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빌라이 칸

(원세조에서 넘어옴)
몽골 제국의 역대 대칸
4대 몽케 칸5대 쿠빌라이 칸6대 테무르 울제이 칸
원의 역대 황제
원 건국1대 세조 쿠빌라이2대 성종 테무르
묘호세조(世祖)
시호성덕신공문무황제(聖德神功文武皇帝)
보르지긴(ᠪᠣᠷᠵᠢᠭᠢᠨ)
(孛兒只斤 / 패아지근)
쿠빌라이(ᠬᠤᠪᠢᠯᠠᠢ)
(忽必烈 / 홀필렬)
칸호[1]쿠빌라이 칸(ᠬᠤᠪᠢᠯᠠᠢ ᠬᠠᠭᠠᠨ,)
(忽必烈汗 / 홀필렬한)
생몰기간1215년 9월 23일 ~ 1294년 2월 18일
재위기간몽골제국 : 1260년 5월 5일 ~ 1294년 2월 18일
원 : 1271년 ~ 1294년 2월 18일
"아담에서 지금 이 순간에 이르기까지, 세상에 나타난 어떤 사람보다도 많은 지역과 재물, 영토를 소유한 사람." - 마르코 폴로

1 개요

본명은 보르지긴 쿠빌라이(孛兒只斤 忽必烈, 패아지근 홀필렬, ᠪᠣᠷᠵᠢᠭᠢᠨ ᠬᠤᠪᠢᠯᠠᠢ/Боржигин Хубилай). 몽케 칸의 동생으로 툴루이의 아들. 묘호세조, 시호는 성덕신공문무황제(聖德神功文武皇帝).

생몰년 1215 9월 23일 몽골 ~ 1294 2월 18일 대도

칭기즈 칸의 손자. 칭기즈 칸의 넷째 아들인 툴루이의 넷째 아들이자 웬지 숫자 4와 관련이 많은 듯 의 제곱은 칸 전대 카간(대칸)이었던 몽케 칸의 동생. 통일 몽골 제국의 마지막 카간[2]이자 원나라의 시조. 1260년 카간 자리에 올라 카간의 자리를 두고 동생 아리크부카와의 내전을 벌여 1264년 이겼다. 그러나 내전 이후 친 아리크부카 세력[3]이 떨어져 나가서 쿠빌라이의 직접적인 통치권은 중국과 몽골 초원에만 머물렀다.[4] 그래도 쿠빌라이 칸의 치세에 몽골족의 전체 판도는 역사상 최대규모에 달했다. 무려 전세계 인간이 거주 가능한 지역의 1/5. 이러한 영광이 있지만 카미카제 대삽질로도 유명하다. 몽골 제국의 대규모 원정은 쿠빌라이 칸의 시대를 마지막으로 추진력이 없어졌다. 동시대의 마르코 폴로 덕분에 칭기즈 칸 못지 않게 서구 세계가 잘 아는 몽골 제국의 칸이기도 하다.

몽골 울란바토르칭기즈 칸 광장에서는 오고타이 칸과 함께 앉아있는 칭기즈 칸의 동상을 양 옆에서 호위하는 식으로 쿠빌라이의 기마동상이 서 있다.

2 즉위 이전

몽골이 금나라를 멸망시킨 뒤 오고타이 칸툴루이계에게 화북 지역을 주었다. 쿠빌라이도 이때 한 지역을 받았는데, 통치 경험이 없어서 몇몇 관리들에게 통치를 완전히 맡기고 영지를 떠나 있었다.

그리고 그동안 부패한 관리들이 세금을 쥐어짜서 백성들이 달아나고 영지가 황폐화되는 지경에 이르자 쿠빌라이는 영지로 돌아가 한동안 고생하며 영지를 복구하였다. 영지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쿠빌라이는 중국의 여러 문화와 가치관을 받아들였고 심지어 중국 승려를 카라코룸으로 불러 아들 친김의 교육도 맡기는 등 친중국적인 성향을 가지게 된다.

