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18번 | |||||
기점 | 대구 달서구 갈산동 (신흥버스) | 종점 | 경북 경산시 하양읍 동서리 (하양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20 | 막차 | 22:21 | ||
평일배차 | 14분 | 주말배차 | 15분 | ||
운수사명 | 달구벌버스, 신흥버스 | 인가대수 | 22대[1] (주말, 공휴일, 방학 20대) | ||
노선 (주요경유지) | 신흥버스 - 용산역 - 서부정류장 - 영남이공대학 - 반월당역 - 2.28기념중앙공원 - 동부정류장 - 율하역 - 하양(동서리) |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 신흥버스(5)에서 동구 신천4동 동부정류장남편(1)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동서리 하양종점(8)까지 운행하는 달구벌버스, 신흥버스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 노선 역사
1988년 좌석버스 신설 당시부터 1998년 5월 개편 전까지는 본리동(경신교통차고지)에서 망우공원을 운행하던 312번 좌석버스였다.[2] 1998년 개편 때 518번으로 변경되었고, 2006년 10월 요금통합제로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1991년 상인동~대구대 구간을 운행하던 330번 노선이 반야월로 단축되면서 이 구간을 운행하기 위해 312번이 하양읍 동서리로 연장되었다. 312번 시절에는 성당주공아파트[3], 본리초등학교를 경유하지 않고 서부정류장에서 구마로를 따라 당시 남대구IC 옆에 있던 우진교통 차고지까지 운행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당시에는 12번이 금봉네거리[4]를 경유하지 않고 동본리네거리를 경유했다. 당시 금봉네거리를 경유하게 된 것은 106번으로 번호가 바뀐 1998년 5월 5일 개편 때였다. 동본리네거리에서 성당주공아파트~본리초등학교를 경유해서 본리동 경신교통[5] 차고지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312번이 경신교통 차고지에 들어갔을 당시에는 경신교통 차고지를 종점으로 쓰는 노선이 2-1번, 12번, 88번 등 여러 개가 있었다. 그러나 월성2동 쪽으로 노선 연장, 노선 폐선 등의 이유로 하나둘씩 빠져 나가고 1998년 9월 106번마저 월성지구로 연장된 후에는 이 노선만이 경신교통 차고지를 쓰는 유일한 노선이 되기도 했다. 그러다가 518번도 2000년 잠시 감삼지구(우방드림시티), 본리동백조아파트, 감천네거리, 월성주공5단지, 월성2동주민센터를 거쳐 대건중고교까지 연장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우방드림시티에서 장기지구로 단축되었다. 현재 백조아파트 ~ 감천네거리 ~ 월성주공5단지 구간은 달서3번과 달서4(-1)번이 운행 중이다.
이후 아무런 변동 없이 다니다가 2006년 2월 19일 노선 개편으로 일부 구간이 변경되었다. 2006년 개편 전에는 청구삼거리에서 장등로로 진입해 한국건강관리협회대구지부, 舊 KBS대구방송총국[6], 신천3동주민센터, 고속터미널(지하철 동대구역)을 거쳐 동부정류장으로 운행했기 때문에 하양에서 동대구역 및 고속터미널로 가장 빠르게 가는 노선 역할을 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 역할은 같은 날에 노선이 변경된 708번에 넘기고 청구삼거리 ~ 대구MBC네거리 ~ 동대구LPG충전소(코오롱아파트) - 동부정류장(남편)으로 직선화되었다. 개편 전에는 반야월 구길을 경유했으나, 개편 후 용계동에서 1호선이 다니는 반야월 신길[7] 경유로 노선이 조정되었다. 그리고 2006년 2월 개편 전에는 814(-1)번과 함께 용계삼거리(용계역)에서 좌회전했지만 개편 후에는 강변동서마을 구간을 708번과 849번[8]에 넘기고 518번과 814번[9]은 용호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방촌맨션을 경유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현재 하양읍을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하양교(금락초교)를 경유하지 않는 관계로 대구대학교에는 가지 않는다.
