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ㅅ에서 넘어옴)

욕설에 대해서는 병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1 개요

현대 한글 겹받침 중 하나. 중세 한국어에서는 초성에서도 쓰였으나, 지금은 받침에만 쓰인다.

2 용례

용례는 지극히 적다. '값'과 '없다', '가엾다' 뿐. 정말 생각보다 적다. 심지어 5가지의 용례가 존재하는 [1]보다도 적다. '읊다' 하나뿐인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다만 '값'도 상당히 자주 쓰이는 단어이고, '없다'는 하루에 살면서 안 쓰는 날이 더 적을 정도로 워낙에 많이 쓰이는 단어다 보니 용례가 적다는 게 잘 느껴지지 않는다.

'가엾다'의 경우, 특이하게도 '가엾다'와 '가엽다'가 모두 복수 표준어로서 인정이 된다. 이 경우 '가엽다'는 어간이 ㅂ으로 끝나는 단어들이 많이들 그렇듯이 그렇듯이 순경음 비읍()의 흔적인 ㅂ불규칙 용언으로, 활용될 때 '가여운', '가여워' 등 ㅜ꼴로 바뀌어 활용된다. '가엾다'의 경우 '가엾은', '가엾어서' 등으로 '가엽다'에 비해서는 규칙적인 편.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의 발음은 /ㅂ/.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이어지면 /ㅂ/ 받침 후 /ㅆ/ 소리가 이어진다. '없다'가 워낙 자주 쓰이는 단어라서 '없을', '없이' 등을 설령 적기는 잘못 적더라도 /어블/, /어비/ 등으로 발음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2] 사실 그렇게 발음하면 '업다'하고 헷갈리는 탓도 있겠지만.

조선 초기에는 초성으로도 쓰였던 적이 있다. 어쩌면 그리스어의 프사이(Ψ)의 발음과 유사했을지도 모른다. ㅄ이 초성으로 쓰인 대표적인 예로는 ᄡᆞᆯ〔米〕. 현대에도 이러한 표기가 존재했다면 '(읍)썰'로 불렸을 가능성이 높다. '조+쌀', '찰-+쌀', '햇-+쌀'이 '조쌀', '찰쌀', '해쌀'이 아니라 '좁쌀', '찹쌀', '햅쌀'인 것도 '쌀'의 옛 형태가 'ᄡᆞᆯ'이었던 것의 잔재.

겹자음계에서는 좀 메이저했는지 ㅄ계 합용병서라는 것도 있다. 말 그대로 ㅄ을 끼고 여기에 자음이 하나 더 들어가는, 무려 세 자음이 합쳐서 쓰여지는 자음군으로 ㅴ·ㅵ·ᄤ·ᄥ·ᄦ·ꥲᅠ 등이 있다. 이들 ㅄ계 합용병서는 한국어에서 단 한 개도 쓰이고 있지 않다(...). 된소리를 나타냈던 ㅅ계 합용병서[3]와는 달리 ㅄ을 비롯한 ㅄ계 합용병서는 정말로 표기된 자음을 다 발음하는 어두자음군으로 보고 있다.브스그 브스드 # 하지만 조선 중기를 거치면서 사라졌다고 한다.

3 비슷한 겹자음

순서가 바뀐 와는 다르다. ㅄ과 달리 위쪽에 적혀 있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글자는 초성으로 쓰이던 겹자음. ㅅㅂ를 동시에 읽었던 것은 아니고 지금은 로 표기하는 ㅂ의 된소리를 적기 위한 표기로 근대 한국어에서 자주 쓰였다.
  1. '곬', '물곬', '옰', '외곬', '통곬'. 본래는 '돐'도 있어서 6개였으나 '돌'로 바뀌면서 5개로 줄었다.
  2. '닭을'과 같은 경우는 /다글/이라고 읽는 사람들도 생각보다 많다.
  3. '사나이'의 옛 형태 'ᄮᅡᄒᆡ'와 같이 어두자음군인 경우도 소수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