1251년 형 몽케가 제 4대 카간의 자리에 오르자, 중국 방면 대총독에 올라 내몽고 지역에 자리 잡았다. 몽케는 오고타이 칸이 계획했던 남송과 페르시아의 정벌을 결심하고, 쿠빌라이에게는 중국 전선을 그리고 다른 형제인 훌라구에게는 페르시아 전선을 맡겼다. 쿠빌라이가 북중국을 잘 다스려 화남 지역은 농업 생산량이 늘고 서민은 삶의 질이 올라갔다. 이러한 성공으로 북중국의 장수들과 관리들에게 지지를 받았고, 이들의 지지는 이후 원 제국을 세우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1253년 쿠빌라이는 몽케 칸의 명령을 받고 운남지방의 대리국(大理國, 937 ~ 1254)을 정벌하여 남송의 측면을 돌파하고자 하였다. 쿠빌라이는 먼저 사자를 보내 항복을 권유하였으나 대리국의 단씨 왕조는 사자를 죽이고 항전하였다.사망 플래그 쿠빌라이는 1254년 대리국을 멸망시켰는데, 대리국에서 몽골의 사신을 죽였음에도 몽골 제국의 전통과는 달리 대량 학살을 안 했다.

다만 이것은 결국 대리국이 쿠빌라이의 항복 권유를 받아들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측 사료에는 그의 참모 중 한 명인 요추의 건의로 이러한 일이 있게 되었다고는 하지만 과장된 기록일 가능성이 높다. 쿠빌라이 그 자신이 다른 칸들보다는 호전적이지 않은, 너그러운 사람이었고 훗날 남송 정벌 과정을 생각하면 과하게 피를 흘리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을 것이고 이 때문에 굳이 학살을 벌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사절 살해에 관여한 관리들은 처형했다. 그럼에도 가장 큰 관여자였던 재상, 고태상은 사형당했지만 그 자손들은 처벌받지 않고 차별도 받지 않았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대리 원정을 통해 군사적인 역량을 인정받았다는 것이다.[5]

쿠빌라이는 티베트 승려들의 힐러로써의 능력을 높이 사서, 티베트 종교/정치적 문제에도 개입하였다. 사실 쿠빌라이는 불교를 편애하였다. 도교의 도사들이 절을 빈번히 약탈하자 몽케 칸이 쿠빌라이에게 두 종교의 분쟁을 풀도록 시켰는데, 1258년 쿠빌라이는 승려와 도사들을 불러 입배틀을 시켰다. 도사들이 승려들에게 지자 쿠빌라이는 강제로 237개 도장을 불교 사원으로 바꾸고 도교 경전을 불태웠다.리얼 캐삭빵 완전 도장깨기

그러나 그의 지지기반 세력이 북중국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쿠빌라이는 친중국적인 정책을 펼쳤고 이것이 화근이 되어 형, 뭉케와 초원에 있는 몽골의 보수세력의 의심을 받게된다. 이 갈등은 제법 심각해서 1257년에는 세무조사를 받았고 상당수의 가신들이 제대로 변호조차 하지 못하고 처형당했다. 이때 쿠빌라이는 아직 세력이 미약했다고 생각했기에 형인 뭉케를 카라코룸에서 직접 만남으로써 갈등을 봉합했다.[6]

뭉케와 보수 세력의 견제는 계속되어 1258년 남송 원정 초반에는 원정군에서 제외되는 대위기를 겪었으나 좌익군을 이끌고 있던 옷치긴 가문의 타가차르가 약탈문제로 뭉케와 갈등을 빚다가 그냥 자기 영지로 되돌아가자 결국 그 자리에 임명되어 원정에 참여한다. 뭉케는 1258년 3월에 성도를 점령하며 사천 지방 일부를 점령했으나 1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전진을 하지 못했으며 끝내 1259년 8월에, 쿠빌라이가 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사망한다.[7]

