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메기

1 특산물

파일:Attachment/과메기/c0026408 4d2684141cf40.jpg
파일:Attachment/과메기/c0026408 4d26840f821d4.jpg

박명수가 이사진을 싫어합니다
위의 사진처럼 말려서 아래 사진처럼 상차림. 사진 속 상차림이 과메기의 기본적인 준비 재료이다.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위꼴, 미역 + 김 + 쪽파 + 과메기는 최강의 조합
혐오자에겐 먹을 소주안주론 김밖에 없다. 야채안주론 소주를 먹을순 없지 타핫 김도 식물이다

1.1 개요

경상북도 포항시 지역 특산물로 추운 겨울청어꽁치끈에 꿰어 3~10일 동안 찬 바다바람에 말린 것이다. 본래 을 꿰어 말렸던 것이지만, 지금은 굴비처럼 허리 부분을 감아서 말린다.

민물고기 메기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보통 꽁치나 청어를 내장까지 통째 말려 만들었으나, 전국구화 되면서 위 사진에서 보는 것 처럼 내장을 빼고 반으로 갈라 만든 '편과메기'가 더 많이 생산된다. 반으로 갈라 만든 과메기는 건조시 부패할 염려가 적어 대략 11월부터 말릴 수 있다. 따라서 12월이 되어야 말릴 수 있는 통과메기보다는 여러모로 생산자에게 이익이다. 또한, 가격이 조금 더 높다는 단점은 있지만 손질할 필요가 없고, 반건조 상태인 통과메기와 달리 빠짝 마른 상태이기 때문에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도 이점이 있다.

11월~1월이 제철이다.

포항 사람들은 다 먹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사실 포항 살면서도 못 먹는 사람들도 매우 많다.[1] 포항과 멀리 떨어진 수도권 지역 사람들도 좋아하는 사람들은 좋아한다. 그냥 개인 입맛에 따르는 기호식품. 같은 경상도 안에서도 부산광역시창원시 등 남해 쪽에서는 낯설어하는 사람들도 대다수

홍어처럼 심한 암모니아 냄새는 없으나, 과매기또한 특유의 비린내와 맛, 그리고 통과메기의 경우 물컹한 식감으로 호불호가 분명히 갈리는 음식, 홍어처럼 입맛에 맞는 사람에게는 별미.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그냥 생선 비린내 나는 찐덕찐덕한 떡일뿐이기 때문에 타인과 식사 약속 정하기 전에 미리 과매기를 즐기는지 물어보자. 아무래도 홍어와 달리 호불호가 확실히 갈리는 냄새가 약하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도 먹을 수 있다고 넢겨짚는 경우가 많은데 과매기는 홍어와 같은 지방특유의 특색 음식임을 명심하자. 다만 포항 지역 횟집에서는 기본 안주로 과메기는 거의 필수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혹시라도 못 먹는다면 사장님에게 다른 안주를 부탁하자.

1.2 유래 및 역사

본래는 주로 청어로 만들었으나, 청어 어획량이 감소하자 비슷한 꽁치로 대체한 것이 현재의 과메기가 되었다고 한다. 다만 원래부터 꽁치 과메기도 있었다는 말도 있다. 그러다가 요즘은 청어 어획량이 증가하면서 청어 과메기도 쉽게 볼 수 있다. 다만 비쌀 뿐. 청어로 만든 과메기는 훈제 청어와도 모양이나 제작방식이 거의 같다. 적당히 훈제만 해 주면 훈제 청어로 전용이 가능할 듯…?[2] 2014년에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에 청어 과메기가 소개된 뒤로는 청어 과메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확실하지 않으나 구전되는 내용을 보면 한양고시 과거시험 보러 가던 선비가 먹을게 없어 빌빌거리고 다니다가 소나무 가지에 꿰어져 있던 물고기를 주워먹던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설은 과메기 = 관목어(눈을 꿸 수 있는 물고기)라는, 언어학적 변화에 따른 추정이다.

훈제 청어에서 볼 수 있듯이 과메기처럼 청어 등 물고기를 말린 음식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보존식품이다. 일본에도 청어의 피와 내장을 제거하고 훈제와 말리는 과정을 거쳐 만든 미가키니싱이라는 것이 있다. 교토의 명물로 불리며[3] 한국의 과메기보다 훨씬 많은 조리법이 있다. 미가키 니싱 소바라는 것도 있다고 한다.

