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계급

1 개요

Military Rank. 군인계급.

군대가 조직으로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것. 초기 공산권 군대에서 '계급없는 군대'를 주장하다가 이것이 잘못이라는 걸 깨닫기도 했다. 참고로 의 힘은 계급을 어느 정도 뛰어넘기도 한다. 그것을 간과하고 계급만을 믿다가 일어난 일이 "자네가 주임원사인가". 군대 외에 경찰이나 교도관같은 경우에도 계급이 존재하나 계급의 호칭과 범위가 많이 다르다.

나라마다 사정이 달라서 그런지 미묘하면서도 상당한 곳에서 차이가 난다. 대표적인 예만 들어도 아래와 같다.

  • 원수 위에 대원수를 두거나, 원수 아래에 차수를 두는 경우
  • 상급대장과 같이 상급 장교로 통칭되는 계급들을 추가하는 경우
  • 영관급 장교 대신 좌관급 장교를 두는 경우 또는 교관급 장교를 두는 경우
  • 부사관 계급체제가 넓고 복잡한 경우 (특히 미군)
  • 위에 언급한 모든 것이 혼합되었으나, 일부 항목이 빠지는 경우

한국의 경우 미필자들은 벽돌 하나가 일병, 벽돌 두 개가 이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벽돌 하나가 이병, 두 개가 일병이다. 이건 해당 계급의 정식 명칭을 떠올려보면 답이 나온다. 이등병, 일등병이므로 이등보단 일등이 높다.

국군 계급체계와 계급장은 미군 계급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초창기에는 거의 미군과 같던 국군 계급도 베트남 전쟁 등을 거치며 상당히 많은 변화가 생겨 지금처럼 차별화가 되었다.

미군 계급 중 계급장은 나무와 하늘을 뜻한다. 사병과 부사관의 계급은 ㅅ모양이 중첩되는 것인데 이는 나무의 뿌리를 뜻한다. 위관급 장교는 굵은 ㅣ자 모양으로 이것은 나무의 줄기와 가지. 영관급 장교는 나무의 잎(소령, 중령)과 독수리 모양(대령)으로 나무 위에 앉은 독수리이며(미국의 상징이 독수리이기도 하다) 장관급 장교의 별은 나무 위 하늘의 별이다.

중국군은 한때 문화대혁명의 광풍에 휘말려 계급제를 폐지한 바 있었다. 그런데 그 와중에 일어난 중월전쟁에서 계급없는 군대가 얼마나 개판인가를 통감하면서 결국 1988년 계급제를 다시 부활시켰다.

상당수의 밀리터리 계열 FPS 게임들은 계급을 레벨과 같은 용도로 쓴다. 덕분에 장성들이 소총을 들고 돌격하는 현실에선 보기 힘든 상황이 만들어지기도. 그래도 대놓고 계급=전투력원피스해군들보단 낫다(...).얘네들은 대장급 정도 되면 단신으로 섬 하나를 초토화시킨다

2 계급의 발달

이 계급 발달은 서유럽을 주로 기반으로 하는데 서유럽의 군제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군에도 영향을 미친다. 장교 계급 가운데 가장 먼저 나타난 계급은 Captain과 Colonel, General이다. 군대가 점점 세분화되면서 Captain을 대리하는 Lieutenant Captain이 나타나고 Colonel을 대리하는 Lieutenant Colonel과 General을 대리하는 Lieutenant General이 나타나게 된다. Major는 본래 Colonel을 보좌하던 경험 많은 부사관이었는데 참모 장교를 가리키는 말로 변화하였다. Lieutenant Captain의 경우 그냥 줄여서 Lieutenant가 되었고 다시 분화되어 Lieutenant First Class와 Lieutenant가 되었다. 장교로 편입된 말인 Major는 Lieutenant General보다 낮은 단계의 장군을 가리키는 말에 영향을 주어 Major General이란 표현을 만들었고 여단을 지휘하는 Brigadier General도 나타나게 된다.
자세한 역사는 장교 문서 참조.

3 한국군 계급체계

계급은 장교/준사관/부사관/병으로 나뉘며 이들의 실질적 예우는 다음과 같다.

장교부사관
대장원사
중장
소장
준장
대령상사
중령
소령
대위중사
중위
소위하사

병은 이들보다 예우가 아래이다. 그래서 자네가 주임원사인가 같은 행동은 초급 장교가 장성 예우를 받는 사람에게 무례하게 행동하는 것이다. 물론 예우만 그렇다는 거고 하는 일은 명백히 다르다.