쿠빌라이는 뭉케의 사망 소식을 알았음에도 계속 양쯔강 변의 주요 도시 우한(武汉 무한)을 공격한다.[8] 송의 장군 가사도는 비밀리에 쿠빌라이에게 접촉하여 양쯔강을 경계로 국경을 나누는 대신 매년 남송이 막대한 세폐를 바치는 것을 제안하였다. 쿠빌라이는 처음에는 거절하였지만 곧 가사도와 평화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쿠빌라이는 막내 동생 아리크부카가 군대를 소집한다는 소식을 듣고 몽골 초원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쿠빌라이가 오기 전에 아리크 부카는 카라코룸에서 쿠릴타이를 소집하여 대부분의 몽골 귀족들의 지지를 받아 대칸에 올라 버렸다.[9] 몽골족 중에 쿠빌라이와 그의 다른 형제 훌라구(일 칸국의 칸)만이 아리크 부카의 카간 즉위를 반대하는 형세였는데,[10] 북중국의 중국인 장군과 만주의 과거 금나라 출신의 만주족 장군들은 쿠빌라이를 지지하고 나섰다. 1260년 쿠빌라이는 자신의 본거지인 내몽골의 개평부로 돌아가 자신만의 쿠릴타이를 소집하고 카간을 칭했다.

내전이 나자 쿠빌라이는 배후를 든든히 하러 남송에 사신을 보냈다. 하지만 가사도는 협정을 지키지 않았다.

아리크 부카는 제국의 수도인 카라코룸에서 카간으로 추대받았을 뿐더러 본래 몽골의 관습에서는 막내 아들이 세습했기에 정통성에서 앞섰으나, 쿠빌라이는 군사력 측면에서 앞서 있었고 중국 화북이라는 물량빨 쩌는 배후 기지가 있었다. 1261년 시무토노르 전투에서 양 군세가 본격적으로 붙었을 때 쿠빌라이군이 승리하였으나, 아리크 부카는 저항을 계속하였다. 이후 쿠빌라이가 수도 카라코룸으로 가는 물량을 막자 아리크 부카의 진영은 스스로 무너지기 시작했고, 끝내 1264년 8월 아리크 부카는 항복했다. 쿠빌라이는 아리크 부카를 지지했던 인물들은 죽였지만 아리크 부카는 용서했다.[11][12] 이후 쿠빌라이는 새로 쿠릴타이를 열고 카간에 올랐다.

한편 이 내전 도중인 1262년 쿠빌라이의 한족 관리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에는 쿠빌라이가 가장 신임하던 한족 관료도 끼어 있었다. 이후 쿠빌라이는 한족을 신임하지 않았다.

허나 과연 이것이 맞는 말일지 여기에 대해서는 반론을 제기한다. 쿠빌라이가 이 일로 인해 한족을 신임하지 않았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왜냐하면 쿠빌라이는 처음부터 한족 관료를 완전히 신뢰하지도 않았으며 대부분 몽골 칸들이 그러했듯이 다국적으로 가신들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다만 쿠빌라이가 역대 칸들 중에서 한족을 가장 신뢰한 사람은 맞다. 그가 원하는 중국의 지배자가 되기 위해서도 한족들의 지지와 그들을 위한 정책이 필요 했기 때문에 그가 한족을 신임하지 않을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사건은 그의 남송 정벌을 더욱 굳히게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이 사건을 통해 자신이 아무리 신임하던 한족 가신들이 이해관계에 따라 언제든 자신을 배신하고 남송과 협력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사건 후에도 쿠빌라이는 한족 관리들을 신임했다. 당장 남송 정벌 당시에도 사천택, 유정과 같은 이들이 최고위 책임자로서 활동했다.

3 즉위 이후

1271년 수도를 몽골 고원의 카라코룸에서 중국의 대도(大都, 지금의 베이징)으로 옮기고, 나라 이름을 대원大元이라고 정했다. 그 김에 할아버지 칭기즈 칸을 성조(成祖)에 추증했다. 이후 복식이나 의례도 죄다 중국식으로 바꿔 중국식 황제의 이미지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이는 칭기즈 칸이나 다른 유목 제국들이 정주민족과 엄격하게 선을 긋고 문화적으로 섞이는 것을 꺼렸던 것과는 정반대 행위다. 당시 중국의 인구와 경제력이 워낙 킹왕짱이었기에 안정적으로 중국을 정벌하고 통치하기 위한 수단인 듯하다.그게 싫으면 싹다 밀고 초원으로 만들든지