임진왜란때 나라를 구한 공신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 왜 그러냐 하면 이순신 함대에서는 당시 풍부했던 청어를 잡아[4] 군량을 충당하고 피난민들을 먹여 살리며, 무기와 화약을 구입하는 재원으로 사용했기 때문. 이렇게 잡아들인 청어들은 절일 만큼 소금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널어다 말릴 수 밖에 없었고, 자연히 과메기가 되었다#. 아마 충무공께서도 밥반찬 겸 술안주으로 과메기를 꽤 드셨을 것이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관목이라는 물고기가 있고 이 물고기가 과메기의 기원이라는 주장이 있다. 빙허각 이씨가 집필한 규합총서가 관목이 등장하는 유일한 고문헌인데 여기서 관목은 "물고기의 눈을 꿰어 말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청어 100마리중에 1-2마리 정도 섞여 있는 반대편 눈이 비쳐보일 정도로 머리가 투명한 물고기를 의미한다. 유명한 자산어보 연구자인 이태원에 의하면 이 물고기가 꽁치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규합총서에는 부엌 천정에 관목을 메달아 훈연한 후 익혀 먹는다고 했다.

위에 설명한 조선시대 선비 이야기의 경우 고문헌이 아니라 1918년에 출간된 재담집인 소천소지에 등장하는 내용으로 당연히 사료로서의 가치는 전무하다.

과메기가 포항,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왜 구룡포에서 기원했느냐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일제에 의해 영일만 일대의 대규모 청어 어장이 발견되고 영일만에 청어 가공 업체들이 들어선다. 일본의 전통적인 청어 요리 중에 미가키니신이라는 것이 있는데 청어의 머리와 꼬리를 떼어낸 후 반견하는 것이다. 미가키니신은 그 자체로 먹기도 하지만 다시마를 곁들여 먹기도 하는데 오늘날 과메기에 미역을 곁들여 먹는 것과 비슷하다.

즉 반건 청어라는 형태는 분명히 과거에도 존재했겠지만 먹는 방식은 일본의 미가키니신을 너무나 많이 닮은 것이다. 과메기의 기원이 무조건 미가키니신이라고 주장하기도 어렵지만 미가키니신과 무관하다고 주장할 수도 없다.

1.3 영양

꽁치에서 많은 양의 기름기가 빠져, 맛이 담백해진다.[5][6] 동시에 영양가도 증가하여 본래의 꽁치보다 더 좋아진다고 연구결과가 나와있다. 불포화 지방산 DHAEPA 덩어리.

1.4 먹는 방법

포항에서 사먹을 거면 죽도시장보다는 호미곶 가는 길에 있는 구룡포항에서 구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무래도 실외에서 건조시키는 식품이다보니 시내 쪽에서는 포항제철소의 매연의 영향을 좀 받기 때문. 가격도 후자 쪽이 더 싸다..
..
한입 크기의 과매기를 초장에 찍어서 생미역[7]에 싸서 먹는 것이 기본이다. 취향에 따라서 생파, 생마늘, 청양고추 등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 미역을 못 먹는 사람이면 이랑 같이 먹어도 좋다. 이때는 양념이 된 조미김 말고, 굽지 않은 맨 김(흔히 말하는 돌김)에 싸먹어야 더 맛있다. 배추, 상추, 깻잎 등 각종 쌈채소에 싸먹어도 맛있다. 좀 더 과메기만의 풍미를 느껴보고 싶다면, 돼지고기처럼 기름소금에 찍어 먹는 방법도 있다.

