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순환로

(홍지문터널에서 넘어옴)

부산광역시의 내부순환도로에 대해서는 내부순환도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특별시도
내부순환로(30번)ㆍ서부간선도로동부간선도로(61번)ㆍ북부간선도로강변북로(70번)ㆍ올림픽대로(88번)ㆍ경부고속도로 시내구간강남순환로(94번)
20번21번30번31번41번50번51번60번61번70번71번88번90번92번94번
30번 서울특별시도
내부순환로
서울특별시 종로구간선도로
고속화도로내부순환로
대로세종대로 · 삼일대로
김상옥로 · 난계로 · 대학로 · 돈화문로 · 동호로 · 무교로 · 보문로 · 북악산로 · 북촌로 · 사직로
삼봉로 · 삼청로 · 새문안로 · 성균관로 · 세검정로 · 수표로 · 우정국로 · 율곡로 · 인왕산로 · 자하문로
종로 · 지봉로 · 진흥로 · 창경궁로 · 창의문로 · 청계천로 · 청와대로 · 통일로 · 필운대로 · 혜화로
효자로
경교장길 · 경희궁길 · 계동길 · 낙산길 · 낙산성곽길 · 낙산성곽동길 · 낙산성곽서길 · 대명길 · 덕수궁길 · 동망산길
동순라길 · 동숭길 · 명륜길 · 백석동길 · 비봉길 · 서순라길 · 송월길 · 숭인동길 · 옥인길 · 와룡공원길
윤보선길 · 이화장길 · 인사동길 · 창덕궁길 · 창신길 · 충신길 · 팔판길 · 평창길 · 피마길 · 홍지문길
강남구 · 강동구 · 강북구 · 강서구 · 관악구 · 광진구 · 구로구 · 금천구 · 노원구 · 도봉구 · 동대문구 · 동작구 · 마포구
서대문구 · 서초구 · 성동구 · 성북구 · 송파구 · 양천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은평구 · 종로구 · 중구 · 중랑구
서울특별시 성북구간선도로
고속화도로내부순환로 · 북부간선도로
길음로 · 대사관로 · 도봉로 · 돌곶이로 · 동소문로 · 보국문로 · 보문로 · 북악산로 · 삼선교로 · 삼양로 · 서경로 · 선잠로 · 성북로 · 솔샘로 · 숭인로 · 아리랑로 · 안암로 · 오패산로 · 월계로 · 월곡로 · 인촌로 · 장월로· 장위로 · 정릉로 · 종암로 · 지봉로 · 창경궁로 · 한천로 · 혜화로 · 화랑로 · 회기로
개운사길 · 낙산길 · 동망산길 · 보문사길 · 흥천사길
강남구 · 강동구 · 강북구 · 강서구 · 관악구 · 광진구 · 구로구 · 금천구 · 노원구 · 도봉구 · 동대문구 · 동작구 · 마포구
서대문구 · 서초구 · 성동구 · 성북구 · 송파구 · 양천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은평구 · 종로구 · 중구 · 중랑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간선도로
고속화도로내부순환로 · 동부간선도로
대로천호대로
겸재로 · 경동시장로 · 경희대로 · 고미술로 · 고산자로 · 난계로 · 답십리로 · 망우로 · 무학로 · 보문로
사가정로 · 서울시립대로 · 신이문로 · 안암로 · 약령시로 · 약령중앙로 · 왕산로 · 외대역동로 · 이문로 · 장안벚꽃로
장한로 · 전농로· 정릉천동로 · 제기로 · 종로 · 종암로 · 천장산로 · 청계천로 · 하정로 · 한빛로
한천로 · 홍릉로 · 황물로 · 회기로 · 휘경로
약령동길 · 약령서길
강남구 · 강동구 · 강북구 · 강서구 · 관악구 · 광진구 · 구로구 · 금천구 · 노원구 · 도봉구 · 동대문구 · 동작구 · 마포구
서대문구 · 서초구 · 성동구 · 성북구 · 송파구 · 양천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은평구 · 종로구 · 중구 · 중랑구

內部循環路 / Naebu Expressway [1]
-내부부르크링-

1 개요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정릉터널을 지나 성동구 성동교 남단까지 연결되며 다시 동부간선도로, 강변북로를 통해 서울 시내 내부를 돌아와 성산대교에서 끝나는 총연장 40.1 km 의 고속화도로이다. 내부순환로 자체 구간은 19.73 km이고, 강변북로 중첩 18.33 km, 동부간선도로 중첩 2.04 km. 내부순환로 자체 구간은 30번 서울특별시도에 지정되어 있다.[2] 어째서인지 구글 지도에서는 옛날 번호인 66번으로 나온다.[3] 또한 경기 서북부, 북서부, 북동부, 동북부에서 서울 도심으로 들어오는 교통 거점 전부인 가좌(연희), 홍제, 미아사거리(길음), 청량리(마장), 왕십리(사근) 모두를 시계방향으로 해서 차례대로 순환해서 지나간다.

