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9401B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1B번
기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구미동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점행첫차04:30기점행첫차05:25
막차23:00막차00:00
평일배차10~15분주말배차10~15분
운수사명남성교통인가대수13대
노선구미동차고지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오리초등학교 - 이마트분당점 - LH한국토지주택공사 - 정자동한솔플라자 - 이매촌한신아파트 - 백현마을1,2단지 - 낙생육교(판교역입구) - 경부고속도로(판교요금소 ~ 한남대교) 무정차 - 한남동(순천향대병원입구) - 명동성당입구종각역조계사광화문(세종문화회관) → 태평로.삼성생명본사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숭례문 → 롯데백화점본점 → 명동성당입구 → 이후 역순

2 개요

남성교통에서 운행했던 광역버스. 운행거리는 72.36km.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당시 죽전에서 여의도 구간을 운행하던 직행좌석버스 7007번이 노선변경없이 광역버스 9409번으로 운행
  • 2010년 1월 8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으로 수요가 감소한 신사역-여의도 구간을 폐선하고 한남동 순천향대학병원 입구 회차로 변경
  • 2010년 8월 21일 한남동 순천향대학병원입구에서 소월길경유 광화문까지 연장
  • 2012년 2월 28일 부로 9409번 죽전 구간, 강남대로 구간, 소월로 구간을 자르고 번호를 9401번의 지선처럼 부여해 운행하기 시작했다. 광역버스 중 최초로 노선번호에 A/B 구분이 들어간 경우.[1] 9401번과 함께 고속도로를 달리는 유이한 서울특별시 면허 광역버스이며, 서울역환승센터에서 볼 수 있는 유이한 서울특별시 번호판이 붙은 광역버스였다.
  • 입석 금지가 시행되면서 2014년 7월 16일에 9401번과 통합.

4 특징

운행 경로를 보면 알겠지만 9000번100% 중복된다. 아니, 먼 옛날 남성교통경기고속9000번공동 배차하다가 개편 이후 폐선시킨 전례(9402번)가 있으니 사실상 9402번의 부활.

현재 비어 있는 번호인 9402번이 아닌 9401B로 한 이유는 인지도가 9401번이 좀 더 높기 때문이라고 한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9401번 자체를 두 회사가 공동배차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대신 B를 붙였기에 서로간 환승은 가능했다.현재는 진짜로 공동배차 중

여담으로 5대는 신형에 가까운 에어로 스페이스를 쓰고 8대가 현대 유니버스로 대체한다.서울 버스중 차량 댓수 많고 돈도 많은데 보조금으로 개인 돈 쓰고 기사들 처우 개판치고 광역버스 차종도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출고하는 선진운수와 비교도 안되는 거 보면 역시 대인배가 따로 없다. 다만 TOPIS에는 약간 오류가 있었는지 대차 초기엔 저상버스로 표기되어 있었다.광역버스 최초 저상 투입? 4권역을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면허 광역버스 중에서는 처음 도입된 현대 유니버스 차량들이다.

9401번이란 이미지 효과가 있고, 서울특별시 면허 광역버스여서 150원 싸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분당에서도 이용객은 꽤 된다. 하지만 동 구간에 9000번이 좀 더 잘 와서 고전 중.[2] 승객 수는 분당-도심광역 중 꼴찌이다.7007-1하고도 300명밖에 차이 안 나니까 말 다했다. 9000번은 6천명대, 물론 출퇴근 시간에는 이 노선도 얄짤없이 가축수송

9401번처럼 차량 외부에 "서현역 직통" 이라고 붙어 있으며, 이매촌한신아파트 하차 후 이매사거리 방향으로 내려가면 보인다.

돌마로를 지나는 9401번과 달리, 한 블록 옆인 정자동 어반127(구 한솔플라자) 쪽으로 들어간다.[3] 하지만 한솔플라자는 리모델링 공사 중지로 사실상 폐상가 상태였다가 어반127로 바뀌었다. 9401B번의 통합 이후 한솔플라자 쪽으로 가는 서울 시내버스는 9404번뿐이다.

5 연계 철도역

  1. 다만 본선 취급 받는 동성교통 9401번에는 A가 붙지 않는다.
  2. 인가대수는 9000번이 21대로 8대더 많다.
  3. 거기서 탄천 쪽 내리막길로 한참 걸어가면 바로 정자역이다.
  4. 경의선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은 서부역이니 숭례문(옛 YTN타워)에 내려서는 답이 없다. 굳이 가고 싶다면, 얌전하게 환승센터 가는 노선으로 바꿔 타서 이동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