즉위 초에는 반대파 몽골 귀족들의 반발을 무마시키느라 제대로 남송 정벌에 집중하지는 못했다. 그 외도 상당히 오랫동안 남송 정벌을 위해 수군을 준비하고 훈련하는 등 전쟁 내내 준비 기간도 길었다. 실제로 별 수를 다써도 양양을 공략하지 못했고 결국 훌라구에게 도움을 요청해 파견된 이슬람 기술자들의 공성 병기로 점령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그의 군대는 양양 공략전에서 일부러 힘을 온존하면서 포위전만 질질 끌어 물자를 바닥내려는 작전을 썼기 때문이기도 하다. 전투 중간중간에 중단된 적도 있으며 서로 시장을 연 적도 있고, 성 안에서 먹을 것이 떨어져 부녀자들을 내보내는 것을 승인하고 보호해준 적도 있었다. 한 마디로 처음부터 몽골군은 많이 피를 흘리는 것보다는 육로&수로를 철저하게 봉쇄해서 상대를 말려죽이는 전략을 택했던 것이다.

반면 남송 쪽은 정반대의 입장이라 어떻게든 양양을 지켜내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웠다. 수많은 장군들이 몽골군의 포위를 뚫어내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이들의 포위망을 뚫어 물자와 병사를 전달하곤 했다.[13] 이런 필사적인 남송군의 의지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둬 몽골군이 완벽한 포위망을 유지하지 못하게는 했지만 이것도 후반에 가서 수군을 제대로 구축한 몽골군에 의해 실패하는 횟수가 높아지게 된다.

결국 쿠빌라이는 동생이 보내 준 이슬람 기술자들의 공성 병기에 힘입어 번성을 함락시키고 양양성에 마지막으로 항복 권유를 하여 양양 성주였던 여문환의 '항복'을 받아냈다.[14] 양양의 함락 뒤 남송의 방어 체계가 무너져 몽골군은 파죽지세로 남송 영토를 차례차례 정복한다. 실제로 몽골군은 포위전을 하면서 거의 피해를 입지 않은 반면 남송군은 포위망을 뚫기 위해 수많은 병사들이 전멸하고 물자를 써야 했기 때문에 몽골군의 포위 전략이 효과를 거둔 셈이다.

1276년, 마침내 남송의 수도 임안(항저우)를 함락해 멸망시키고 조씨 황족을 대도로 불러와 나름대로 후대했다. 하지만 남아있던 잔당 세력이 어린 황자(남송 소제)를 데리고 도주했다. 남송의 잔당은 홍콩 근처 애산涯山이라는 섬에 요새와 행궁을 짓고 자리를 잡았는데, 1279년의 몽골 수군의 소모전을 견디다 못한 남송 수군이 궤멸하면서 남송은 사라졌다.

이로서 원은 순수 이민족 왕조로서 역사상 최초로 중국을 통일했다. 북방민족의 피가 섞인 한족이 세운 통일왕조로는 수나라나 당나라가 있었지만, 순수 이민족 혈통의 왕조가 세운 통일왕조는 원나라가 처음이었다. 쿠빌라이는 중국에 학교, 무역항, 운하를 세우고 과학과 예술을 지원하면서 원 제국을 크게 융성시켰다.

쿠빌라이는 미얀마, 베트남, 사할린 등을 침공했지만 완전히 정벌은 못하고 속국으로 만드는데 그쳤다. 특히 인도네시아 자바 섬 침공과 2차례 일본을 공격한 것은 완전히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15] 쿠빌라이와 일 칸국십자군과 동맹을 맺어 중동의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려 들기도 했다. 쿠빌라이 통치 아래 원 제국은 명실공히 세계의 중심에 올라, 쿠빌라이의 연회에는 전 세계에서 온 사신이 몰려들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몽골 제국은 끝내 나뉘었다. 오고타이 칸의 손자 카이두(하이두)가 반 쿠빌라이 세력을 규합하며 아리크 부카의 계승을 선언, 쿠빌라이 칸을 찬탈자로 비난하고 난을 일으켰다. 1276년 쿠빌라이는 넷째 아들 노무간에게 대군을 주고 원정을 보냈지만, 친 아리크 부카 장수들이 진중 반란을 일으켜 노무간을 킵자크 칸국에 넘겨버리고 카이두에게 붙었다. 1277년 카이두가 카라코룸으로 진군해 오자 쿠빌라이는 명장 바얀을 파견하여 카이두를 격파했다. 1287년 카이두가 동몽고 지역의 왕가들과 결탁하여 또 쳐들어 오자 쿠빌라이는 먼저 동몽고 왕가들을 개발살 내고 카이두를 상대하러 갔다. 쿠빌라이가 동쪽에 있는 사이 카이두는 우세한 전황을 유지했지만 쿠빌라이의 본군이 오자 본국으로 돌아갔다. 이후에 카이두의 세력이 점차 위축했지만 동서 두 칸의 전쟁은 쿠빌라이가 죽은 뒤까지도 이었다.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16] 등이 모두 반(反)쿠빌라이였기 때문에 지금의 중동지방을 지배한 일 칸국과만 친교를 이었다.