당연히 자전거는 출입금지이다. 긴급자동차[4]를 제외한 오토바이는 출입금지이다.

왕복 6차로로 1993년 7월 23일 내부순환선이 상정되어 도로명이 제정되었으며, 1999년 1월 완공되었다. 서울시의 순환도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마포구, 서대문구, 종로구(평창동 지역 한정. 위 지역은 종로구 생활권이 아닌 서대문구 생활권이며, 중간에 램프도 없다. 단지 지나가기만 할 뿐(...)), 성북구(성북구를 지나가지만, 미아리고개 너머인 정릉과 길음, 종암 정도만을 지나가므로 모두 성북구 중심가는 빗겨가고 미아사거리쪽 생활권만 지나간다고 볼 수 있다.), 동대문구, 성동구를 지난다.

10톤 이상 화물차, 가스 및 유류운반 탱크로리, 폭발물 운반차량, 건설 기계 등의 특수차량은 통행이 제한된다.[5]

개통 당시에는 마장 램프와 사근 램프 사이에 청계램프도 있었다. 이 램프를 통해 청계고가도로와 이어진 적이 있었으나,(성산방향은 청계고가 시청방향 진입, 성동방향은 청계고가에서 진입으로 마장램프와 반대다) 완공된지 겨우 4년만에 청계천 복원 공사로 청계고가도로가 철거되자 청계램프를 폐쇄하였다. 그래서 이 부근을 지나다보면 성동방향은 차로가 갑자기 생기고 성산방향은 차로가 없어진다.

월드컵대교가 완공되면 난지 램프에서 내부순환로와 이어지게 된다.

조선초기 성저십리 경계와 비슷하다 카더라.
프랑스 파리의 외곽순환도로인 페리페릭(périphérique)과 비슷하게 사실상 이 도로의 내부가 서울의 도심이다.[6] 참고로 내부순환로의 내부에는 LPG 충전소가 없다.

2 구간

소재지이름접속 도로비고
서울특별시마포구상암동성산대교 북단70번 서울특별시도(강변북로)
성산동성산램프48번 국도(성산로), 월드컵로
서대문구연희동연희램프모래내로, 홍제천로
홍은동홍제램프연희로
홍제동홍은램프세검정로
성북구정릉동정릉램프20번 서울특별시도(정릉로)
하월곡동길음램프20번 서울특별시도(정릉로)
하월곡JC북부간선도로
종암동월곡램프월곡로
동대문구용두동마장램프청계천로
성동구사근동사근램프살곶이길
성수동1가성동JC61번 서울특별시도(동부간선도로)

터널은 홍지문터널[7]정릉터널이 있다. 성산대교부터 성수대교와 만나는 동부간선도로 분기점까지는 고가도로이며, 나머지는 강변북로이다. 중간에 종암JC에서 북부간선도로와 이어진다. 따라서 중부고속도로 동서울TG를 찍은 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남양주TG를 한 번 더 찍고 구리IC로 나와 신내남양주도시고속화도로를 통하여 북부간선도로에 진입, 내부순환로를 통해 서대문구로 직방으로 갈 수 있다. 안 밀리면 27~30분 정도. 후술하는 안전보수에 따른 교통통제 구간은 종암JC이다.

3 버스

내부순환도로를 경유하는 버스는 공항버스가 유일하다. 만약 서울서부버스터미널에서 경부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 쪽으로 가는 시외버스 혹은 고속버스가 있었으면 분명 홍은IC나 홍제IC에서 이 도로를 타고 성산대교한남IC까지 갔을 것이며, 고속도로까지 가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을 것이다.

공항버스 6101번이 여기를 경유한다.

4 정체의 원인

각각의 나들목들이 죄다 상습 정체 구간이다. 어쩔 때 보면 자전거가 더 빠르겠다 싶은 정도의 속력이 나기도 한다. 이미 도로 용량을 초과한 상태인 것. 사실 더 중요한 건 나들목의 위치가 좋지 못해서이다. 대부분의 나들목[8]이 내려가자마자 큰 교차로와 마주친다. 즉 내려가자마자 신호 대기 크리에다 교차로 통과 차량과 나들목에서 내려온 차량이 뒤엉키는 구조가 된다. 교차로와 충분한 거리를 두고 하향 램프를 만들었으면 좀 나았을 듯. 아무래도 설계 미스이거나 당시에는 이렇게 교통량이 많을지 생각 못한 것 같다.

