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어

(말레이어에서 넘어옴)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
중국티베트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타이카다이어족
버마어라후어베트남어크메르어태국어라오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인도네시아어자바어필리핀어테툼어찌아찌아어
관련 문자
라오 문자 · 라틴 문자 · 버마 문자 · 쯔꾸옥응으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자위 문자 · 쯔놈


인도네시아어: Bahasa Indonesia
말레이어: Bahasa Melayu, بهاس ملايو
브루나이어: Bahasa Melayu Brunei بهاس ملايو بروني

자바어: Basa Indonésia
테툼어: Lia-indonézia
한국어 :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한자 음차 표기 : 馬印語

녹색이 말레이어, 청색이 인니어
Namuwiki, pohon ilmu pengetahuan yang Anda turut kembangkan.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언어다.

일반적으로 Bahasa melayu, Malay language라고 하면 각국의 말레이 계통 제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 쓰인다. 한국에서는 '말레이어'라고 하면 말레이시아의 국어와 혼동되기 때문인지 '마인어'라는 표현도 쓴다.
각기 다시 차별화된 형태로 표준화되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의 공용어로 쓰이고 있다. 이 네 형태 간의 큰 차이는 없다. 그 외엔 동티모르에서도 '업무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그 밖의 지역에선 태국 남부 5개 현[1], 필리핀 남부 군도, 인도양크리스마스 코코스 제도 등에서도 통한다.[2] 이 인구 수를 모두 합치면 2억 7천만. 세계 5위에 해당하는 언어이다.

서양인들은 그냥 bahasa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바하사는 단지 '언어'란 뜻으로, '한국말'을 외국인들이 '국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니 정확한 용법은 아니다. 하지만 Indonesian이나 Bahasa Indonesia가 길어서 그런지 인도네시아 사람들도 bahasa라고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국어라고 한국어를 지칭하는 것처럼.

2 각종 마인어

말레이시아에서는 Bahasa Melayu(말레이어) 인도네시아에서는 Bahasa Indonesia(인도네시아어/인니어), 브루나이에서는 Bahasa Melayu Brunei(브루나이 말레이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둘 다 말레이어가 기반이기 때문에 말레이어를 국어로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대부분 통한다.

단 이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말레이어 양상이 다 제각각인지라 서로 완벽하게 통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현대 인니어와 말레이어의 차이는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 또는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된다. 다만 구어일 때의 차이가 가장 크며, 문어에서는 사실상 큰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브루나이 말레이어, 수도권 말레이어 등 일부 방언인 경우는 차이점이 큰 경우도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의 중국계들이 쓰는 "중화 말레이어"를 따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나타나는 양상을 보면 표준 말레이어와 다른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내 책"이라는 단어를 쓰려면 말레이어의 정통 표기법은 Buku saya라고 하는데 중화 말레이어에서는 "Saya poenja buku"(표기마저도 구 네덜란드식이다.)라고 하는 식. 말레이어 원어의 형태로 그대로 옮긴다면 "나는 책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

2.1 방언

2.1.1 인도네시아

무려 300개 이상의 지방어가 있으며 맥을 이어가는 큰 몇가지 언어는 교재로도(현지에서) 배울 수 있다. 특히 자바(Java, 자와라고도 읽는다)어는 구사자가 특히 많은 편이다.

∙ 자바어/자와어
∙ 순다어
∙ 발리어
∙ 그 외 다수

2.1.2 말레이시아

2.1.3 싱가포르

2.1.4 브루나이

3 사용인구

구분1980년1990년
인구수%인구수%
A17.50511%24,04215%
B71.75848%107,00667%
C57,51239%27,15417%
합계146,776100%158,262100%

A는 인도네시아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인구, B는 일상어로 사용하지 않지만 구사할 수 있는 인구, C는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집단이다.[3]


모어 사용인구는 2000~4000만여 명으로 많지 않으나 인구가 2억이 넘는 인도네시아의 공용어인 관계로 제2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아주 많다.

사실상 기초교육을 받은 인도네시아의 전 국민이 인니어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만 모국어로 쓰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어 통계상으로는 그다지 커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모어 화자 수 통계는 자바어가 인니어보다 더 높다. 자바어 및 지방어를 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국어인 인니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도 말레이어 교육이 의무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할 수 있지만, 모국어로 쓰는 것은 말레이계 뿐이고, 중국계는 중국어(주로 광동어, 민남어 등)를, 인도계는 타밀어영어를 모국어로 한다. 이들 제민족끼리 소통할 때는 말레이어를 쓰... 면 좋겠지만 현실에서는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안습.

4 언어학상의 계통

타갈로그어대만 원주민어와 같은 계통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다. 자바어보단 말레이 해협의 언어에 가깝다고 하며 여타 오스트로네시아어에 비해 문법이 매우 간단하다. 초기엔 자바어를 인도네시아의 공용어로 쓰자는 운동도 있었으나 다행히도 쉬운 인니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의 안도의 한숨소리가 들린다 이는 말레이어가 경어법 등의 문법적 활용이 거의 없다시피 하였기 때문에, 언어에는 카스트가 없어야 한다는 당시 인도네시아 지식층의 요구에 많이 어필하였기 때문이다.

5 어휘

교역국가의 특성상 다양한 언어로부터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를 포함한 수많은 외래어를 받아들였는데, 이러한 어원적 다원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책'을 의미하는 마인어인데, 범어 계통의 푸스타카(pustaka), 아랍 계통의 키탑(kitab), 네덜란드 계통의 부쿠(buku) 세 단어가 공존한다.

5.1 범어

한국어가 한자어휘의 영향을 크게 받았듯이 마인어를 얘기할 때 범어(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빼놓을 수가 없다. 실제로 고급 어휘의 대부분은 범어를 조합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국제(國際)는 antarabangsa, 즉 antara(사이) + bangsa(나라)라는 범어 단어를 조합한 단어. 이 외에도 다른 예를 들자면 "대학생"을 의미하는 어휘인 "Mahasiswa" 또한 산스크리트어인 "Maha(크다) + Siswa(학생)"가 결합한 형태이다.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가 얼마나 인도 문화의 강력한 영향을 받았는지 보여주는 현상이다.

5.2 아랍어

후에 이슬람이 전래되면서 아랍어계 어휘도 일부 들어오게 된다. 주로 종교나 철학 관련된 어휘가 많은데 철학은 아랍어에서 들어온 falsafah이고, 흠좀무한 것은 기독교의 경전인 성경도 아랍어로 책을 뜻하는 알키탑(Alkitab)이다(...) 그리고 예전에는 성경의 인물들이 아랍어 이름으로 실려있기도 했다. 모세가 무사(musa)로 나온다던지... 요즘은 좀더 희랍어스럽게 개정되는 중.

이 외에도 의외로 많은 곳에 아랍어 어휘가 숨어있다. pikir(생각하다<- فكر fákkara) 등등... 특히 f자음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발음은 그냥 p로 하는 편이다.