3.1 현재

대한민국군사 계급
장관급 장교
준장소장중장대장원수
위관급 장교영관급 장교'
소위중위대위소령중령대령
부사관준사관
하사중사상사원사준위
이등병일등병상등병병장

3.1.1 장교

전투복용 계급장은 색에 따라 다르다. 검은색은 육군, 해병대, UDT/SEAL. 흰색은 해군. 파란색은 공군. 수장은 해군만 사용한다.

3.1.1.1 장관급 장교
계급준장소장중장대장원수[1]


파일:3essKAo.gif파일:D1dmgDB.gif파일:52eyKRW.gif파일:RiDLs37.gif파일:BL1nlqE.gif

Brigadier General
육군
공군
해병대
Commodore Admiral
해군
Major General
육군
공군
해병대
Rear Admiral
해군
Lieutenant General
육군
공군
해병대
Vice Admiral
해군
General
육군
공군
Admiral
해군
General of the Army
육군
General of the Air Force
공군
Fleet Admiral
해군

파일:SMrrRaO.png파일:NAMR4Ae.png파일:NpmTrQj.png파일:BNP4BXW.png파일:BXbWFRC.png

Commodore Admiral
해군
Rear Admiral
해군
Vice Admiral
해군
Admiral
해군
Fleet Admiral
해군
3.1.1.2 영관급 장교

소령중령대령



파일:R5givH9.gif파일:EDZBuJK.gif파일:X2eI8bZ.gif

Major
육군
공군
해병대
Lieutenant Commander
해군
Lieutenant Colonel
육군
공군
해병대
Commander
해군
Colonel
육군
공군
해병대
Captain
해군

파일:YKuGJ4s.png파일:AGi5uT2.png파일:U0M8In2.png

Lieutenant Commander
해군
Commander
해군
Captain
해군
3.1.1.3 위관급 장교

소위중위대위


파일:9SEUg1i.gif파일:6MQB30W.gif파일:3yMGrVO.gif

Second Lieutenant
육군
공군
해병대
Ensign
해군
First Lieutenant
육군
공군
해병대
Lieutenant, Junior Grade
해군
Captain
육군
공군
해병대
Lieutenant
해군

파일:ApTgl8d.png파일:AKEuOpQ.png파일:DHgcofI.png

Ensign
해군
Lieutenant, Junior Grade
해군
Lieutenant
해군

3.1.2 준사관[2]

계급준위


파일:Z06955t.png

파일:Pwl3JxT.png

Warrant Officer
육군
해군
[3]
해병대
공군

3.1.3 부사관


하사중사상사원사


[4]
파일:Hw7Up35.png파일:A5LjyKf.png파일:U5CgaTC.png파일:JoCE5dl.png

해군에서는 상사 이상의 고급 부사관을 CPO란 이름으로 따로 지칭한다.

3.1.3.1 준부사관
과거에 병을 복무기간 내에 하사로 임용하여 분대장 자원으로 활용했던 제도. 계급은 하사지만 처우는 병이었다.

3.1.4


이병[5]일병상병병장


[6]
ROK_Army_Ibyeong.pngROK_Army_Ilbyeong.pngROK_Army_Sangbyeong.pngROK_Army_Byeongjang.png

3.1.5 기타 계급

후술할 계급들은 양성과정 중의 인원이므로 신분상 준군인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임관 전까지 본인 의사에 의해 도중에 포기하고 나갈 수 있다.

학사장교(OCS)로 입대하면 처음 받는 계급. 이 계급으로 기초군사훈련과 장교로서의 기본적인 교육을 이수한 뒤 소위가 된다. 대우는 준위보다 낮으나 준사관후보생 및 원사보다 높다.
부사관이 준사관으로 신분을 전환하기 위한 훈련 및 교육 기간에 부여받는 계급. 민간에서 재입대한 비행 준사관도 이 계급을 거친다. 대우는 준위 및 사관후보생보다 낮으나 원사보다 높다.
민간에서 부사관으로 입영하거나 병으로 복무 중 시험에 합격하여 부사관으로 선발된 인원들이 훈련 및 교육중에 부여받는 계급. 전문하사 등 병 복무기간 만료 후 진급하는 식으로 임관하는 하사는 이 계급없이 병 신분으로 소정의 교육을 받는다. 대우는 하사보다 낮으나 병장보다 높다.
항공과학고 학생으로 입교하여 하사 임관 전까지 속하는 계급. 대우는 하사보다 낮으나 병장보다 높다. 단, 항공고에서는 소속 학생들에게 병사들에게 존대하도록 지시한다.