대표적으로 성산대교 방향 홍은램프와 성산램프의 정체가 제일 심한편이다. 홍은램프는 심한 경우 홍지문터널 나오자마자 막히는 경우도 있으며, 성산램프는 연희램프 지나자마자 막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실상 내부순환로의 메인구간인 홍지문터널과 정릉터널은 상당히 고지대에 있다보니 경사를 가지고 있어 이로 인한 차량 지체 현상이 상당하다. 동부간선도로 방향의 홍제램프~홍지문터널 구간, 성산대교 방향의 길음램프~정릉터널 구간이 해당된다.

매일 오전 출근시간대 내부순환로가 막히기 시작하면 차라리 도심을 관통하는게 더 빠르다.

5 홍지문터널

JoKkCxW3B4ZZaIon.jpg
이 도로에 있는 홍지문터널은 서울 시내에 있는 터널 중 상당히 긴 거리(1892m)를 자랑한다.[9] 당연히 긴 만큼 터널 내 공기 오염도도 서울에서 최악을 달린다. 이 구간을 통행하는 위키러가 있다면 반드시 공조장치를 유턴모드내기순환 모드로 바꾸고 주행하자
낮시간대에는 터널인데 전조등을 안 켜는 차가 많다. 뭐 여기에서만 안 켜는건 아니지만...

6 2016년 일부 구간 임시 폐쇄

2016년 2월 22일 부터 1개월동안 사근램프부터 길음램프까지 양 방향을 전면 폐쇄했다. 17일 정릉교 고가교 해빙기 점검 중 성수 방향 월곡램프와 마장램프 중간에서 상부구조물을 받치는 대형케이블 20곳 중 1곳이 절단된 게 발견되어서 전면 폐쇄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자세하게 따지면 성산 방향은 성수분기점에서 종암분기점 구간이, 성수 방향은 종암분기점에서 사근램프 구간이 통제된다. 이로 인한 교통 정체는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강북 교통지옥 확정 #

그래도 불편해도 안전이 우선 중요하니 빨리 대처하는게 좋다는 댓글이 당연히 많았다. 최근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사고들이 많이 일어나니...

사근램프로의 진출도 불가능하니(진입은 가능) 주의하자. 혼란을 막기 위해서인듯 하지만 사근램프를 이용하는 차량들은 불편을 겪을 듯 하다. 오히려 통제 소식을 모르고 동부간선도로로 들어온 차들이 천호대로에 헬게이트를 부르지 않을까 우려된다.

이 폐쇄 조치는 동년 3월 19일자로 해제되어 해당 구간이 다시 운행재개됐다.

  1. 서울시 도로표지판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문 공식 명칭이게 뭐야......
  2. 30번 서울특별시도는 내부순환로만으로 구성
  3. 과거 서울시내 4대 횡축 간선도로였던 내부순환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남부순환로의 노선 번호는 66, 77, 88, 99번이었다가, 2000년대 들어 올림픽대로(88)만 제외하고 각각 30, 70, 92번으로 바뀌었다.
  4. 경찰/헌병오토바이 등등
  5. 도로 구간의 거의 대부분이 고가도로이거나 교량으로 건설되어서 그렇다. 강변북로 구간은 이런 차량이 통과하다 추락사고가 나면 바로 한강행이고, 시내 구간이라고 하여도 바로 주변은 거주지역...ㅎㄷㄷ 꼭 그렇지 않더라도 서울 시내에 이런 차량은 일단 기본적으로 진입이 금지되어있기도 하고.
  6. 사실 내부순환로를 건설할 당시 뉴스를 보면 파리를 참고하여서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7. 홍은램프와 홍지문터널 사이의 구간 중에서 성산램프 방향으로만 터널형태로 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구간도 있는데, 그곳이 홍제동 대공분실이 있는 곳을 지나는 구간이라서 설치되어 있다. 여담을 보면 시위대가 내부순환도로 위로 올라와서 홍제동 대공분실 쪽으로 화염병을 던질지 몰라서 그렇게 했다는 설이 있다.
  8. 정릉램프(성산방향)을 제외한 전부 다라고 할 수 있다(...)
  9. 2016년 5km가 넘는 관악터널과 봉천터널이 있는 강남순환로의 개통으로 자리를 물려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