5.3 네덜란드어

식민지 시절을 통해 네덜란드어에서 다수 어휘를 채용했다. 특히 말레이어보다 인니어에서 더 두드러진다. 주로 신식문물을 네덜란드어 이름으로 받아들인 것이 많다. 이런 점에서 한국어 안에 있는 일본식 한자어와 비슷하다. 물론 일상어휘에서도 네덜란드어가 보이는데 그 예로 telat(늦다) 등이 있다. 네덜란드어로 '너무 늦다'인 te laat(영어로 하면 too late)에서 온 것.

5.4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이 과거에 말라카 왕국을 침공, 멸망시킨 이후 네덜란드에 의해 빼앗기기 전까지 기간 중 포르투갈이 말라카 반도(현재의 말레이 반도), 와 수마트라 지역을 통치한 적이 있기 때문에 포어에서도 수많은 어휘가 차용되었다. 대표적인 것으로 bendera(깃발<-bandeira), jendela(창문<-~~Janela, minggu(일요일, 주<-domingo), sekolah(학교<-escola), nona(아가씨<-donna) Sabun(비누 <- Sabão), Meja(책상 <- Mesa)등등.

6 문자

로마자를 사용한다. 19세기까지만 해도 자위 문자라는 아랍문자를 개량한 문자를 썼는데, 브루나이에선 아직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알파벳 등이 있다. 그러다가 네덜란드의 영향으로 자위 문자는 잘 쓰이지 않게 되고 로마자로 쓰이게 되었는데 독립 이후에도 변하지 않아서 계속해서 로마자를 쓰고 있는 중[4]

이전에 인도네시아에서는 지금의 c, j, y, u를 tj, dj, j, oe로 쓰는 등 네덜란드어 방식의 표기를 썼다. 영란협정 이후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를 통치하게 되었을 무렵,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현지인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통치를 위하여 말레이어를 익히는 데까지는 성공하였지만, 문자를 외우는 데 어려움을 겪어 그들이 들은 말레이어(당시에는 "인도네시아어"라는 개념이 성립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렇게 서술함)를 네덜란드어 표기법에 따라 음차하여 표기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72년 철자개혁을 거쳐 좀더 말레이어에 가까운 지금처럼 되었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이 무렵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표기법 통일안"을 협의하여 발표, 이후 적용하기 시작하여 지금과 같은 표기가 정착되었다. 물론 한번에 협정이 딱 나와서 바로바로 된 건 아니고, 몇 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예를 들자면 Oeboed, Djajapoera 같은 지명의 경우 Ubud, Jayapura처럼 표기가 바뀌었다.

로마자 읽는 법은 영어와 비슷하나 묘하게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C(쩨)의 음가는 우리말로 음차하였다고 보았을 때 영어로는 ㅋ,ㅅ 등의 발음이 생길 수 있는데, 마인어에서는 위치를 불문하고 한국어의 ㅉ과 유사한 소리가 난다. 그럼 Coca Cola는?[5] 알파벳 V 또한 F발음을 차용하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인이 영어를 사용할 때도 알파벳 V를 F로 발음하기 때문에 가끔 소통이 힘들 때가 있다. Invite가 인fㅏ이트처럼 들리는 것이 그 사례이다.

또한 e의 경우 두가지 발음이 있는데 특별히 규칙이 없어서 헷갈린다. /e/(ㅔ) , /ə/(ㅓ,ㅡ의 중간발음) 두가지로 소리가 나며, 사전에는 보통 /e/(ㅔ)라고 읽을 땐 é라고 쓰지만 일반적으로 구분하지 않아 외워야 한다. 사실 80% 정도는 ㅓ와 ㅡ의 중간정도 소리가 나기 때문에 처음 보는 단어에 e가 많다면 이를 기본으로 읽으면 틀릴 확률이 적다. 그러나 사실 중간발음이라고 굳이 따질 필요는 없는 것이, 원어민에게 말을 걸었을 때 그들은 한국어의 "ㅓ" 발음과 "ㅡ" 발음을 같은 발음으로 인식한다.

아랍어 차용어 등에서 f 같은 발음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인도네시아 사람도 제대로 발음 못 하는 경우도 있다. 아랍어 차용 어휘에서 주로 나타나는 표기 Al-Quran 등의 표기는 아랍어 원어의 표기를 그대로 가져다 썼으나, 실제 인니어 표기에서 Q의 활용은 아랍어 차용어휘를 제외하면 거의 전무하다. 실제로 자음 q,v,x,z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음 "q"의 음가는 대부분 "k"로 표기하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표준 문법에서는 이를 24개의 자음, 6개의 모음 및 3개의 이중 모음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중 모음은 /ai/, /au/, /oi/ 등 세 개의 이중 모음이 있으며, 철자상 표기법도 동일하다.

7 역사

7.1 인도네시아어

1824년도 영국과 네덜란드 간의 조약인 영란조약으로 인해, 영국이 현재의 말레이시아령, 그리고 네덜란드가 현재의 인도네시아령의 대부분(그 이전까지 현재 동부 말레이시아라고 부르는 보르네오 섬 북단의 사바, 사라왁 지역도 네덜란드가 통치권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지금은 말레이시아 땅)을 지배하는 협약을 맺게 되었다. 그 이후 네덜란드의 세력 범위 내인 현재의 인도네시아 공화국 지역(당시 이름은 힌디아 벨란다(Hindia Belanda), 즉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통용어 역할을 하던 말레이어를 그들의 국어인 인니어로 규정하였다. 이것은 인도네시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청년의 맹세"(Sumpah Pemuda)에서 Kami putra dan putri Indonesia, menjunjung bahasa persatuan, bahasa Indonesia.(우리 인도네시아 청년 남녀는 우리의 국어가 하나의 언어. 인도네시아어임을 선언한다)라는 식의 언급이 있기 때문이다.

당시 이 지역 통용어 역할을 하던 말레이어는 동남아 지역 진출의 교두보였던 말라카를 통하여 들어온 이슬람 선교사 등 외래인들이 사용하고 발전시켰다. 그래서 북부 자바지역에서 사용된 이슬람 경전들이 자바어 번역본이 아니라 말레이어 번역본인 것들이 꽤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드막(Demak) 왕조의 첫번째 술탄이 말레이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네덜란드의 350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네덜란드인들은 말레이어를 <난잡한 말레이어>라고 하기도 하였지만,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하여 1942년 그들이 철수할 때까지 말레이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 때문에 역설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Bahasa Indonesia의 발달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인도네시아 군도 지역에서 통용어의 역할을 한 말레이어는 저급 말레이어(시장 말레이어 혹은 중국계 말레이어)였다. 이에 반하여 고급 말레이어는 말레이반도와 싱가포르 지역에서는 영국에 의해, 그리고 인도네시아 군도에서는 네덜란드에 의하여 학교에서 사용되는 표준 말레이어로 발전하였다. 이때부터 말레이어와 인니어의 차이가 본격화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고급 말레이어는 주로 아랍어와 유럽어, 그리고 비 말레이계 누산따라 지방어에서 단어를 차용하였고 통용어 역할을 한 말레이어는 언어 사용자에 필요에 따라서 모든 방언으로부터 단어를 차용하였다. 이와 같은 차용방식은 이후 인니어의 단어 차용방식으로 이어지는데, 이로 인해 인니어 사용자는 말레이어를 대부분 알아듣지만, 말레이시아어 사용자는 인니어 사용자의 말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후 네덜란드 식민정부에 의해 말레이어 장려 활동이 펼쳐졌는데, 이를 통해 통용어 역할을 하던 말레이어를 사용한 인쇄 매체를 통해서 인도네시아 군도에 일종의 공동체가 형성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당시의 말레이어를 인니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하 참조)

