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지선버스(서울),
농어촌버스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6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2동(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경동시장)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4:40 |
막차 | 22:40 | 막차 | 22:55 | ||
평일배차 | 20~50분 | 주말배차 | 40~80분 | ||
운수사명 | 흥안운수 | 인가대수 | 2대(예비 1대) | ||
노선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대농빌라 → 월곡샹그레빌 → 국방연구원 → 세종대왕기념관 → 홍릉사거리 → 동대문경찰서 → 현대코아 → 경동시장 →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 → 동대문경찰서 → 홍릉사거리 → 세종대왕기념관 → 국방연구원 → 월곡샹그레빌 → 월곡래미안루나밸리 → 월곡역 → 동덕여자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 개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근처 교통소외지역을 담당하는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원래 서부운수 133-1번이 담당하던 구간이었는데, 133-1번을 폐선해버리면서 순식간에 교통소외지역이 되어버렸다. 이후 도원교통이 인수하면서 하월곡동 - 경동시장 구간만 442번 순환버스로 부활했다. 1997년 6월 4일에 영신여객에 매각되었다.
- 이후 미아삼거리 - 월곡역 구간이 연장되어 구 도시형 6-1번(現 120번)을 보완하는 형태로 운행하다가, 2004년 서울시 버스개편 때 1219번이 되면서 우이동까지 연장되었다.
- 그러나 노선만 연장된 채 증차가 안되어 배차간격이 심각하게 벌어졌고, 결국 '청량리 - 월곡전화국'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05년 8월 9일에 4.19묘지입구에서 화계사입구로 바로 가도록 변경되었고, 월곡 대신 국민대로 가게 되면서 번호가 1166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166 문서를 참조.
- 이 때문에 한국과학기술원 쪽이 다시 교통소외지역이 된지라 흥안운수가 2005년 5월 16일에 이 노선을 개통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
- 흥안운수의 유일한 아웃노원 노선이다.
- 노선 길이가 짧아(7.9km) 차등요금을 받아야 하지만 일반요금을 그대로 받고있다.
- 442번 시절에도 그렇지만 항상 사람이 없다. 133-1번 시절에도 해당 노선 운행업체가 서울시에 뇌물까지 제공하며 폐선한 흑역사가 있다.[1]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계륵과 같은 존재라 할 수 있겠다. 현재는 서울 버스 201이 홍릉-청량리역구간을 배차간격 15~30분 내외에서 같이 운행해주고 있고, 그 이북지역은 출퇴근시간을 제외하면 이용객이 많이 없는 상황이다.
- 이전에도 몇 번 폐선안이 올라왔으며, 가장 최근으로는 2015년 상반기 노선 조정안에서 이 노선을 폐선하는 방안이 제출되었으나 최종 심의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단독 구간의 대체 노선이 전혀 없기 때문.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계륵과 같은 존재라 할 수 있겠다.
- 동대문구에서 제기/청량리동 지역의 폐선 된 구간이 한두구간도 아닐 뿐더러 노선이 아예 통째로 증발한 과거도 있기 때문에 노선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하지만, 폐선 혹은 단축된 상기 구간은 1) 단방향이라도 정규 노선이 다니거나, 2) 걸어서 수 분 이내에 지하철역 또는 다수의 노선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에 다다를 수 있어 다른 교통수단으로 대체가능하다는 점에서 폐선이 용인된 것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2] 아울러 1226의 단독구간의 대다수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과, 서울시의 교통음영지역을 없앤다는 교통복지 정책기조, 준공영제 하의 현실을 종합하여 볼 때 폐선은 민원으로 인한 보류는 커녕 심의위원회에서 가결되기조차 매우 어렵다.
즉, 계륵노선
- 평일 점심시간이나 휴일에는 염광고 앞 삼화상운차고지까지 와서 주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운행 중간에 (주말 기준) 월곡동 SH2빌 아파트 쯤에서 약 10분 동안 정차해 있다가 간다. 이때 BMS를 꺼놓으므로 위치를 확인 못한다. 그럴때 월곡역에 있으면 그냥 120번 타고 청량리 가는게 훨씬 빠르다.
그 사이에 기사 아저씨의 구름과자 시식 시간이 생긴다.그때 버스 안에 있는사람 지못미.. 그냥 버스 구경하자. 내리지 말고
4.1 시간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입구 출발 후 경동시장까지는 15~20분이 소요된다.