재정정책을 위한 색목인 관료를 대거 키우면서 몽골인들의 불만을 일으켰다. 쿠빌라이 치세 후반부터 원 제국은 슬슬 번영이 끝나기 시작한다. 대규모 원정으로 재정이 악화했을 뿐더러, 유목민 특유인 후계제도의 약점(장자상속제가 아니라 모든 자식에게도 권리가 있다)과 라마교에 물들어 명나라 F4 급의 양태를 보여 더 문제였다. 그리고 엄격한 한족 차별로 인구의 90%가 넘는 한족을 적으로 돌린 점도 있을 것이다.

79세에 죽었는데 장수왕처럼 어찌나 오래 살았는지, 황태자 친킴이 죽고 손자 성종 테무르가 뒤를 이었다. 루이 14세의 경우는 증손자라지만, 왕이 죽자 전성기가 막을 내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전성기의 무리한 원정의 폐해로 나라도 막장선을 타는 면에서 많이 닮았다.

4 고려와의 관계

고려 원종은 내전 도중 즉위 전의 쿠빌라이에게 접근했다. 항복하러 가던 중에 몽케 칸이 죽었는데, 쿠빌라이가 즉위하리라 보고 일부러 쿠빌라이에게 접근하였다는 말도 있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마주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원종은 쿠빌라이와 여몽전쟁을 끝내고 강화조약을 체결하며 돌아와 무신정권을 끝내고 왕권을 되찾았다. 흥미롭게도 이때 쿠빌라이는 고려를 고구려(고려) 그 자체(후신)로 생각하여, 당태종도 못 정복한 고(구)려의 후손이 제발로 항복했다며 좋아했다고. 당시만 해도 아리크 부카와 대권경쟁 중이었고, 정통성 측면에서 아리크 부카 쪽이 좀 더 우위에 있던 상황에서 40년이나 저항(...거의 본토 방치 수준이었지만)하던 고려가 쿠빌라이에게 와서 항복해 정통성 측면에서 상당한 힘을 보태서였다. 대외적으로 쿠빌라이 쪽을 계승자로 봤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다만 카다안의 침공 당시에는 고려가 속절없는 모습인 듯하자 "고구려는 짱 쎘다고 들었는데 너희들은 지금 왜 이렇게 비실거림?"이라고도 말했다. 전자의 고구려 관련 발언에 비해 사람들이 이 말은 잘 모르는 듯.

이때 쿠빌라이가 고려에 약속한 세조구제(世祖舊制)로 고려는 몽골에 40년이나 대항하고서도 직할통치를 안 받은 유일한 나라였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서양쪽 역사책의 지도에서, 고려는 원나라와 같은 빛깔이다. 아예 국경선 표시도 없이, 원나라의 영토로 취급한 지도책도 수두룩하다. 세계사적인 입장에선 볼 땐 형식적인 국가틀은 유지했지만 왕조 건국과정의 문제 때문에 로마에 예속된 거나 마찬가지였던 해롯 왕가 치하 유대 왕국 및 조공을 바치고 신칭을 한 동로마 제국, 헝가리, 폴란드 등의 사례나 국체를 유지한 노브고로드 공국 등 러시아 제공국들도 있기 때문과 정도의 차이이지 원에 예속되어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왕위 계승에 몽골 제국이 직접 관여한 점, 여몽연합군에 군대를 동원당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외국에서 몽골의 속방이나 영토로 표기하는 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해외에서 발행된 역사관련 지도는 모두 고려를 몽골 제국의 영토, 혹은 속국으로 표기한다. 당장 오스만 제국에 경기병을 공급해 주었으며 오스만의 황통이 단절되었을 경우 황위를 이어받도록 되어있을 정도로 우대를 받았던 크림 칸국도 오스만 제국의 영역 하에 포함시키는 사례도 있고.