20세기 초에 자바어순다어 등 지방어는 이 지역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말레이어는 언어 사용 인구수는 적지만, 말라카와 말루쿠를 잇는 향료무역 상인들로 인하여 여러 지역에서 널리 통용되었다. 그럴 수 밖에 없는게, 이 사람들이 각기 쓰는 말이 달라서 서로 통할 수 있던 말이 말레이어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1908년부터 시작된 부디 우또모 등의 조직을 통한 민족주의 운동이 확산되면서, 인도네시아 지식인들은 극히 일부 계층에서 사용되는 네덜란드어로 발행되는 언론매체를 통해서는 일반 국민들과 밀접하게 교류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 따라서 여러 계층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를 통해 인도네시아의 통합을 이룰 수 있고, 이러한 길이 식민통치 세력에 저항할 수 있는 발판이라는 데에 뜻을 같이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말레이어는 말레이 반도와 인도네시아 군도 지역에서 일찍이 통용어로써 사용되었는데, 민족 의식이 싹트면서 말레이시아는 자연스럽게 말레이어를 국어로 채택,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당시 거의 1억 명이 살고있는 자바에서 쓰이는(물론 자바 내에서도 지방어가 한 수십가지 된다), 인도네시아 군도를 통틀어 언어 사용 인구수에서 단연 우위를 차지하던 자바어 대신에 말레이어를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라는 이름으로 국어로 채택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로, 자바어가 중부 자바와 동부 자바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반면, 말레이어는 상인들의 무역활동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군도의 해안 전역에서 골고루 통용되었고, 둘째로 자바어는 경어법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자바 이외 지역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어려웠으나, 말레이어는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었으며, 셋째로, 언어에 계층이 있다는 것은 그 사회가 봉건사회라는 인식이 당시 젊은 지식층으로 하여금 이 언어를 부정적으로 보게 하였기 때문이다. 경어법이 발달했다는 것에서 이미 눈치챘겠지만, 자바어는 그 언어 사용자의 계급에 따라 발언하는 것이 달라진다. 이 언어가 이후 발전하여, 현대 인니어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7.2 말레이어

역사 부분에서 서술한 "고급 말레이어"가 현대까지 내려온 것이 현대 말레이시아 지역에서 쓰이고 있는 것을 "말레이어"라고 보면 간단할 것이다. 실질적으로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발달 분기는 영란조약 이후로 갈라졌다고 보면 간단하며, 이에 따라 다른 차용방식을 가지고 있던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고급 말레이어와 시장 말레이어 또는 저급 말레이어로 불리던 말레이어의 분기점이라고 보면 편하다)가 실질적으로 갈라졌던 시점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는 차용 방식의 차이가 있는데, 말레이어는 기본적으로 기존 어휘를 최대한 활용하며,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차용을 한다는 것이 기준. 그리고 인도네시아어를 비롯한 시장 말레이어 계통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차용하는 방식이다. 현대 말레이어 차용방식을 보면 그렇지도 않지만 또한 기초 어휘가 몇몇가지 다른 것들이 많으며 어려운 단어일수록 유사성이 높다고 한다, 1972년경 표기법 통일(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식 표기법을 차용하여 사용하였지만, 말레이어는 영어식 표기법을 차용하였기 때문에 호환이 되지 않았음)안이 나온 이후로 표기에서의 격차는 줄어들었지만,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어휘는 다소 차이를 보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화교가 인구의 1/4을 차지하고 인도계가 인구의 1/10일인데 이들은 학교에서 국어인 말레이어를 배우지만 모국어로는 중국어나 타밀어를 쓰기에, 말레이계와 소통할 때는 영어를 쓰는 실정. 특히 화교와 인도계의 비율이 높은 도시지역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시골 지역은 아직도 말레이어만이 통용되는 지역도 남아있다

1980년대에 집권한 마하티르(혹은 마하띠르) 정부에서는 말레이어 사용을 장려하고, 말레이시아의 국민의식 통합을 위하여 학교 수업 등에서 영어 사용을 금하고 말레이어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수업 끝나면 자기들끼리는 영어로 대화하는 등 이는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여파로 인하여, 영어 단어에 접사를 활용하여 말레이어처럼 사용하는 등의 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피진어의 탄생.[6]

8 문법

애초에 교역용 언어였기 때문에 대단히 간단한 편이다. 다만 시장 말레이어 한정. 하지만 오리지널 말레이어도 문법이 크게 복잡하지는 않다. 문법이 매우 쉬워서 어떤 대기업 종합상사 직원이 인도네시아에 가자마자 2달만에 유창한 회화를 하고 신문을 봤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전해져온다. 자바어랑 달리 존댓말도 없고, 동사활용 같은 것도 없다. 어순은 SVO 어순으로 영어와 비슷하나 대부분의 동남아 언어처럼 'Orang Hutan'(숲의 사람) 'Pulau Jawa(자바 섬)'처럼 피수식어가 수식어 앞에 온다. 버마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의 공용어가 모두 이렇다.[7] 다만 Semua orang(모든 사람)처럼 몇몇 예외도 있다.[8] 영어 be와 비슷한 계사 adalah가 있지만 통상 생략되어 그냥 명사 두 번 쓰거나 명사 한번 형용사 한번 써도 문장이 된다. 이런 경우 "Adalah"의 활용은, 이 후에 오는 명사구 내지 형용사구를 강조할 때 쓰는 편이다.[9]

8.1 어근동사

말레이-인도네시아어는 명사, 형용사 등의 어휘에 접사를 붙여 동사로 활용이 가능하며, 이의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ex. putus(끊긴, 끊어진. adjective) → keputusan(끝, 종결, 결정 등의 의미.[10] Noun.[11]). 하지만 어근 자체의 의미만으로도 동사의 기능을 하는 어휘가 약 200개 정도[12]되는데, 이것들은 기본형만으로 동사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접사를 활용하여 동사로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13] 그러므로 말레이-인도네시아어의 동사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근동사의 학습이 필수적이다. 예시로는

makan(먹다), minum(마시다), masuk(들어가다) terbit(해가 뜨다), tambah(더하다), diam(살다, 거주하다[14]), pergi(가다.[15], renang(헤엄치다) 등이 있다.

8.2 접사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특성상 접사가 많이 발달해 있는 편이다. 접두사, 접미사, 양분접사, 심한 경우에는 단어의 중간에 붙은 "접요사"까지. 그러나 접요사는 단어의 형태에 현재 많이 녹아들어있는 편이라 그렇게중요하게 가르치지는 않는다. 흔히 많이 쓰이는 접사로는 ber-, meN-, ter-, di, meN- -kan(단어의 앞뒤에 붙는 양분접사), meN- -i, -an, per-, peN- 등이 대표적인 접사.사실 접사 거의 다 썼다

이 외에도 다른 어근에 붙어 형용사와 명사의 상태를 만들 수 있는 ke- -an등의 양분접사도 있으며, -an은 문어 및 구어에서, -kan은 구어체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8.2.1 접두사 ber-

접두사 ber-는 어근의 앞에 붙어 자동사 혹은 타동사(80% 정도는 자동사이지만, ber-가 붙었다고 하여 모두 자동사라고 생각하여서는 안 된다.)를 만든다.

