당연히 유류비가 훨씬 많이드니 관할해역 침범시도가 잦다. 제주도에 별다른 해군 함정이 없는 상황에서 불법침입한 북상선들을 퇴거, 감시하는 역할은 해경의 임무중 하나였다.
- ↑ 그래도 최근에 해군의 주력함대인 제7기동전단과 잠수함사령부 1개 전대가 제주해군기지로 이전해 오면서 부담이 줄 예정.
- ↑ 1501함과 1502함도 구난함인데 1501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3001함이다. 1502함은 3001함 건조 2년뒤에 건조된 배다.
- ↑ [2]
- ↑ [3]
- ↑ 인천급은 배치-2부터 CODLAG하이브리드 추진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 ↑ 2010년에 3010함과 중국어선이 충돌하여 중국 어선이 침몰한 사례가 있다.불법 조업 중이던 중국 어선이 해경 경비함을 충돌한 뒤 침몰
- ↑ 불법조업' 中 어선이 들이받아, 해경 고속단정 침몰
- ↑ 3010함
- ↑ 그 외
- ↑ 그 외
- ↑ 3013,3015함
- ↑ 노봉 혹은 브레다
- ↑ 별칭: 바다로
- ↑ 별칭: 주작함
- ↑ 진수일
- ↑ 진수일
- ↑ 2016년 조선업 불황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계획에 잡혀있던 해경함정 총 30척을 조기발주해서 조선업계를 지원한다. 2020년까지 도입되는 3000톤급 대형경비함 1척은 해양주권 수호를 위해 독도 광역해역에 배치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