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상

姜尙

220px-Jiang_ziya.jpg
삼재도희의 강태공 상

1 설명

중국의 상고시대인 은주혁명기(기원전 11세기 경)의 정치가이자 전략가. 은 강(姜)이고, 는 여(呂), 이름은 상(尙). 는 자아(子牙), 아호는 비웅(飛熊)이다. 대한민국에는 흔히 별명들인 태공망(太公望), 강태공 등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1], 그 외에도 강자아, 여상, 여망으로도 부른다. 참고로, 태공망, 강태공, 강자아 등으로도 검색해도 모두 이 문서로 들어올 수 있다.

은주혁명기에서 주나라의 재상으로 활약한 인물. 낚시꾼의 대표로도 유명하다. 웹 상에서 낚시를 하는 사람을 강태공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웹 상에서 저질 떡밥을 내놓는 인터넷 낚시꾼과는 비교가 안 되는 인물 중 하나.

저서로는 병법서인 육도와 삼략이 있다고 하며,[2] 당서의 내용에서는 전차기병 8기분의 전력이며 기병은 보병 8기분의 전력이라고 했다. 실제로 마종이 개량되고 기마궁술이 개발되는 춘추시대 말기 이전까지는 전차가 주 병종이었고, 이후에도 한동안 전차는 기병 몇 기분의 전력을 보여줬다. 전차가 훨씬 비쌌기 때문에 결국 전국시대 말로 가서는 도태되지만. 채리엇 항목 참조.

조상이 여(呂)땅의 제후로 봉해져 여씨 성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에 여상(呂尙)이라고도 불린다. 도가에서 부르는 호칭은 비웅(飛熊)이다.[3]

태공망이란 '창의 아버지 태공(太公)이 그토록 간절히 바라던(望) 사람'이란 뜻이다. 나이도 제법 비범한데, 기록에 따르면 주문왕을 따랐을 때 이미 70대의 노인이었으나, 주나라가 성립되고도 한참을 더 살았다. 이 강태공의 장수에 대하여 나온 말이 궁팔십달팔십(窮八十達八十). 태어나서 여든 살이 되도록 궁하게 살았으나, 나이 팔십에 서백 창을 만나 등용되면서 주나라를 세우고 영화롭게 80년을 더 살았다는 것이다. 물론 실제로 160년을 살았을리는 없겠지만, 이후 반평생을 어렵게 살다가 나머지 반평생을 성공한 인생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4] 우리나라로 비교하자면 명림답부급의 인물. 물론 고대이기 때문에 확신할 수는 없다.

2 일대기

2.1 70세까지 무위도식

강상은 공부를 대단히 좋아했던 모양으로 70세까지 관직에는 나가지 않고 공부만 했다고 한다. 부인은 계속 뒷바라지하다 견디지 못하고 가출하였고 식량이 떨어진 그는 위수가에서 낚시를 했다.

이 때 휘어있지 않은 낚싯바늘로 낚시를 하고 있었다고 하여 강태공이 '물고기를 낚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낚고 있었던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전해내려오지만, 실제로는 곧은 낚싯바늘도 낚시용 도구로 사용했었다.[5]

또는 낚시를 하긴 하였는데, 그 낚시대가 수면에서 세치는 높은 곳에 있었다고 해서 나온 이야기가 '태공조어 이수삼촌太公釣魚 離水三寸'.[6]

2.2 역성혁명

백수로 지내며 낚시를 하던 중 그 근처에서 사냥을 하던 서백(西伯) 창(昌), 즉 훗날의 주나라 문왕의 눈에 뜨여 중용된다.[7] 강태공은 그 뒤 서백 창이 은나라주왕에 의해 유배되자 미녀를 바치라는 조언을 하여 유배에서 풀려나게 하는 등의 활약을 한다. 이후 문왕과 아들 무왕을 보좌하여 역성혁명을 달성했다. 주의 재상이었고, (산동반도)의 공(公)으로 봉해졌다. 춘추시대 패자의 시대를 열었다는 제나라의 환공은 바로 이 사람의 후손이다. 단, 전국시대의 제나라는 나라의 주인이 전씨로 바뀌었기 때문에 태공망의 후손은 아니다.