기본적으로는 어근의 의미가 가진 동작을 행하다, 또는 어근을 "가지다"(소유하다)의 의미를 가진다. 단어의 의미에 따라 수동의 의미를 내포하는 경우도 있다

변화 형태는 다음과 같은데, 접두사 ber 다음 첫 어절이 r발음이 있을 경우, 접두사 ber-의 r을 생략한다

Ex) ber- + kerja(일, 노동) = bekerja

ber- + renang(수영하다, 헤엄치다) = berenang(수영하다, 헤엄치다.)[16]

이외의 경우는 기본형인 ber-를 그대로 어근의 앞에 더한다.

Ex) ber- + sepeda(자전거) = bersepeda(자전거를 타다, 자전거를 소유하다)

  • 그러나 예외가 존재하는데, 이는 학계에서도 설명이 힘든 경우이다. 접두사 ber-가 어근 ajar(학습, 교육 등의 의미를 가진 어근)과 결합하면 ber- 혹은 be-형태가 아닌 bel-형태로 변화한다. (belajar. 공부하다 또는 학습하다, 배우다). 이는 자위 문자 표기에서도 같은 음가로 적혀 있었으며, 현대 음차 표기에서도 이대로 표기한다.사실 예외래봤자 얘밖에 없으니 외운다고 귀찮아 하지 말자.

또한 ber에는 "어근의 의미를 습관적으로 행하다" 또는 "직업으로써 그 일을 행하다"라는 의미 또한 있다. 예를 들어

Ex) Ayah saya berjual sepeda di pasar minggu(우리 아버지는 빠사르 밍구에서 자전거를 파신다)

이를 비슷한 문장으로 적으면

Ex2) Ayah saya menjual sepeda di pasar minggu(우리 아버지는 빠사르 밍구에서 자전거를 파신다)

서술어에서 뭔가 차이를 느꼈을텐데, 이를 둘 다 한국어로 옮기면 의미를 구별하기 매우 힘들다. 그러나 첫번째 문장은 "우리 아버지는 (직업으로써) 빠사르 밍구에서 자전거를 파(셔서 생계를 유지하)신다."의 의미이며, 두번째 문장은 "우리 아버지는 (직업은 아닌데) 빠사르 밍구에서 자전거를 (어쩌다 보니 한 번)파신다." 정도의 의미가 된다.

이 의미의 차이는 나중에 접두사 per, peN-에서도 비슷하게 다루게 되므로, 숙지할 필요가 있다.

8.2.2 접두사 meN-

meN-접사의 경우 학계에서 표기가 다소 다른 편인데, Me-로 쓰이는 것이 그 전에는 많았으나, 실제로는 me- 이후에 오는 형태가 뒤에 따라오는 자음이나 모음에 따라 형태가 바뀌므로 학계에서는 meN-이라는 표기를 최근 들어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접두사 ber-와는 거의 반대의 기능. 어근의 앞에 붙어 타동사(ber-와 마찬가지로 80%정도. 20%는 자동사를 형성함)를 만든다.

기본적인 의미는 ber-와 동일. 하지만 목적어가 필요한 행동을 하는 경우(누구한테 뭘 준다든지, 시킨다든지, 가르친다든지)를 표현해주는 접두사가 meN-이다.

접두사 meN-은 뒤에 오는 어근의 첫 자가 무엇이냐에 따라 비음화가 이루어진다. 이것 때문에 마인어를 처음 학습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장벽에 부딪치는 이유 중 하나가 접두사 meN-의 비음화현상 때문이다. 마인어 사전은 어근을 기준으로 단어를 배열하기 때문에 meN-의 비음화현상을 숙지하지 못하면 당장 사전에서 단어를 찾을 수가 없다.[17] 예를 들어서 menulis(쓰다. Write의 의미.)를 사전에서 찾으려면 "tulis"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 첫 자가 무엇이냐에 따라 mem-, men-, meng- meny-의 형태 4가지로 나뉘게 된다. 처음에는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금세 익숙해진다.

1. 어근의 첫 자가 b,p(양순파열음)이면 mem-형태(양순비음 m-)를 사용하며, 첫 자가 p일 경우, mem-이후의 무기음인 p는 소실된다[18]

ex) meN- + baca(읽다) = membaca(~을 읽다)

meN- + potong(자르다, 썰다) = memotong(mempotong이 아니다!)

2. 어근의 첫 자가 c,j(치경파찰음) d,t(치경파열음)면 men-형태(치경비음 n-)를 사용하며, 무기음 t는 소실된다.[19]

ex) men- + cari(찾다) = mencari(~을 찾다)

men- + curi(훔치다) = mencuri(~을 훔치다)[20]
men- + dorong(밀다) = mendorong(~을 밀다)
men- + jemput(마중나가다) = menjemput(~을 마중나가다)
men- + tulis(쓰다[21]) = menulis(mentulis가 아니다!)

3. 어근의 첫 자가 모음, g,k(연구개파열음),h(성문마찰음)일 경우, meng- 형태(연구개비음 ng-)를 사용하며, 무기음 k는 소실된다.

ex) meng- + ajar(교육, 학습) = mengajar(가르치다)

meng- + erti(알다, 이해하다) = mengerti(이해하다)
meng- + gaji(임금, 급료) = menggaji(고용하다[22])
meng- + gali(파다) = menggali(~를 파다)
meng- + hantam(부수다, 때리다) = menghantam(치다, 때리다)
meng- + kirim(보내다) = mengirim(보내다, 송부하다)

4. 어근의 첫 자가 s(치경마찰음)일 경우, meny-를 붙이고, s는 비음 ny로 대체된다.

ex) meny- + sapu(쓸다, 빗자루질하다) = menyapu(쓸다)

meny- + sokong(버팀목, 지주, 지지대) = menyokong(지지하다, 편들다)

5. 이 외의 경우, 모두 me-형태를 앞에 붙이면 된다.

ex) me- + masak(과일 등이 익은, 요리된, 익숙한) = memasak(요리하다)

8.2.3 양분접사 meN- -kan

양분접사 meN- -kan은 사역의 의미가 가장 강하다. "~에게 ~을 시키다"라는 식의 영어로 치면 4형식 문장에 해당하는(S + P[23] + I.O + D.O의 형태)용법을 적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 외에는 영어의 사역동사 내지는 수여동사의 기능을 가진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ex.) beli(구매하다) → membelikan(~에게 ~을(를) 사주다)

이렇게만 보면 감이 잘 안 올테니 예문을 하나 들어보자.