어쩄든 이때 고려가 비록 직할통치의 위기를 벗어났지만 그 대가도 상당했다. 하지만 쿠빌라이가 원종과의 약속을 뒤집어 고려를 직할령으로 만들었다면 명나라의 한 성(省)으로 남았을 수도 있다. 따라서 비판의 여지는 있지만 당시 원종의 입장에서 쿠빌라이에게 귀순한 일은 잘한 선택이었다. 실수로 편을 잘못 들었다면 분명 쿠빌라이 칸이 보복했을 테고, 이미 국력이 기울대로 기운 고려가 과연 버틸 만했을까? 다른 나라들 다 망할 때 그 정도 결과를 이끌어낸게 오히려 기적이었다. 그리고 '세조구제' 는 그 뒤로도 원나라에 고려를 편입시키려는 시도가 있을 때마다 든든한 방패막이 되어주었다.

5 일본 원정

이즈음에 일어난 대삽질이라면 역시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전통적으로 몽골군의 약한 수군을 뻔히 알면서도 고려군만 믿고 남송 정벌과 병행으로[17] 원정을 추진했는데, 1274년 1차로 원정할 때 고려군이 바다를 더 잘 아는데도 불구하고 바다를 생판 모르는 몽골군 지휘부가 총지휘를 맡았던게 문제였다. 이래서야 안 봐도 비디오다(...). 포에니 전쟁 초기에도 해운국이었던 그리스(의 일부 폴리스)를 제치고 농경국가인 로마군이 연합해군 총지휘를 맡았다가 비슷하게 발린 일이 있었다.

상륙해서 막부군에게 꽤나 강력한 타격을 몇 번 주지만, 끝내 태풍에 쓸려 원정함대의 1/5이 침몰하고 말았다. 나머지 군사로도 그냥 지르면 끝인데, 몽골군은 장기전을 예상하고도 이를 바라지 않았다. 게다가 어이없게도 철수하다가 또 태풍을 만나 살아남은 함대의 절반 이상이 또 침몰해버렸다.

하지만 일본원정이 그 시절판 임진왜란이란 설도 있다. 남송이 항복하자[18] 당시 50만에 달하던 항복병들은 몽땅 기병위주의 몽골군에 합류시키기도, 먹여살리기도 어렵고 써먹을 데도 없었고... 그래서 일본원정이 나왔다는 주장.

하여튼 이 때문에 고려에선 병선 제조하고 군량미 모으느라 등골 빠졌다. 1~2차를 대차게 말아먹었지만, 쿠빌라이 칸은 3차 원정을 또 준비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3차 원정은 베트남 공격을 위한 부대를 편성하면서 취소했다. 베트남 공격도 말아먹지만... 게다가 이런 원정을 수행하기 위한 재정적인 부담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에 신하들이 죽기살기로 반대하여 끝내 쿠빌라이는 뜻을 꺾고 만다.

참고로 1차 일본 원정 실패에 이런 얘기도 있다. 사실 규슈 상륙했을 때까진 되려 여몽연합군 측의 기세가 엄청났고, 일본인 다 죽을 뻔했다는 것.[19] 그러나 고려군을 믿지 못한 몽골군은, 고려군이 배타고 떠날까봐 겁먹어서(...) 여러 번의 삽질(낮에 진격하고 밤이 오면 진격한 걸 다 무르며 배로 되돌아오는 등)을 하며 몇날 며칠을 보내다가 끝내 태풍 만나 다같이 저승갔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적어도 '우연히 태풍을 만나 망했다'기보단 '태풍이 올 때까지 기다린' 셈이다. 이 경우 우연한 원정 실패가 아니라 언제든 필연적으로 망했을 가능성이 농후했다.