나중에 역성혁명을 성공하고 개선하는 그의 앞에 과거 도망갔던 그의 아내가 폭삭 늙어서 돌아와 받아달라고 엎드리자 그는 그릇에 담긴 물을 바닥에 쏟은 후 "엎어진 물은 다시 돌아올 수 없다(覆水不反盆)"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심지어 어떤 버전에서는 노역을 하러 온 사람들 중 아내가 섞여 있는 것을 태공망이 먼저 발견하고 일부러 불러서 날 알아보겠냐고 물어본 뒤 물을 엎고 위 이야기를 읊는다. 이것이 복수불반분의 고사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70살 때까지 관직에는 안 나갔어도 수 년간 활약하고, 부인도 살아있는 것으로 보아 실제론 그 정도까지는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제나라는 훗날 강성해져 춘추오패의 한사람인 제환공 때는 춘추시대의 패권국이 되기도 한다. 그 이후에도 꽤 강국으로 남아 진시황의 천하 통일 시에는 가장 마지막에 멸망한 국가이기도 했다.[8]

유명한 전략가였기 때문에, 문신인 공자와 더불어 무신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후대에 유교적 사상에 충실한 관우가 급부상하면서, 도교적 성향이 강했던 태공망은 밀려나게 된다.도교적 성향은 예나 지금이나 인기와 반비례했다.

인의와 덕이 아닌 극형으로 나라를 다스렸기 때문에 인의 중심의 이상적인 정치를 중시하는 유가 계열이 득세하는 후세엔 공자 등에게 까이긴 하지만, 유가, 법가, 도가, 병가 등 다수 학파들이 강태공을 선조로 모시는 관계로 백가종사(百家宗師)라 불린다.

3 강상을 선조로 모시는 성씨

한국과 중국의 강씨, 그리고 여씨의 시조로 꼽힌다. 한국에서는 진주강씨와 함양여씨, 성산여씨가 있으며 중국에는 천수강씨가 있다.

4 봉신연의 속의 강상

고전소설 《봉신연의》에서 강상은 선인(仙人)의 제자로서 등장한다. 사실상 봉신연의의 주인공.

5 대중문화 속의 강상

5.1 개별 항목이 존재하는 강상(태공망)

5.2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

파일:Attachment/강상/smellyoldydutkdrkdtkdsam11.jpg
삼국지 11
삼국지 12,13

고대무장으로 등장하며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97/무력:50/지력:100/정치:96/매력:90이라는 무시무시한 능력치를 자랑한다. 지력이 동급인 제갈량, 장량보다 통솔, 무력, 정치가 높아 활용도가 더 높다. 여기에 특기는 장각과 장보가 가지고 있는 귀문이다. 제갈량, 장량과 더불어 중국의 3책사로 일컬어지는 만큼 지력은 100으로 나오는데 신산이 특기가 아니라고 아쉬워할 필요가 없다. 어차피 귀문의 낙뢰쇼는 신산보다 강하니까. 하지만 옵션에서 낙뢰 금지로 하면 어떨까? 가뜩이나 무력을 제외한 나머지 능력도 캐사기 급으로 높은데 특기가 귀문이다보니 백출, 귀모를 가진 장수와 조합해서 병사고 건물이고 싹 쓸어버릴 수 있다.

그런데 에디터로 뜯어보면 강태공과 상성이 일치하는 군주는 한명뿐이다. 다름아닌 동오의 덕왕 폐하(...) 당연히(?) 친한 무장은 장량이다.

삼국지 12에서는 능력치는 전작과 별 다를 바가 없으나, 전작에서 귀문같은 사기 특기를 주었으면 이번 작에서는 신화계 정도는 줄 수 있을 법도 한데, 문무저하라는 상당히 애매한 전법을 주었다.[9] 지력이 100이라서 능력치 저하 시간이 위력적이지만 뭔가 아쉽다. 그래도 대타격, 화계, 매복지독을 가진 무장들과 조합하면 아주 쓸만하지만, 파워업키드에서 전법봉인으로 바꿔졌다. 장비나 여포 같은 머리 나쁜 무장이 맞는다면 영원히 전법을 쓸 수 없다.. 참고로 일반적인 해금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일러스트는 역시나 낚시꾼(...)으로 나왔다. 저건 낚시대가 아니고 단소라고!