Ibu saya membelikan saya komputer yang baru(어머니는 나에게 새 컴퓨터를 사주셨다)라는 식의 수여동사(확인바람)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사역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의 예를 들어보도록 하자

Ibu saya menidurkan[24] saya.(어머니가 나를 재운다)

이와 같이 앞에 나오는 대상이 뒤에 나오는 대상에게 무언가를 시키는 행위. 즉 사역행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반대로 사용하여, 강조하는 대상을 바꾸는 식으로 서술하는 방식이 수동태이다. 수동태의 활용법은 아래에 나오는 접두사 di-를 참고하도록 하자.[25]

8.2.4 접두사 di-

접두사 di-는 뒤에 무슨 발음, 혹은 어근의 첫 자가 무엇이냐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 않는 접두사이다. 그래서 솔직히 갖다붙이긴 가장 쉬운데, 의미 알아먹기는 힘들지

di 접사는 붙어 수동형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이 사항의 예외에는 인도네시아어의 1인칭 수동형이 있다. 인도네시아어의 3인칭 수동형으로 본다면 di-접사가 붙는다면 수동태가 되는것이 맞다(물론 주어와 목적어는 도치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예) Roti itu dimakan (oleh) Susanti(그 빵을 수산띠가 먹었다)

하지만 1인칭의 경우, "Roti itu saya makan(그 빵을 내가 먹었다)라는 식으로 적는 것이 맞는 표현인 수동태이다.

무조건 di-를 붙여서 수동태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처음 말레이-인도네시아어를 배우는 학생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표현방식이기도 하다.게다가 영어의 수동태 번역 방식에 익숙해진 학생이라면 수업 들으면서 교수님한테 매일 잔소리를 듣는다. 그렇게 해석하지 말라고 말이다.

8.2.5 양분접사 ke- -an

양분접사 ke- -an은 활용에 따라 명사를 동사 또는 형용사로, 형용사를 동사 또는 명사로 바꿀 수 있는 등의 활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접사이다. 딱히 문법적 특징을 찾아 "이 상황에선 이렇게 바뀌고, 저 상황에선 저렇게 바뀐다"라는 것을 숙지하는 것 보다 차라리 그 단어를 외워버리는 것이 편하다. 실제로 활용 빈도는 다른 접사에 비해 낮은 편이다. 물론 중요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아니지만.

양분접사 ke- -an의 의미는 "어근의 의미를 지나치게 느끼는 경우". 이를테면 lapar(배고픈) → kelaparan(기아)[26]등이 있으며, 또는 "어근의 의미가 과도한 경우"등이 있다. 생각보다 굉장히 복잡한 접사라 활용이 어렵다.

8.2.6 접두사 memper-

어근의 의미를 더욱 심화하여 행하는 것, 어근의 의미의 정도를 보다 강화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이것도 접미사 -kan과 -i와 결합하여 meN- -kan, meN- -i를 활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의미는 동사로써 사용하며, 수동형으로 활용될 경우의 형태는 diper-의 형태로 바뀐다. 설명만 봐서는 감이 잘 안 올테니, 활용 예를 보며 의미를 익히도록 하자. 활용은 다음과 같은 방식.

juang (분투하다, 노력하다) → memperjuangkan(~을 쟁취해내다)
ex)Dia memperjuangkan hak asasi mereka. (그는 그들의 인권을 쟁취해냈다.)

baik(질 등이 좋은) → memperbaiki(수리하다, 더 좋게 하다, 개선하다)(두번째의 예를 보면 쉽다.)

ajar(교육) → mempelajari(전공하다)(교육의 정도를 보다 강화하였으니 "전공하다"라는 의미가 된다는 식으로 알아두면 좋다)[27]

8.2.7 접미사 -an

접미사 -an은 보통 동사 혹은 형용사에 붙어 명사형을 만들며, 어근의 의미를 가진 명사를 만든다. 보통은 ~을 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라든지, ~을 한 결과물이라든지 라는 등의 의미(~것, ~거리)를 가진다.

ex.) putus(끊긴, 끊어진,) → putusan(조각, 파편, 결정)

main(놀다) → mainan(장난감)

이런 식으로 어근의 의미를 내포하는 어휘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차후 설명할 접두사 peN-의 역할과도 다소 겹치는 부분이 있으나,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다. 실제 활용되는 어휘에서의 차이를 보면, 나중에도 설명하겠지만 peN-의 기능 중에는 ~을 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도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pelajar는 학생이지만 pengajar는 선생이다.[28])

8.2.8 접두사 Per-

접두사 per-는 흔히 "ber-에서 파생된 의미를 가진 행위를 하는 사람"으로 알아두면 편하다. 변화형태는 기본적으로 접두사 ber-를 활용하듯 활용하면 된다.

Ex) ajar → Pelajar(학생)

rongos → Perongos(화를 잘 내는 사람)

위의 두 예에서 뭔가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첫째는 "직업으로써 어근의 의미를 행하는 사람"(이는 ber-에서 설명한 예를 참조)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두 번째로는 "어근의 의미를 가진 행위를 습관적으로 행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냥 간단히 이해하려면 그 행위를 "자주"하는 거라고 익혀 두면 편하긴 하지만, 나중에 헷갈릴 수 있으므로 정확히 숙지할 필요가 있다.

마인어는 접사의 활용을 정확히 익혀야 하며, 접사의 활용만 익히면 쉽다.

8.2.9 접두사 peN-

접두사 peN-은 명사, 형용사, 동사의 어근에 접두되며, 접두사 meN-의 현상과 같은 비음화 현상을 거쳐 변화한다. 의미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는데

1. 어근의 의미를 갖는 동작을 행하는 사람을 나타낸다.

Ex) Siapakah penulis buku ini?(이 책의 저자는 누구입니까?)

peN-+Tulis(쓰다) = penulis(저자)

2. 어근이 나타내는 행동을 습관적으로 하는 사람, 또는 그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을 나타낸다

Ex) Dia seorang penangis.(그는 울보입니다)

peN- + Tangis(울다) = penangis (울보)

3. 어근과 관련된 도구를 나타낸다.

Ex) Susanti membeli penjahit itu dengan harga murah. (수산띠는 그 재봉틀을 저렴하게 샀다)

peN- + jahit(바느질) = 재봉틀

접두사 peN-같은 경우는, 생각보다는 쉽지만 그렇게까지 이용이 쉬운 접사는 아니다. 접두사 ber-가 붙어 파생되었던 행위를 하는 사람의 어휘 중 실제로 per-를 이용하여 활용하는 사례가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peN-을 사용하는 경우도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사실 외우는 게 가장 속 편하다

8.3 관계사 yang

관계사 yang은 마인어로 된 긴 문장을 이해하거나, 마인어로 긴 문장을 구사해야 하는 경우 반드시 알아야 할 관계사이다. 여기서 표현한 관계사는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역할을 의미한다. 관계사 yang같은 경우는 저 둘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약간 어렵게 이야기하면 보통 관계사 yang을 매개로 yang 이후에 오는 절이 yang 이전의 선행사를 한정하게(수식하게) 된다. 선행사가 없는 경우는 yang이 선행사를 내포하고 있다고 이해해야 하며, 장소를 나타내는 관계사로는 tempat(장소)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현재는 yang을 보다 자주 이용하는 추세이다.