3.2 과거

한국군은 지금과 같은 계급체계가 1960년대 이후부터 확립되었으며 그 이전까지는 다음과 같았다.

3.2.1 장교

3.2.1.1 장관급 장교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3.2.1.2 영관급 장교

특이하게 현재의 작은 금강석을 중심으로 대나무잎 9장이 방사상으로 곧게 뻗어나간 모양이 아닌 태극마크를 계급장으로 사용했었다.

  • 대령
  • 중령
  • 소령
3.2.1.3 위관급 장교

역시 마찬가지로 현재의 금강석이 아닌 보통의 사각형을 계급장으로 사용했었다.

  • 대위
  • 중위
  • 소위

3.2.2 사병

병과 부사관은 따로 존재하지 않았다. 이등병부터 시작해서 의무복무기간 이후에도 복무하면 사병의 최대계급인 특무상사까지 진급하는 체계였다. 단, 을종간부후보생 과정을 이수하면 일등중사부터 군복무를 시작했다.

3.2.2.1 부사관
  • 특무상사 - 현재의 원사
  • 일등상사 - 현재의 상사
  • 이등상사 - 현재의 중사
  • 일등중사 - 현재의 하사
  • 이등중사 - 현재의 하사
3.2.2.2
  • 하사 - 현재의 상등병, 병장
  • 일등병 - 현재의 이등병, 일등병
  • 이등병 - 현재의 훈련병(이 훈련병도 공식적으로는 없고 서류상으로 이등병)

2014년 11월 14일 민관군 병영문화혁신위원회가 병영문화 개선방안으로 병사 계급체계를 일원화 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군대 병사 계급 체계는 이등병, 일병, 상병, 병장의 4계급으로 이뤄져 있다. 하지만 새롭게 바뀔 병사 계급 체계는 모든 병사를 용사(勇士)로 통일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보도에 따르면 병영문화혁신위 핵심관계자는 "입소해 훈련을 마친 병사를 용사로 통칭하고, 전역 6개월 정도 남긴 우수 용사는 분대장 격인 ‘용장(勇將)’으로 선발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으나 실상은 혁신위 일부 위원의 개인적 주장일 뿐이며, 혁신위 내에서 긍정적으로 검토중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군 자체적으로 검토된 것은 훈련소를 수료하면 일병 계급을 달고 그로부터 수개월 후 상병이되고 전역 할때 병장으로 전역하고 상병 중에 분대장인 병사만 병장 계급을 다는 방향으로 검토 된적이 있었다. 이렇게 되면 이병은 훈련병과 같은 계급이 되는것이니 사실상 없는것이 되고 병장은 전역병과 분대장만 달게되니까 실질적 계급은 일병과 상병 두가지 뿐.

4 군인과 일반직 공무원 간의 상당계급기준

예컨대, “육군 중령은 일반직 몇 급에 견줄 수 있는가?”, “경찰공무원 중 총경 계급은 일반직 몇 급에 견줄 수 있는가?”, “8등급 외무공무원은 일반직 몇 급에 견줄 수 있는가?”, 그리고 “검사는 일반직 몇 급에 견줄 수 있는가?” 사실 이런 이야기는 공직 내・외부에서 흔히들 언급되고 있지만, 그 일관된 비교 기준은 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무원/계급 문서 참조 바람.

5 타국의 군사 계급

  1. 현대 한국군에는 해당 계급을 부여받은 장교가 없다.
  2. 부사관과 장교의 중간 성격을 가지므로 준사관으로 따로 분류된다.
  3. 수장은 해군만 사용한다
  4. 전투복용 계급장은 색에 따라 다르다. 검은색은 육군, 해병대, UDT/SEAL. 흰색은 해군. 파란색은 공군.
  5. 훈련병 포함. 입대일 그 전날 이후 바로 자정부터가 이등병이다. 그러므로 입대하기도 전에 이미 집에서부터 이등병인 셈. 여기서 현역과 이에 준하는 의무경찰(2015년 이후 신규 선발 중단), 해양경찰(2015년 이후 신규 선발 중단), 의무소방대(2015년 이후 신규 선발 중단), 그리고 보충역사회복무요원(2022년 이전 폐지)과 산업기능요원(2015년 이후 신규 선발 중단)등으로 나뉜다.
  6. 전투복용 계급장은 색에 따라 다르다. 검은색은 육군, 해병대, UDT/SEAL. 흰색은 해군. 파란색은 공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