과메기를 묵은 혹은 깻잎에 싸서 밥반찬으로 먹기도 한다. 고추장 과메기[8]의 경우에는 구워서 먹으면 말 그대로 밥도둑이다. 김치찜을 해 먹어도 장난아니게 맛있다.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과메기가 일정이상으로 부드러워지지 않고 식감이 유지된다. 후추간에 데리야키 소스를 듬뿍 묻혀서 전자레인지나 프라이팬에 살짝 익히면 장어구이 먹는 기분도 낼 수 있고 오동통면이나 너구리 같은 컵라면에 넣어서 전자레인지에 3분 30초 돌려서 먹으면 연한 육질의 과매기와 진한 국물맛을 맛볼 수 있다.김치에 싸서 드셔보세요 맛있어요 과매기의 비린내가 신경 쓰인다면 와사비를 곁들여서 초밥처럼 먹어보자. 비린내가 싹 가신다. 생 무채와 같이 먹어도 맛있다. 아무것도 곁들이지 않고 먹어도 맛있다. 몸통 부분의 덜마른 통통한 살 부분이 특히 맛있는데, 씹으면 씹을수록 깊은 고소함과 쫄깃함이 느껴진다.

소주[9] 안주로도 제격이다. 허영만식객에도 소개되었고 사극 배우로 유명한 김학철이 찍은 KTX CF도 있다. 관련기사

1.4.1 통과메기

과메기는 판매할 때 손질까지 해서 나오는 편과메기가 일반적이지만, 내장째 말린 통과메기를 사서 손질해 먹는 사람도 있다. 통과메기는 만드는 방법이 지극히 간단하다. 그냥 해수에 씻어서, 도 따지 않고 으로 엮어 바람 잘 통하는 데다 걸어 두면 끝. 어부들은 배 위에서 바닷바람에 말려 만들어 먹고, 남는 것은 얼려 뒀다가 자연해동해서 먹는다. 배에서 만든 것은 신선하고, 물고기가 가늘어서 해동이 빠른 편이라 맛이 별 차이 없다. 골수 과메기 팬은 먹을 때 다듬기 번거로워도 통과메기를 더 좋아하는데, 이유는 내장의 기름이 살 속으로 퍼지면서 편과메기에 비할 수 없이 풍부한 맛이 나기 때분이다. 뼈가 손으로 당기면 쏙 빠질 정도로 잘 숙성된 통과메기는 시중의 편과메기보다 살이 휠씬 부드럽고, 살이 불그레한 빛을 띤다. 통과메기[10]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에.

준비물 : 통과메기, 가위
과정 중에 손이 더러워지니 싫으신 분들은 비닐장갑을 착용하시고 바닥이 더러워지니 깔개를[11] 준비하세요.
* 통과메기의 머리와 꼬리를 가위로 뎅강 날려준다.
* 살과 내장 사이를 가위로 서걱서걱 잘라낸다.
* 손을 이용해 뼈와 살을 분리한다.
* 손을 이용해 껍질을 벗겨낸다. 몇몇 사람들은 안 벗겨도 된다지만 이질감이 굉장히 심하다. 거의 비닐 수준.

1.5 과메기 보관법

과메기의 경우 완전 건조와 반건조 과메기가 있다 보통 우리가 먹는 과메기는 반건조 과메기다. 반건조의 경우 생물 보다는 덜하지만 상당량의 수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온에선 쉽게 상하고 곰팡이가 핀다. 냉장보관을 하더라도 이미 생긴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긴 어렵다. 특히 생선 기름이 산패하기 시작하면 역한 맛과 향이 오바이트를 유발한다.

먹고 남은 과메기 등 1~2일 내에 곧바로 먹을 것이 아니라면 실온&냉장이 아니라 냉동보관을 하는 것이 좋다.

1.6 과매기 비위생 논란

비위생 과매기 기사
포항 구룡포가 주산지인 과메기는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3가 풍부해 동맥경화 등 혈관계 질환 예방에 좋다고 선전한것과 달리 기름이 산패되서 오히려 몸이 좋지 않고 과매기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위생적인 관리들이 적발되었으며, 과메기의 유통기한도 전혀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고 보도했다. 물론 해당 방송이 논란이 분분한 먹거리x 파일인 만큼 이를 믿을수 없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1.7 기타