관계사 Yang의 이용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1. 두 문장을 관계사를 사용하여 묶을 수 있음

Ex) Ibu Artini membaca buku(아르띠니는 책을 읽는다) + Ibu Artini adalah guru saya(아르띠니 부인은 나의 선생님이다)

→ Ibu Artini yang membaca buku adalah guru saya(책을 읽는 아르띠니 부인은 나의 선생님이다.)

2. 관계사 yang이 선행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한 사람, 또는 ~한 것으로 번역한다.

Ex) Ⅰ. Yang terpintar dalam kelas ini adalah Alvin

(이 반 안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은 Alvin이다)
Ⅱ. Yang saya suka itu masakan korea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한국 음식이다)

관계사 yang은 반드시 알아둬야 할 요소 중 하나인데, 회화에서 접두사 등은 생략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도, 관계사를 생략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될 정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인어를 구사하는 데에 있어서 글을 쓰든, 아니면 말을 하든 관계사 yang의 용법은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이를 숙지하지 못하면 마인어로 된 긴 문장을 이해하기 힘들고, 긴 문장을 구사하기도 힘들다.

8.4

인도유럽어족에서 흔히 보이는 단어의 성별이 없다. 대명사-그녀 구분도 없어서 둘 다 Ia 또는 Dia라고 한다. (현재는 거의 Dia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Ia라는 표현을 몰라서 손해볼 것은 없다. 실제로 인도네시아대학의 어학연수 과정 BIPA과정 교재인 "Sehari-hari dengan Bahasa Indonesia"라는 교재에서는 Ia와 Dia를 혼용하고 있다.)

단수-복수 개념도 약하다. 앞에 오는 말이 단수냐 복수냐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전혀 굴절하지 않는다.

8.5 첩어

명사를 두 번 반복하는 식으로 복수를 표시할 수는 있다. 이를 문법학에서는 첩어(疊語)라 하며, 태국어를 비롯한 동남아 제언어에서 흔히 보이는 특성이다.

이럴 때의 방법은 예를 들어 "사람들"이라는 말을 나타낼 때는 사람이라는 뜻의 "Orang"을 두번, 이음표를 넣어 "Orang-orang"이라는 식으로 적는다[29]. 구 철자법은 orang²이라는 식으로 적었고, 현재 인도네시아인들도 채팅하다 귀찮거나 하는 경우에는 그냥 "Orang2"하는 식으로 적는다.

단순히 복수를 나타나는 것 외에도 의미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mata라는 단어는 눈(안구)를 의미하는데, 그 첩어인 mata-mata는 눈들이 아니라 간첩을 의미한다. 어느정도의 의미적 연관성은 가지고 있지만 확실히 그 의미가 변하는 것이 사실. 또한 동사를 반복하는 경우에 대표적으로 드러나는데 동사는 2번 적음으로써 그 의미를 보다 강조하거나, 다른 의미로 만들거나, 혹은 그 행위를 일상적인 혹은 무의식적인 행위, 반복적, 습관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꿀 수 있다. 이 때 반복하는 형태의 경우 어근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어근을 두번 적으면 되며[30], 접사를 활용한 동사를 두번 적는 경우 앞의 단어는 접사를 적고, 뒤의 단어는 접사를 생략한 어근의 형태로 적는다.[31] Ex. Melihat-lihat(훑어보다)

반복절에서는 기본 어근을 반복한다. sedikit(적다) → sedikit-dikit(조금)

여담으로 꽃은 인도네시아어로 bunga 인데, 마찬가지로 꽃 여러 송이는 bunga-bunga 이다. 붕가붕가

8.6 시제와 상

시제 개념보다는 개념이 더 발달한 편이다. 동사 형태 자체가 변해서 시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양태부사라는 것이 시제를 나타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Saya makan"(나는 밥을 먹다)과 "Saya sudah makan(나는 이미 밥을 먹다)의 경우, "sudah"(이미 ~한 이라는 의미를 가진 양태부사이다. 동의어로는 telah 등이 있음)라는 부사 하나 찍 들어갔다고 순식간에 형태가 과거로 바뀐다.

영어처럼 시제/상 개념이 비교적 정교한 언어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뭔가 어색하다고 느낄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자연스러워진다. 처음에는 얘네는 왜 시제가 없지 얘네는 동사 안바꿔도 되나 형용사문장 만들 때 Adalah 안써도 되나 하는 식의 생각을 하다 보니 문장 만드는 데 어려움이 많지만, 익숙해지면 굉장히 쉽다. 신경쓸 게 오히려 적어지기 때문에... 대신 번역에 있어서는 반대국면이 많다. 번역 하려고 하는데 이게 얘네가 시제 구분을 워낙 애매모호하게 하다 보니, 이게 과거인지 현재인지 거의 구분이 되질 않아서 문장 옮겨놓고 보니 그거,저거,이거 순으로(예를 들면) 문장 시제 순서를 맞춰놨더니, 그게 가장 나중 일이고, 이게 두번째 일이었으며, 저게 첫번째였던 경우도 많다. 이건 진짜 문장의 맥락상 의미로 봐야 하니 주의.

8.7 격변화

인도유럽어족 같은 굴절어에서 나타나는 대명사의 격 변화(주격, 목적격 소유격 등) 개념이 "없다". 예를 들면 "나"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는 "Saya"인데, saya membelikan pacar saya buku itu(나는 그 책을 나의 애인에게 사 주었다)는 문장의 경우, Saya는 당연히 주격이다. 여기서 다른 문장을 보면, Buku itu saya beli라는 문장을 쓸 수 있는데(마인어 수동태 문장의 1인칭 기본형이다)"그 책을 내가 샀다"라는 식으로 번역하지만, 굳이 문법상으로 따져본다면, "그 책은 나에 의해 구매되었다"(한국에서 교육받은 영어에 익숙한 위키니트들이라면 이런 번역이 보다 자연스러울 것이다)인데, 이 문장에서는 "Saya"가 목적격으로 쓰였음에도 불구하고(실질적으로는 문장의 주체에 가까운 의미를 가지지만 단순히 격만 놓고 보자는 의미이다), 형태는 "Saya" 그대로이다.

9 말레이어와 인니어의 차이

  • 숫자 등에서도 표현이 다른데, '8'이 말레이어로는 lapan, 인니어로는 delapan이다
  • 인도네시아에서는 tidak( 동사와 형용사를 부정하는 어휘와 같은 의미)의 변형으로 nggak, ngga응가등의 말을 사용하지만, 말레이시아에서는 이 표현을 거의 알아듣지 못한다.
  • 말레이어에서는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말에서 인도네시아어에서 흔히 사용하는 "akan"이라는 어휘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mau'라는 표현을 사용함. 보통 이 표현은 인도네시아에서는 "원하다"라는 표현으로 사용한다.(물론 말레이어도 그러므로 문맥상 파악이 중요함)
  • 원래 "당신"이라는 표현은 말레이어에서는 "Awak"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인도네시아어에서는 "Anda"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인도네시아어에 2인칭 대명사가 없음을 안타까워하던 한 공군 장교가 제안하여 이가 받아들여져 생겨난 표현이다. 최근에서는 말레이시아에서도 이 표현을 조금씩 사용하는 추세.
  • 양쪽에서 동시에 사용되는 단어도 의미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인도네시아어의 "Senang"이라는 단어는 "즐거운, 기쁜"등의 의미로 주로 사용되지만, 말레이어에서는 "편안한"이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된다. 인니어로 "편안한"은 "Enak"이라는 표현을 사용함 사실 맛있다는 뜻인데 저렇게도 쓴다
  • 이 외에도 차용방식 등의 차이에 의하여 많이 나뉘는 편인데, 말레이어는 웬만한 단어는 말레이어화 하여 표현하며, 인도네시아의 경우 반 개방적으로[32] 차용하는 방식. 예를 들어 "Penyakit"[33] 이라는 같은 단어를 말레이어에서는 "환자", 인도네시아에서는 "병" 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환자"라는 말을 쓰려면, Patient에서 나온 말인 "Pasien"이라는 단어를 사용함.