삼국지 13에서는 전용전법인 육도비계를 들고나왔다. 화공계 전법으로 공격력 1단계, 방어력 1단계, 기동 3단계, 사기 1단계 감소의 강력한 전법이다. 장각의 태평요술과 다른 점은 장각은 기동 1단계, 사기 3단계이기때문에 같은 전법이라고 장각이 좀 더 유리한편. 하지만 화공계 최강전법은 단연 전단의 화우계다.
능력치는 통솔 97, 무력 50, 지력 100, 정치 96에 특기는 상업 8, 농업 7, 문화 1, 훈련 8, 순찰 5, 설파 9, 교섭 7, 언변 7, 공성 6, 견수 5, 귀모 9이다.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병과적성은 창병과 기병이 B이지만 궁병은 S. 중신특성은 무려 사마의, 제갈량과 같은 신산귀모이다.

5.3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의 무기

초장기 이벤트 1탄에 해당하는 대검. 강태공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일본판 명칭은 태공망.

깡뎀 960, 수속 1500이란 무서운 스펙을 자랑한다.

기간은 무제한이며, 청새치 3000마리를 잡아 3단계에 걸친 납품퀘를 마쳐 대검을 제작한다.
강화트리는 시작품 [허탕] → 명품 [입질] → 진품 [월척] → 강태공
그야말로 낚시꾼의 일생을 그린듯한 네이밍.

수속이 깡뎀을 가볍게 씹어먹을 기세지만, 실제론 대검치곤 깡뎀이 비교적 낮아서 범용성은 그저 그렇다고...
허나 수속이 약점인 몬스터(예: 에스피나스 아종, 그라비모스 아종)에게는 그야말로 저승사자.

일본에선 장기 이벤트 2탄인 하베스트 방어구도 개시했으며, 채집템 12종류를 500개씩 모아 총 6000개의 아이템을 납품해야 한다. 한자릿수 확률인 '베릴 광석'을 제외하면 전부 대량으로 얻기 쉬워서인지 하루만에 제작하는 사람도 등장. 국섭에서도 소식이 들려오자마자 미친듯이 채집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5.4 그 외

6 관련 항목

  1. 태공이 기다리고 바라던 인물이라는 뜻에서 태공망이라는 별칭이 붙었으며, 태공은 국왕의 생부를 가리키는 별칭이다. 그런데 태공이라는 호칭이 그대로 여상을 가리키는 칭호가 되어버렸다.
  2. 하지만 이 서적들은 후대에 작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다.
  3. 때문에 주문왕이 꿈에 을 보았다는 식의 이야기가 나온다.
  4. 임진왜란 때 활약한 권율은 40이 넘어서까지 관직을 얻을 생각은 안 하고 놀고 먹기만 했는데, 이걸 친구들이 뭐라 그러자 "그 옛날 강태공도 80대까지 놀고 먹었는데 뭘~" 이러면서 넘겼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권율은 아빠가 영의정이었다는 게 함정.
  5. 현산어보를 찾아서 - 학꽁치 관련 내용
  6. 이중에서 태공조어는 원자상구願者上鉤와 더해져서 다른 고사를 형성하기도 하고, 사조영웅전이막수가 무공 초식명으로 사용한 이래로 무협소설의 초식중 하나로 사랑받게 되니 이것도 아이러니.
  7. 여기서 그 유명한 '오늘 큰 것을 낚았소' 이야기가 나왔다.
  8. 하지만 강태공의 강성여씨 왕조는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당대의 권신인 규성전씨에게 찬탈당하므로 이게 꼭 옳다고 할 수 있을지...
  9. 대신 신화계는 오기에게 주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