뒤이어 1281년, 투항한 남송군 10만 명을 강남 ~ 큐슈 루트로[20] 몽골군, 고려군과 함께 원정을 보냈다. 일본 또한 1차 원정처럼 정예 사무라이 일기토하러 내보냈다가 돌격에 발리지 않고 준비를 철저히 했다. 한판 크게 일어날 듯했지만...

1차 원정보다 더 안습하게 강력한 태풍의 힘에 수천척의 함대가 수장당했고, 가까스로 열도에 상륙한 군대는 막부군에 개털렸다. 이때 고려의 배들은 거의 피해가 없는데 남송산 배들은 피해 작렬이었다고. 남송 사람들의 사보타지도 한몫한 듯하다.

신이 난 일본은 자연현상에 '신푸(神風, 신풍)'라는 이름까지 붙였고, 이후 일본은 신이 수호하는 나라라서 결코 패망하지 않는다는 불패(不敗)와 신국(神國) 사상이 생겨났다. '신주불멸(神州不滅)'도 같은 표현. 태평양 전쟁미국에 지기 전까지는 '본토가 점령되어 패배한 적은 없다'는 뜻에서 불패, 신국 떡밥이 횡행했다.

사실 이 때의 일본은 덴노가 일본 구해달라며 기도나 했고, 가마쿠라 막부의 실권자들은 우왕좌왕했으니 막장이라고 해도 좋을 듯... 실제로 가마쿠라 막부는 이 침공의 여파로 더더욱 빨리 쇠퇴해 불과 50년 뒤 무너졌다. 이렇듯 무신란 직후로 혼란스럽던 고려 정부만 막장이 아니었다. 어쩌면 귀찮은 골칫덩이들을 이렇게 자연의 힘을 빌려 처치했을 수도 있다. 야! 신난다~

그리고 일본의 피해도 무시할 바는 아니었다. 규슈에 상륙한 여몽연합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규슈 지역은 말 그대로 초토화되었고, 본토 사무라이 등도 겁에 질려 패닉상태로 죽을 날만 기다렸다. 이 때의 공포를 일본에선 '무쿠리고쿠리'(몽골, 고려)라 불렀고, 이것은 뒷날 미증유의 공포 등을 일컫는 표현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용례는 일본의 모 작가가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를 '무쿠리고쿠리의 구름'이라고 말한 것이 대표적이다.

3차 원정까지 계획했으니 욕심은 장난 아니었던 듯하다. 하긴 조그만 섬나라 주제에(1280년 시점에 원나라와 그 혈족 칸국들이 지배한 면적을 보면, 누구라도 그렇게 말할 거다) 감히 천황 운운하면서 카간의 제국에 굴복하지 않으니 쿠빌라이 칸 입장에서는 자존심이 많이 상했을 것이다. 그 시점에서 쿠빌라이 칸은, 거짓말 조금도 보태지 않고 (그때까지 유라시아 세계에 알려진 영역을 기준으로) '세계의 지배자'였으니까.

쿠빌라이의 굴욕은 일본 원정 실패만으로 그치지 않았다. 베트남에도 3차례의 원정을 기획했으나 1차는 질병으로 철수했다. 사실 이건 애초에 대리주둔군이 남송 뒷치기하려고 찔러본 것에 가깝다. 그럼에도 베트남군을 개발살냈지만, 후퇴할 때는 베트남의 게릴라전으로 고전했고 피해도 꽤 입었다. 2차와 3차 원정은 베트남 영내로 상당히 깊숙이 밀고 들어갔으나 국토 사수를 결의한 베트남군 25만 군사와 그들을 지휘한 명장 쩐흥다오의 청야전술에 말려들어 막심한 타격을 입고 철수했다. 이 전쟁으로 베트남은 이집트, 일본과 함께 몽골의 침입에서 국토를 지킨 소수의 국가로 역사에 남았다. 끝내 쿠빌라이의 대외 원정 사업은 다 죽어가던 남송에게 카운터 일격을 먹인 업적으로 만족해야만 했다.