10 한국에서 배우기

대학교에서 마인어를 개설하고 있는 학교는 서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캠퍼스), (용인캠퍼스), 부산 영산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가 있다. 사설 학원은 서울의 경우 르몽드어학원(종로)에 있는데 수강생은 약 5명 내외로 적고 그나마 2014년에는 강좌를 개설하지 않는다. 이 외에 그나마 활성화 된 곳은 강남 및 종로 시사 일본어학원의 '랭기지플러스'학원, 종로의 '신중성어학원', 종로의 '테스트와이즈', 그리고 한-아세안센터와 서강대 동아연구소가 공동으로 마인어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부산에서는 MLS외국어학원(대연동)이 2014년부터 마인어 강좌를 신설하였다.

그 밖에 서점에서 책을 사려고 하면 마인어로 검색하면 안 나오니 인도네시아어로 찾아야 한다. 교재는 다른 희귀언어보다는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고 사전도 잘 나와 있다.

동남아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도 부족 탓인지, 그 중요도와 규모에 비해 마인어의 한국 내 인지도는 시궁창이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독자적인 언어가 없는 줄 아는 사람도 태반이다.[34] 일단 로마자로 쓰였기 때문에 이게 동남아 언어라고 생각도 못하는 사람도 있다.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국제통상직이나 외교관후보자시험의 정규 과목이며, 한국과 인니와의 교역이 많다보니 삼성전자나 각종 상사의 특채가 있기도 하다.

말레이권의 대중문화가 한국에 잘 알려지지 못한 탓도 있다. 동남아에 대한 낙후된 이미지도. 하지만 인구 대국들에서 쓰이는 언어이므로 인니에도 말레이시아에도 잘 찾아보면 마인어로 덕질할 덕거리는 꽤 많다. JKT48라든가. 향후 지역발전에 따라서 문화적으로도 파급력이 더 커질 전망이 충분한 언어.

이런 탓에 수능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도 인도네시아어는 개설되어 있지 않다. 자카르타한국국제학교에서도 인도네시아어 수업을 하기는 한다. 그나마도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에서는 필수,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선택.

여담으로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자 2015년 6월 한국동남아학회장이 된 신윤환 교수는 저서 <동남아문화 산책>에서, "단언컨대 한국인이 배우기 가장 쉬운 언어는 말레이어"라고 주장했다. 신 교수는 외국어공부에 관심이 많아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등 6~7개의 외국어를 열심히 공부했었는데 그 중 남은 건 영어와 말레이어 뿐이라고 한다.[35] 그것도 영어는 국제학회 참석 때문에 필수적으로 쓸 수 밖에 없어서 그런 것이고 수십년 영어를 공부했지만 아직도 영어로 말하려면 긴장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말레이어는 금방 습득할 수 있었고 지금도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고 한다. 본인은 해당 책에서 "나처럼 언어감각이 떨어지는 사람도 몇개월이면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가 바로 말레이어다" 라고 썼다. 발음도 한국인이 내기 쉬워서 현지인들로부터 발음 좋다고 칭찬을 들었다고. 지금까지 수십년 간 외국어 공부하면서 발음 좋다고 들은게 처음이어서 정말 기뻤다고 한다.

11 대중문화에서

인니/말레이시아가 오랜 식민기간을 거쳤기 때문에 그리 존재감이 강하지는 않고[36]로마자를 쓰기에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힘들기에 대중문화에서 마인어가 튀어나오는 빈도 역시 시궁창 수준이다. 그러나 유독 이상하게도 일본에서는 하리마오라는 고유명사 하나 만큼은 마인어를 모르는 일반인에게 친숙한 마인어다.[37][38] 항목 참조.


일상이라는 일본 만화에서 뜬금없이 마인어의 아침인사와 저녁인사인 슬라맛 빠기(Selamat pagi)와 슬라맛 말람(Selamat malam)이 나와서 인니말레이시아덕후들을 부왘케 했다. 아마 저 유코와 같은 심정이었을 듯. 저 영상의 댓글란을 보면 저것이 인니어인지 말레이시아어인지에 대한 실로 잉여롭기 그지없는 키배의 향연이. 그게 그거잖아.

그리고 디시인사이드에서 잠시 유행했던 외계어(?) 인삿말인 셀라맛자린은 사실 마인어의 헤어질때 인삿말인 슬라맛 잘란(Selamat Jalan)[39]에서 변형된 말이다.

당연한 체조

12 나무위키식 예문

나무위키의 유행어의 마인어 예문.

13 들어보기

말레이시아의 국가 Negaraku - 뜻은 "조국"

인도네시아의 국가 Indonesia Raya - 뜻은 "위대한 인도네시아"

싱가포르의 국가 Majulah Singapura - 뜻은 "나아가자 싱가포르" 중국어나 영어가 더 많이 쓰이고 있지만 국가는 말레이어로 부르게 되어 있다.

첨밀밀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그 곡의 원곡 "dayung sampan". 원래는 인도네시아 민요다.