서울 버스 1226번 운행시각표(평일, 토요일) 2016년 4월 기준 / 출처 | ||||||||||
횟수 | 월곡동 | 횟수 | 월곡동 | 횟수 | 월곡동 | 횟수 | 월곡동 | |||
1 | 04:30 | 14 | 08:58 | 27 | 13:58 | 40 | 18:28 | |||
2 | 04:51 | 15 | 09:18 | 28 | 14:18 | 41 | 18:48 | |||
3 | 05:12 | 16 | 09:38 | 29 | 14:38 | 42 | 19:08 | |||
4 | 05:33 | 17 | 09:58 | 30 | 14:58 | 43 | 19:28 | |||
5 | 05:54 | 18 | 10:18 | 31 | 15:18 | 44 | 19:48 | |||
6 | 06:15 | 19 | 10:38 | 32 | 15:38 | 45 | 20:08 | |||
7 | 06:36 | 20 | 10:58 | 33 | 15:58 | 46 | 20:28 | |||
8 | 06:57 | 21 | 11:48 | 34 | 16:18 | 47 | 20:48 | |||
9 | 07:18 | 22 | 12:08 | 35 | 16:38 | 48 | 21:18 | |||
10 | 07:38 | 23 | 12:38 | 36 | 17:08 | 49 | 21:38 | |||
11 | 07:58 | 24 | 12:58 | 37 | 17:28 | 50 | 21:58 | |||
12 | 08:18 | 25 | 13:18 | 38 | 17:48 | 51 | 22:18 | |||
13 | 08:38 | 26 | 13:38 | 39 | 18:08 | 52 | 22:40 |
서울 버스 1226번 운행시각표(공휴일) 2016년 4월 기준 / 출처 | ||||||||||
횟수 | 월곡동 | 횟수 | 월곡동 | |||||||
1 | 04:30 | 14 | 14:18 | |||||||
2 | 04:50 | 15 | 14:58 | |||||||
3 | 06:10 | 16 | 15:38 | |||||||
4 | 07:08 | 17 | 16:18 | |||||||
5 | 07:38 | 18 | 17:08 | |||||||
6 | 08:18 | 19 | 17:48 | |||||||
7 | 08:58 | 20 | 18:28 | |||||||
8 | 09:38 | 21 | 19:08 | |||||||
9 | 10:18 | 22 | 19:48 | |||||||
10 | 10:58 | 23 | 20:28 | |||||||
11 | 12:18 | 24 | 21:08 | |||||||
12 | 12:58 | 25 | 21:58 | |||||||
13 | 13:38 | 26 | 22:40 |
4.2 운행 차량
- 현재 : 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 2006년식 차량이다
- 과거(2004년 개편 이후) : 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1998년식 차량으로 2006년 천연가스버스 도입 이후 1142번으로 이적되었다.
- 과거(442번 지역순환버스)
- 아시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1996년식 차량으로 형간전환당시 투입하였다. (서울 74사 4113호, 4114호, 4145호, 9807호)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1997년식 차량으로 수요증가로 인한 증차분으로 3대 투입되었다. (서울 74사 8123호, 8181호, 서울 75사 2001호) 이후 전차량 6번으로 이적되었다.
- 과거(133-1번 도시형버스)
- 새한 BF101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1986년식 초기형 차량이었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청량리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상월곡역[3], 고려대역[4], 월곡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 청량리역(ITX-새마을, 무궁화, ITX-청춘)
- ↑ 133-1 폐선 관련 링크 442번 시절에는 텅텅 비어 다녔고. 그 노선을 이어받은 1226번도 그렇다. 때문에 서울 도심 근처를 다니는 노선임에도 배차간격이 50분까지 벌어지는 노선이다. 그렇다고 섣불리 폐선하기는 힘든 노선인데, 이 지역에서는 대체 교통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주변에 6호선 고려대역과 월곡역이 있긴 하지만, 걸어가기에는 좀 애매한 거리이며 도보환경도 좋지 않다.(약 15~20분 소요) 지하철역과 떨어진 동네는 많지만 이곳은 시내버스가 다니다가 사라진 곳이기 때문에 약간 다른 경우라 할 수 있겠다.
- ↑ 당장 위의 사례로 든 2236만 봐도 제기로 폐선 구간은 도보 5분 이내의 홍파초교, 홍릉사거리 정류장으로 대체가 가능했다. 2223번의 루트 구간의 경우에도 성일중학교 정류장에서 5분 정도만 걸으면 제기동역에 닿을 수 있다. 1215의 경우에는 201번이 대체노선으로 투입되어 경희대 중심축의 노선으로 변모하였다.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걸어가야 한다.
- ↑ 국방연구원에서 걸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