  • 대게의 경우는 영덕 외에 울진, 포항, 울산 등에서 서로가 원조라고 옥신각신하며 판매처도 많지만, 과메기는 거의 판매처가 포항으로 한정되어 있다.
  • 파생상품으로 과메기비누가 있다.
고추장초콜릿 이상으로 충격과 공포
과메기를 말릴 때 빠져나오는 기름을 따로 받아, 비누 재료에 섞어 만든다. 과메기의 기름이 들어간거라 비린내가 날 것 같지만, 아로마 에센스 오일 및 그 외 여러가지 향을 섞어서 만들기 때문에 비린내는 안 난다.
  • 포스코(=포항제철)직원들이 아주 좋아하는 안주이다. 외지 출신이지만 포스코에 입사하면 어쩔 수 없이 포항에서 한 번은 근무하게 되는데 이때 과메기의 맛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서울 본사에 근무하는 사람들도 제철이 되면 포항에서 주문해다가 회식에서 먹는다.
  • 포항 스틸러스가 우승을 두고 울산 현대와 겨룬 2013 시즌 마지막 경기서 포항 원정팬중 일부가 먹던 과메기를 경기장에 던지는 일이 있었다. 이에 장내 아나운서는 위험 물질(...)을 경기장에 던지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고.
  • 김정일이 즐겨먹었던 음식 30선 안에 든다고 한다. 그것도 당연히 한국산을 고집한다고.(...) 남파간첩의 중요임무중 하나일지도[12]
  • 현재는 정찰제가 진행중이라 포항 어디서든 가격이 비슷하다. 가격표를 현수막으로 대량생산해버려서(…)
  • 존 카멕의 한국 한정 별명중 하나다. 이유는 순전히 발음때문에.
  • 독일에도 과메기와 유사한 음식이 있는 듯 하다. 비정상회담 40회에서 독일 패널 다니엘 린데만은 자국 음식문화에 관한 이야기 중 '독일에도 과메기가 있다'라고 말했다. '독일식 과메기'도 아니고! 사실 청어야 유럽 북해 쪽에서도 즐겨먹는 생선이고 그걸 바닷가에서 말리면 과메기이다보니...과메기 햄버거도 있다고 한다

2 부산광역시의 인디밴드 과매기

20121026154410543.jpg
'과메기'가 아니다, '과매기' 이다! 과메기와는 다르다 과메기와는! 근데 과기 하위 항목...

어원은 당연히 1. 부산 팀인데 왜 포항 특산물 이름을 붙였는가 물어봤더니 '그거야 존나 좋아하니까'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래도 戈(창 과), 昧(새벽 매, 어두울 매), 期(기약할 기) 라는 나름대로의 뜻이 붙어 있다고 한다. 어차피 과메기 먹다가 지은 건 부정하지 않는다.

하드코어 펑크, 메탈 장르의 밴드로, 2006년 활동을 처음으로 시작한 팀이다. 그쪽 계통에서는 꽤 유명한 편. 부산 메탈을 대표하는 밴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산의 다양한 메탈 공연에서 자주 볼 수 있다.

  1. 평생 생물만 먹고 살다가, 뜬금없이 비린내 풍기는 반건어물을 먹는걸 부담스러워 하는 사람이 많다.
  2. 청어 과메기를 먹어본 사람들에 의하면, 꽁치 과메기보다 더 기름지다고 한다.대체적으로 기름진 청어 과메기가 더 맛있다는 평이다.
  3. 한국의 안동고등어같이 내륙에 위치한 교토에서 생선맛을 보기 위해 개발한 방식이라...
  4. 전투가 없을 때 수군은 고기잡이에 열중했다고 한다. 조선 수군에 포작선이라는 고기잡이 배가 많았던 것도 다 그 때문. 싸우지 않을 때는 그냥 고기잡이를 했던 것이다.
  5. 어디까지나 원래의 꽁치에 비해 비교적 그렇다는 말이다. 실제로 과메기를 만져보면 꽁치 기름이 많이 묻어 나온다.
  6. 과메기를 말리는 동안에 떨어지는 기름이나, 과메기 자체에 남아 있는 기름이 옷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자. 절대 안 빠진다.
  7. 미역을 데치지 않고 날로 먹으면 굉장히 맛이 좋다.
  8. 말 그대로 과메기에 고추장 양념을 한 것.
  9. 특히 참소주
  10.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약간 덜 말라서 살이 물컹거리는 통과메기를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잘마른 통과메기는 편과메기와 별로 다를게 없다.
  11. 큰 쟁반을 준비하고 앉은자리 주위에 신문지 두세겹을 깔면 적당하다.
  12.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 조총련계를 통해 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김정일의 식탁에 오르는 대부분의 식재료는 암살을 막기 위해 일본에서 구하고 있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