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1 노선 정보
2 개요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보조간선 노선. 운행거리는 47.3km.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2004년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전 도시형 143번 버스가 노선변경 없이 간선버스 751번으로 운행
4 특징
- 경의선신촌역 구간이 왕복이기는 하나 구산동 방향은 이대역에서 연세대학교정문 쪽으로 빠질 때 2013년 10월까지만 해도 경의선신촌역을 지난 후 성산로의 구조상 연대 쪽으로 바로 빠질 수 없어서 우회전한 후 봉원고가 아래까지 가서 U턴하며 세브란스병원 정류장까지 갈 때 중앙버스전용차로로 끼어들어야 하기 때문에 봉원고가 끝나고 바로 중앙차로에 진입하는 750A/B번에 비해 때문에 시간 차이가 상당하다.
-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 공사 중이던 2013년 11월부터 여기서 바로 좌회전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2016년 현재도 일단은 기존 노선대로 U턴 운행 중이며, 이는 7017번도 마찬가지다.
- 이 노선 역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기는 하나 한강대교를 건너가므로 750A/B번, 752번과 마찬가지로 구산동 방향으로 갈 때는 환승센터의 구조상 당연히 정차하지 못한다. 따라서 갈월동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4호선 서울역 출구를 통해 횡단하거나 숭례문 쪽으로 진입하는 다른 버스 노선으로 환승할 것.
- 또한 역시 이 노선도 기점인 구산동 본사에는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동사의 702A/B번의 종점인 용두동 영업소까지 공차회송하여 용두동영업소의 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
- 2012년에 개봉한 영화 건축학개론에서 건축학개론 교수가 학교(연세대학교)에 출근할 때 타는 버스로도 나온다. 이촌동에서 38번[3]을 타고 삼각지에서 143번으로 갈아타고 학교로 출근한다는 대사가 나오는데 이 때 143번이 현재의 751번이다.
- 한때 동사의 753번과 함께 종점을 숭실대학교에서 사당역으로 연장하려고 했으나[4] 운행대수 부족과 배차간격이 커질 것이 우려되어 무산된 적이 있었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울역[1], 남영역[5], 용산역[6], 노량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서울역[1],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충정로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새절역, 삼각지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장승배기역, 상도역, 숭실대입구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노들역, 노량진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가좌역, 신촌역, 용산역[6], 서울역[1]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역[1]
- 일반 철도역 :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1], 용산역(KTX,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ITX-청춘)[6]
- ↑ 1.0 1.1 1.2 1.3 1.4 1.5 숭실대학교 방향만 정차
- ↑ 단, 여기엔 함정이 있다. 숭실대학교는 7호선 개통을 즈음하여 정문을 숭실대입구역 바로 앞으로 바꾸어놓았는데, 버스노선에는 이게 여태까지 반영이 되지 않아 실제로는 (그 전까지는 정문이었던) 중문에 있는 정류장을 정문으로 부르고 있다(…).
- ↑ 개편전 38번은 월계동 - 동부이촌동 구간을 다녔던 노선으로 2004년 개편 때 1222번으로 단축(월계동~고려대)되어 지금은 이촌동에 오지 않는다. 서울역 - 동부이촌동 구간은 현재 100번이 대체중.
- ↑ 연장 구간은 숭실대학교 정문 - 숭실대학교 별관 - 사당5동파출소 - 총신대학교 - 사당중학교 - 남성역 - 사당시장 - 사당동 대아신협 앞 - 남성초등학교 - 사당1동 중앙시장 앞 - 사당동우체국 - 방배경찰서앞 - 사당역 9번 출구 - 사당역 구간이다.
- ↑ 숙대입구역 정류장 하차 후 도보 5분.
- ↑ 6.0 6.1 6.2 신용산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