2011년 웃는얼굴아트센터 주차장에 회차지가 마련되어 종점을 장기초록나라 도로변에서 이전했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기점이 웃는얼굴아트센터에서 신흥버스 차고지로 연장되며, 전자공고 학생들 : 야호! 신난다! 웃는얼굴아트센터~전자공고 구간에서 철수하여 용산네거리에서 곧바로 성당동으로 운행한다.[10] 웃는얼굴아트센터~전자공고 후문, 전자공고 남편 등의 기존 편도운행 구간은 805번이 대신한다. 결국 단축되기 전의 836번과 폐지된 604번과 맞먹는 초장거리 노선이 되었다. 개편 슬로건이 노선단축 아니었나...? 언행불일치가 버스운영과의 슬로건인가
4 특징
좌석버스 시절에는 시계외요금이 없어서 하양 쪽 승객은 많았으나, 반대쪽인 장기동에서 시내 구간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겹쳐서 승객이 많은 편은 아니었다. 2006년 10월 28일 통합요금제 실시로 인해 일반버스로 전환되면서 106번의 수요를 어느 정도 넘겨받아 승객이 많아졌지만, 지금은 아예 신천동과 효목동에서 완전히 철수한 106번의 수요도 빼앗아 와서 달서구~남구~중앙대로 구간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준으로 터져 나가고 있다. 그래서 시내에서 사람들이 내리고 나면 남구와 달서구 쪽 승객들이 몰려들면서 살려조 수준으로 또 혼잡해진다..... 영남이공대학교 재학생들의 수요도 많다. 508번이 급행전환이 되기 전에도 518번은 가축수송 노선이지만, 개편으로 508번이 급행5번으로 전환되면서 청구중고교(성조아파트)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고, 거기에다가 몇몇 청구중고교 학생들이 이용한 106번과 동구1(-1)번이 변경으로[11] 이 세 노선이 정차하지 않으면서, 518번은 승객들을 다 못 태우고 가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특히 통학시간 때 우방강촌마을 정류소에서 중고등학생들[12]이 엄첨 많이 탄다. 그러나 이미 신기동, 율하동, 방촌맨션에서도 518번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에 이미 다 채우고 온다. 그리고 하양 수요도 많은 편인데 타는 승객 대부분은 경일대학교, 호산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학생들이다. 그러나 등하교 시간에는 수요가 많아 다 태우지도 못하고 떠나는 경우도 있다. 다만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연장되면 이러한 혼잡도는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수요에 비해 배차 간격이 긴 편이다. 왜 감차를 해 가지고 2015년 8월 개편 이후 과밀노선이 되면서 하차 단말기도 하나 더 추가로 설치되었다.
놀토에는 2대 감차가 적용된다지만 지금은 놀토와 공휴일 운행 시간표가 통합되었다.
달구벌버스에서 장거리 승객의 편의를 위해 알룩스 휠이 달린 좌석버스 3대를 투입 중이다.[13] 대신 개편으로 달구벌버스에서는 518번에 투입했던 앨리슨 SE 저상버스를 156번으로 트레이드했다. 현재 저상버스는 신흥버스에서 503번 출신의 ZF 에코라이프 저상버스 1대가 투입 중이다. 잘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다.[14][15]
동서리에서 운행을 끝낸 후 영천시 금호읍으로 나가는 길에 있는 경산시 와촌면 용천리의 하양CNG충전소에서 천연가스 충전을 하고 동서리로 돌아오기 때문에 금호읍으로 가는 808번이나 냉천리 금호초등학교 종점을 지나는 영천 55/555번을 타면 가끔 용천리CNG충전소에 가스를 충전하러 가는 518번 차량을 볼 수 있다. 동서리 종점에서 용천리CNG충전소까지 딱 한 정거장 차이다. 신흥버스 차고지로 연장됐기 때문에 현재는 양쪽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518번 차내 노선도에는 아직 1호선이 하양 연장 되지도 않았는데도 하양역 정류장에 1호선 표시가 되어 있다.뭐야? 성지 예약???
광남자동차는 이 노선의 일부 차량들을 팔공2번으로 차출하였다가[16] 2015년 노선 개편으로 518번에서 철수하고 차량의 대부분을 급행6번으로 이동, 좌석 개조시켰다. 물론 이동 후에도 해당 차량들이 매년 3~11월에 팔공2번으로 차출되어 운행 중이고 이 영향으로 518번의 운행 대수에서 달구벌버스의 대수가 대폭 늘어나고 공차거리를 맞추기 위해 신흥버스와 공동배차를 시행하기로 했다.
한때 경기도 시내버스 일반시내버스 도색을 한 차량이 있었다. 이후 재도색해서 굴리다가 2008년 12월 용천리CNG충전소의 영업이 시작되자 달구벌버스의 차돌리기로 202(-1)번으로 이동한 후 대차되었다.