우리나라 합창단이 부른 마인어 노래 "Siksik sibatuma nikam" 뭔가 욕처럼 들리지만 욕이 아닙니다.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말레이시아어 더빙판
  1. 뜬금없이 태국 남부 5개 현이 왜 들어가는가 하면, 이 동네는 태국에 병합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절대다수의 국민이 불교를 믿는 태국과는 달리 대다수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으며, 주민들도 말레이계가 대부분. 이런 이유로 오늘날에도 심심찮게 무력분쟁이 일어나는 지역이다. 애초에 여기에 가야 한다면 언어보다는 자기 몸 걱정을 더 해야 할 것이다.
  2. 게다가 수리남, 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 등에서도 쓰이는 경우도 있다.
  3. 인도네시아 통계청 자료. <김긍섭, 인도네시아어의 위상과 사용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지역학회보』 제1집, 한국국제지역학회>에서 재인용
  4. 마찬가지로 필리핀도 고유문자가 있었지만 스페인 지배시기에 로마자로 대체되었고, 이걸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5. 외래어에서 유래한 상표명이나 일반명사의 경우, 원어의 발음을 살려 읽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니 "쪼짜 쫄라"라고 읽지 않고 코카-콜라 라고 읽으며, LPG같은 경우도 인도네시아어식 알파벳 이름으로 읽는다면 "엘뻬게"가 되지만 "엘피지"라고 읽는다. 왜냐고 물으면 할 말이 없다. 그 사람들이 그렇게 쓰기 때문에.
  6. 피진이라고 보기엔 좀 뭐한 게, 얘네는 영국의 식민통치를 200년가까이 받은 동네다. 힌디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힌글리쉬'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편할 듯.
  7. 러시아어가 이런 식이다. 예를 들어 '할아버지의 시계'는 часы дедушки 처럼 쓴다. 이러한 예는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와 일부 비슷하며 특히 스페인어와 프랑스어, 포르투갈어는 피수식어가 수식어뒤에 있을땐 de를 쓰고 이탈리아어는 di를 사용한다.
  8. 이 역시 러시아어에서도 все люди 처럼 '모든'이 앞에 오며 라틴어계통도 비슷한 점이 있다.
  9. 이 역시도(...) 러시아어와 똑같다. 현재시제 한정으로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하는 есть는 강조할 때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편이 더 자연스럽다. 다만 과거나 미래시제일 경우에는 얄짤없이 써주어야 한다.
  10. 혹시 마인어로 경제를 공부하게 되면 결정이라는 단어로 참 많이 사용하게 된다
  11. 동사로 굳이 예를 든다면, "putus → memutus"가 있겠다. 어째서 이렇게 변화하게 되는 지는 아래의 접두사 meN- 참조.
  12. 이 정도 숫자의 어휘를 익히면 어근동사를 통한 회화가 가능해진다. 물론 다른 동사의 활용은 접사의 활용법을 익혀야 함.
  13. 드물다고 적은 이유는 실제로 접사를 활용하여 의미를 보다 구체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들어가다." (영어의 Enter에 해당함)라는 의미를 가진 "masuk"이라는 단어는 어근동사만을 활용하면 막연히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지만, 양분접사 meN- -i를 활용하여 이를 파생시키면 "~로 들어가다(전치사 없이 목적어를 수반하게 됨)"등의 의미로 바뀌게 되기 때문이다.
  14. 사실 "살다"라는 말에 보다 적합한 말은 "tinggal"이며, diam은 형용사로써 "조용한"이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가끔씩 저렇게 쓰기도 한다.
  15. 실제로는 "'꺼져'"라는 식의 표현으로 더 많이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아, 회화에서는 보다 중립적인 표현인 "berangkat"을 사용한다.
  16. 이 단어는 굳이 어근에 ber-접사를 붙이지 않아도 의미는 같지만,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추가함
  17. 단, 기술의 발달로 접사 붙여 써도 친절하게 어근이 뭔지 가르쳐주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이미 있다고 한다.
  18. 마인어에서는 거센소리가 없고, 된소리만이 존재한다. 그래서 "무기음"이라고 설명함
  19. 이런 현상은 비록 다른 언어이지만 미국식 영어에서도 발견된다. 차이점이라면 어근 상관없이 -nt-는 죄다 -n-으로 처리하고 철자에서는 t가 그대로 살아있다는 차이점 뿐이다. 예를 들어 미국식 영어에서는 보통 internet을 '이너넷', clinton을 '클리는' mountain을 '마우는' 등으로 발음한다.
  20. cari와 curi는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이므로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kelapa(야자. palm)와 kepala(머리)
  21. 어근만 사용하면 자동사의 의미. bertulis라고 쓰지는 않는다.
  22. 마인어는 이렇게 단순히 접사만을 사용하여 의미를 추론하기엔 다소 추상적인 것들이 많다. 보통은 이렇게 추론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이게 힘든 단어들도 많음
  23. 서술어에 해당하는 기호이다. 마인어에서는 상황을 서술하는 데 반드시 동사를 활용하지는 않으므로, 영어식의 S,V,O등의 표기에서 V를 P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24. 원형은 tidur. 어근동사이지만, 전술하였듯 접사를 통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25. 물론 수동태는 meN- -kan 형태만이 아닌 meN- -i, 또는 meN-만 붙은 것도 활용이 가능하다. 물론 어근동사의 형태에서도 가능하다.
  26. 사전에서는 둘을 같은 의미로 서술하지만, kelaparan이 훨씬 더 부정적인 의미이다.
  27. 여기서도 ajar의 예외성이 드러나는데, 원래대로라면 "memperajari"가 되어야 하지만, 말레이-인도네시아어의 접사 활용에 유일한 예외가 ajar이므로 이는 확실히 익혀두어야 한다. 이는 접두사 per-를 활용할때도 마찬가지이다.
  28. 추후에 설명하겠지만 접두사 per-가 붙은 것은 접두사 ber-를 활용하여 만든 동사의 행위를 하는 것 또는 사람이라는 뜻이고, peN-이 붙은 것은 meN-을 활용하여 만든 동사의 행위를 하는 것 또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렇게 외워두면 동사의 뜻을 알았을 때 per-와 peN-의 활용을 헷갈릴 일이 적어진다.
  29. 일본어의 ひとびと(人人, 사람들)이라는 단어와 비슷하다.
  30. 어근만으로 구성된 동사의 첩어 형태에 대한 예시 새롭게 추가 바람. 기존에 예시로 제시된 "jalan(걷다) -> jalan-jalan(산책하다)"은 구어체적 쓰임이고, 실제 문어적으로 정확하게 따지면 산책은 "berjalan-jalan"이라고 해야 한다. 말레이-인도네시아어의 구어체에서 접사를 대부분 생략하고 문맥상의 의미로 추론하는 버릇 때문에 jalan을 동사로 쓰는 것이며, jalan 자체는 본디 독립적으로 동사로 쓰일 수는 없다. 만약 jalan 자체를 독립적으로 사용한다면, "길"이라는 의미의 일반명사가 된다.
  31. 물론 예외는 존재한다. 예를 들어 tarik이라는 단어를 접사를 활용해서 반복시키는 형태는 "서로 잡아당기다"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 경우는 "tarik-menarik"이라는 형태로 활용된다.
  32. 그들이 하는 발음 식으로 맞추어 사용한다
  33. 어근은 sakit. 아프다는 뜻이다
  34. 애초에, 없는게 아니라 너무 많아서 이거 하나로 미는 것이다.
  35. 네덜란드어는 네덜란드인 선생에게 개인 교습까지 받았지만 발음조차 내기 힘들었다고 회고한다.
  36. 사실 스리비자야 왕국이나 말라카 왕국처럼 전성기 시절에 강력한 힘을 발휘한 국가들이 있었지만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37. 우리나라에서 핀란드어인 사우나, 휘바가 익숙한것과 비슷한 맥락.
  38. 참고로 "하리마오"는 "Harimau". 호랑이라는 뜻이다
  39. 이것도 위에 만화 '일상'에서 나왔다. 단, 애니판 한정
  40. sangat과 sekali는 마인어에서 둘 다 "very"의 의미를 갖는 단어인데, 인도네시아어에서는 sangat은 강조하고자 하는 단어 앞에, sekali는 강조하고자 하는 단어 뒤에 적고, 말레이어에서는 sangat을 sekali와 같은 용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