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

(당비파에서 넘어옴)

1 琵琶

현악기
찰현악기바이올린 · 피들 · 일렉트릭 바이올린 · 비올라 · 첼로 · 콘트라베이스(더블베이스) · 옥토베이스 · 얼후 · 해금 · 아쟁 · 마두금 · 요우힉코 · 니켈하르파 · 아르페지오네 · 비올라 다 감바 · 파르데수스 데 비올 · 비올라 다 모레 · 바리톤(현악기)
발현악기시타르 · 티체스트 베이스 · 류트 · 기타 · 클래식 기타 · 일렉트릭 기타 · 베이스 기타 · 하프 · 만돌린 · 발랄라이카 · 우쿨렐레 · 밴조 · 야트가 · 단짜인 · 하프시코드 · 리라 · · · · 거문고 · 가야금 · 비파 · 고토 · 샤미센 · 사즈 · 치터 · 산신 · 우드 · 차랑고
타현악기심발롬 · 양금 · 클라비코드 · 피아노
미분류드렐라이어

1.1 개요

비파와 수금 들어라!
동양의 전통 현악기.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지에 퍼져 있다. 삼국의 비파는 전체적인 모양이 비슷한데, 전파 경로는 서역에서 먼저 중국으로 전파된 후 동남아시아한국일본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비파'라는 이름은 서역 말로 된 이름을 음차한 것인데, 중국의 '석명'이라는 책에 따르면 , 현을 밖으로 내어 타는 것을 琵라고 하고 안으로 들여 타면 琶라고 하기 때문에 비파라고 이름붙였다고 한다. 중국어로는 피파(pipa)라고 읽고 일본어로는 비와(びわ)라고 읽는다.

1.2 한국의 비파

한국에 전래되는 비파로는 향비파와 당비파 두 종류가 있다.
파일:Attachment/향비파.jpg
사진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향비파는 에서 수입한 당비파와 구분하기 위해 붙은 이름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때는 가야금, 거문고와 함께 신라삼현에 꼽히고, 향비파곡만 220곡 정도가 있다고 했을 정도의 메이저한 악기였다. 삼국사기에는 '始於新羅(신라에서 비롯했다)'고 하지만 전파경로가 경로인 만큼 믿을만한 대목은 아니다. 현은 명주실로 된 현이 5현이 있고, 무현-청현-대현-중현-유현을 각 僙-㑣-㑣-黃-仲으로 조율한다. 괘[1]는 처음엔 5괘였다 조선시대에는 10괘, 근대에는 12개까지 증가하였다.(위의 사진은 10괘짜리 조선시대 비파) 현대에 사용되는 향비파는 1988년 이성천 교수가 개량한 것으로, 괘의 수가 31개이다. (이하 개량비파로 칭한다.) 개량 비파는 원래 비파보다 음역과 음량이 넓어서 정악과 창작국악에 두루 쓰일 수 있다는듯. 한국의 비파는 연주할 때 원래 거문고와 마찬가지로 술대를 가지고 연주했는데[2] 지금도 종묘악에서 술대를 사용하여 합주에 응하는 한국의 전통비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개량 이후는 중국의 비파와 마찬가지로 음량을 키우기 위해서 손가락에 뾰족한 가조각을 끼우고 연주한다.
파일:/100/400/35/36035.jpg
사진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당비파는 통일신라를 전후하여 한국에 수입된 중국의 비파이다[3] 향비파와 달리 넥 윗 부분이 구부러져 있어서 '곡경(曲頸)비파'라고도 한다. '당'자가 들어가는 만큼 당악에 많이 사용했으나 조선시대 들어와서 향악에도 널리 사용되어 사실상 향비파보다도 더 인지도가 있었다.
파일:Attachment/포의풍류도.png
김홍도의 '포의풍류도'. 그림에서 김홍도가 타고 있는 비파가 당비파이다.
현은 명주실로 4현이고 괘는 12개이다. 향비파와 마찬가지로 술대를 가지고 연주했다. 괘를 짚는 연주법이나 술대를 사용한다는 점이 거문고와 비슷해서인지 거문고를 연주하는 악사들이 곁다리로 연주법을 익혔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4]

한국에서 비파는 1930년대까지 많이 사용되는 악기였다. 일제시대 전까지만 해도 중국보다 한국에서 비파 음악이 더 발전했다고 한다. 당장 종묘제례악이나 수제천 등을 연주하는 옛 흑백사진을 찾아보면 비파와 월금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1930년대 이후로 비파는 거의 명맥이 끊어졌다가 상술하였다시피, 1988년 이성천 교수의 개량으로 부활했다. 그런데 개량된 이후도 안습. 현대에 개량된 이 비파는 아직 인식이 많이 부족한 악기이다. 현대의 개량된 향비파는 그래도 대학교 동아리나 중고등학교의 특별활동 등으로 조금씩 보급되고 있지만[5] 당비파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어쩔 수 없는 것이, 개량비파도 결국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술대를 무시하고, 손가락의 가조각을 쓰는 방식으로 중국의 주법을 상당히 수용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개량된 비파가 한국의 전통비파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냐!" 라는 마뜩찮은 반응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결국 대부분의 국악서적에서 향비파와 당비파는 더이상 널리 연주되지 않는 악기로 소개하고 있다. 가조각으로 연주하는 개량비파는 있더라도, 술대를 써서 연주하는 전통적인 한국의 비파는 널리 연주되지 않으니까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


현대의 유명한 개량비파 연주자로는 한은영 씨가 있다. 홈페이지도 있는데 무슨 일인지 지금은 접속이 되지않는다.

한은영씨의 '침향무' 향비파 연주

한은영씨의 향비파 소개 및 연주 동영상. (국악FM방송 '아시아 음악여행')

1.3 중국의 비파

吴蛮 (Wu Man)의 연주.

Fotopedia에서 중국의 비파 사진 보기

추가바람

1.4 일본의 비파

자세한 내용은 비와를 참조할 것.

1.5 베트남의 비파

베트남어로는 단띠바(Đàn tỳ bà, 彈琵琶)라고 한다. 4현으로 되어 있으며 베트남식 아악인 냐냑(Nhã nhạc, 雅樂)에서 중요한 악기로 사용되었고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다.

1.6 비파를 연주하는 캐릭터

2 枇杷

800px-Eriobotrya_japonica2.jpg


비파나무의 열매.

이 열매와 잎의 모양이 위의 악기의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비파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근데 악기 이름이 먼저 붙었는지 열매 이름이 먼저 붙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노란 귤색의 열매는 맛이 시고 달며 향이 좋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매우 마이너한 과일이라, 주로 약용으로 종자나 잎을 사용할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설사나 구토, 헛구역질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잎과 열매 모두 효과가 있다고 한다.

3 열대어 비파

플레코항목 참조.
  1.  ?기타 의 프렛 역할
  2. 거문고와 달리 현을 다룰 때 드는 힘이 적어서 술대 잡는 법이 좀 다르다
  3. 하지만 중국에서 쓰는 중국 비파, 정확히는 북비파와 당비파는 엄연히 다르다. 특히 중국 북비파는 현을 바이올린 현 비슷한 철현을 쓰는 점이 다르다.
  4. 요즘 가야금연주자들이 곁다리로 양금을 배우는 경우나, 대금연주자들이 소금을 배운다거나 하는 것과 마찬가지.
  5. 중학생들의 비파 연주회도 개최되었다.
  6. 성경사무엘기에서 사울이 고통으로 광분할 때마다 비파를 연주해서 회복시키곤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