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지선버스(서울)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4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4동(성북생태체험관)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1동(동묘앞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15 |
막차 | 23:40 | 막차 | 23:55 | ||
평일배차 | 7분 | 주말배차 | 15분 | ||
운수사명 | 대진여객 | 인가대수 | 13대 | ||
노선 | 성북생태체험관 - 정릉초교 - 정릉동 풍림상가 앞 - 외환은행 정릉지점 - 정릉입구 - 아리랑고개 · 아리랑 시네미디어센터 - 성신여대입구역 - 돈암시장입구 - 성북구청 · 성북경찰서 - 보문역 → 보문동주민센터 → 신설동로터리(신설동역 11번 출구) → 동묘앞역 → 종로구민회관 → 숭인1동주민센터(창신역) → (동망봉터널) → 보문역 → 이후 역순 |
2 개요
3 역사
- 구 도시형 1번(정릉 - 방배동)[1]이 1013번(정릉 - 동대문운동장)으로 단축되었고, 단축된 구간을 담당하게 된 노선이 이 1014번이다. 2004년 10월 14일까지는 삼선동사무소(당시 명칭)를 경유하여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까지 다녔다.
- 2004년 10월 15일에 삼선동사무소 경유에서 돈암시장입구 경유로 바뀌었고, 동대문운동장 회차에서 신당역 회차로 변경하려다가 신설고가차도의 버스 운행금지로 동묘앞역[2] 회차로 바뀌었다.
- 2012년 8월 28일
공기수송을 자랑했던8000번 버스가 토요일과 일요일만 운행하기로 바뀌었을 때 2대가 증차되었으며, 이 중 1대는 주말 한정으로 8000번에 투입되었다. 이후 2013년 1월 5일에 8000번이 폐선되면서 완전히 1014번으로 복귀.
4 특징
1114번과 함께 정릉 풍림아이원 아파트의 발과 다름 없는 버스이다.
한때 대부분의 차량이 로얄미디로 운행했던 시절[3]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현대 그린시티로 교체되었다.
현재 돈암시장을 왕복으로 경유하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다. 원래 1212번도 있었으나 2115번으로 바뀌면서 지나지 않게 되었기 때문.
정릉동 출발 노선들 중 우이신설선 개통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노선이다. 지하철하고 운행 노선이 90%넘게 겹치고, 이 노선의 수요 패턴도 정릉4동 및 아리랑고개 지역에서 성신여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타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릉풍림아이원 주민들과 창신동 주민들이 이 버스를 자주 탑승해 좀더 지켜봐야 할거같다.
심각한 에코운전으로 아리랑고개를 넘을 때마다 뒤로 미끄러질 것 같은 불안감을 조성해준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신설동역, 동묘앞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설동역
- 서울 지하철 4호선 : 성신여대입구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보문역, 동묘앞역, 창신역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북한산정릉역, 정릉역, 성신여대입구역, 보문역, 신설동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