2015년 노선 개편으로 신흥버스 차고지까지 연장되면서 휴식 여건과 CNG 충전 여건은 나아졌다. 하지만 운행은 힘들다[17]
이와 동시에 156번도 신흥버스로 들어가기에 신흥버스의 한켠은 본의 아니게 달구벌버스의 제 2차고지가 됐다(...) 이를 증명하듯 CNG 충전소 옆의 156번, 518번 회차 공간은 회차 노선을 정해둔 규정과 배차 업체의 조합으로 시간만 잘맞으면 차량 3~4대 전체가 달구벌버스 차량들이다. 급행5번까지 달구벌이 배정 받았으면 레알 제 2차고지화
508번을 대신해 달구벌대로와 신흥버스를 연결하지만, 이 영향으로 증차를 했어도 시속 70~80km로 계속 밟아야 평일 배차 14분을 맞추는 등 초 장거리에 초 장시간 노선이 되어버려 기사들이 몹시 힘들어 한다고 한다. 그러나 보완 개편에서도 518번의 증차나 장기동 환원은 없었다. 망했어요
다음 지도에서는 518번의 선형을 찾으려고 숫자로 검색시 네이버 지도와 달리 버스 번호가 먼저 나오지 않아 다소 불편하다(...) 버스 탭 클릭 후 버스 번호 버튼을 눌러줘야만 각 지역의 518번이 뜨는지라 다음 지도에서 검색할 때는 "518번"이라고 "번"이라는 텍스트도 같이 쓰도록 하자.
성서방향 한정으로 방촌맨션으로 진입하여 내려오는 노선이다.[18]
용산네거리 동편에서 남편으로 좌회전 하던 435번이 2006년 개편으로 폐지된 이후 거의 10년간 202(-1), 성서3, 달서3 등이 직진만 해오다가 2015년 518번의 신흥버스 연장으로 서부정류장으로 가는 시외버스들처럼 용산네거리 서편과 남편을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 됐다.[19]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성당못역, 대명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명덕역, 반월당역, 중앙로역, 용계역, 율하역, 신기역, 반야월역, 각산역, 안심역,
하양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 이곡역, 용산역, 반월당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남산역, 명덕역
- 일반 철도역 : 하양역(무궁화호)
- ↑ 달구벌버스가 13대, 신흥버스가 9대를 배차한다.
- ↑ 12번 일반버스의 좌석버스 버전이었다. 12번은 1998년 5월 5일에서 2015년 7월 31일까지는 106번이었으며 현재는 306번이다.
- ↑ 현재 성당래미안아파트
- ↑ 구, 대성사네거리
- ↑ 본리네거리에 차고지가 있었는데 경신교통이 서구 중리동으로 차고지를 옮긴 이후로는 재개발로 이 곳에서 차고지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졌다. 덕인초등학교 정류장과 본리네거리 사이에 있는 유림노르웨이숲 아파트 자리다.
- ↑ 현재의 솔렌스힐 아파트
- ↑ 산업도로
- ↑ 이 당시의 849번은 순환형 노선이 아니다.
- ↑ 구 814-1번
- ↑ 성서산단 방면으로는 대구전자공고에 정차하지 않는데, 차로 변경에는 거리상으로 충분해 보이지만 교통량이 매우 혼잡한 지역이라 좌회전이 불가능해서 장기초록나라에 정차한 이후 곧바로 1차로로 진입 하도록 한 것같다.
- ↑ 청구중고교(성조아파트, 청구삼거리) 왕복 정차 노선은 518번, 724번 겨우 2개뿐이다. 시내 방면은 805번도 정차한다.
- ↑ 대구중앙고, 청구중, 청구고, 동부중, 동원중, 동문고
- ↑ 이 중 1대는 518번의 앨리슨 SE 저상버스 투입으로 인해 202번으로 보내졌다가, 202번이 폐선되면서 다시 518번으로 돌아왔다.
귀환기존 518번의 SE 저상버스 1대는 156번으로 트레이드되었다. - ↑ 이들 노선 모두 저상버스가 투입되었던 노선이나, 현재는 모두 철수한 상태이다. 특히 726번에 들어갔던 저상은 지금도 후유증을 앓고 있다고...
- ↑ 하지만 신흥이 급행5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 저상을 골고루 투입한지라 차량이동을 할 일은 없어보인다.
- ↑ 해당 차량들은 상용차량임에도 예비차용 행선판이 달려 있다.
- ↑ 증차를 하려니 경산시의 반발이 있다는 민원 답변을 보이고 있지만 8번 권역의 경산은 대화교통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진짜인지는 모른다. 사실 달구벌이나 신흥이나 더이상 빼올 차량이 없는 것도 이유 중 하나이긴 하다.
- ↑ 반야월삼거리 - 망우공원 노선 중 북구3번, 수성2번, 708번, 849(-1)번이 방촌맨션 미경유로 내려오며, 156번처럼 용계역 옆길의 파출소 쪽을 통해 내려온다.
- ↑ 왕복은 518번만 한다. 시외버스들은 주로 서부에서 나갈 때 남대구 IC를, 서부로 들어올 때 용산네거리를 거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