6 마르코 폴로

남송의 부를 죄다 대도로 끌어들여 이룩한 원나라의 어마어마한 번영은 백만 떡밥의 창시자인 마르코 폴로와 그의 책 동방견문록으로 잘 드러난다. 궁전의 한 전각에 통째로 엄청난 양의 금은을 저장했다고 한다. 참고로 그 전각 크기는 아주 컸다고...[21] 그러나 원 말기에 그 전각에 저장한 금은들은 다 날아갔다. 하지만 정작 원나라 사료에는 이 마르코 폴로의 언급이 없다니 흠좀무. 오죽하면 동방견문록이 죄다 줏어들은 떡밥 견문록이란 말이 있다. 하지만 마르코 폴로가 정말 중국에 갔다고 믿는 사람들은, 원나라에 색목인 관리가 많아 마르코 폴로를 특별히 적을 필요가 없었다고도 주장한다. 사실, 다른 방문자들의 견문기를 보아도 분명히 많은 서양인이 몽골의 궁정에 있었지만, 누구의 이름도 원나라 기록에 없었다. 하지만 마르코 폴로 스스로가 쿠빌라이 칸의 총애를 받았다고 적어 문제인데... 이에 대해선 당시 서양인들의 과장과 뻥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7 창작물에서

쿠빌라이 칸이 등장하는 가장 유명한 창작물은 영국의 시인 사뮤엘 테일러 콜리지가 쓴 Kubla Khan; or, A Vision in a Dream: A Fragment 이라는 미완성 영시. 흔히 Xanadu 제너두 라고도 한다. 영국 낭만주의 시를 대표하는 작품로 유명하다.

시집의 서문에 따르면 콜리지가 쿠빌라이 칸의 여름 별궁인 제너두(Xanadu)[22] 의 풍광에 관한 글을 읽고 아편을 피우고 잠들어서 꿈을 꾼 내용을 하룻 밤만에 썼다고 한다. 꿈에서 깨어났을 때는 약 200-300 줄 가량의 긴 시상이 떠올라서 한참 쓰고 있는데 중간에 폴락지방에서 방문객이 와서 잠시 멈췄다가 다시 이어서 쓰려고 하니 그 내용을 잊어버렸고 아무리 애를 써도 그 뒷부분의 내용을 기억해 낼 수가 없었다고 한다. 1797 년에 썼으나 미완성인 채로 보관하다가 시인 바이런 경의 권유로 1815년 출판하였다. 워낙 유명한 영시이다 보니 영미권에서는 제너두는 동양에서의 도원경(桃源境) 처럼 상상속의 이상향 또는 대저택의 이름으로 통용된다. 미국가수 올리비아 뉴턴존이 1980년대 제너두라는 노래를 발표하였고 동명의 영화도 나왔다. 시의 처음 5줄은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In Xanadu did Kubla Khan // A stately pleasure-dome decree:
Where Alph, the sacred river, ran // Through caverns measureless to man // Down to a sunless sea.

코에이의 칭기즈 칸(푸른 늑대와 흰 사슴) 시리즈에도 있다. 한국에도 수입한 원조비사: 고려의 대몽항쟁에서는 시나리오 3에 등장, 준수한 능력치(정치 B, 전투 B, 지휘 B, 매력 A)지만 아들들의 능력치가 개떡이다.(...) 거기다가 시나리오 시작할 때쯤 쿠빌라이 칸이 이미 50대 중반이라 서두르지 않으면 능력치가 딸려도 한참 딸리는 아들들을 믿어야 되는데, 능력 좋은 장군을 부마로 삼으려고 해도 시작할 때 딸은 하나도 없으니...

파일:Attachment/쿠빌라이 칸/쿠빌라이칸.png
징기스칸 4 일러스트

징기스칸 4에서도 능력치가 골고루 준수한 준 먼치킨. 정치 87, 전투 85, 지모 84. 형 몽케보다는 좀 딸리는 인상도 있지만 게임 속 쿠빌라이 최고의 메리트는 바로 엄청난 수명. 몽골 출신 무장들 중 가장 수명이 길어서 시나리오 2에서 원나라는 이미 세력이 크지만, 쿠빌라이의 수명까지 더해서 그 1대에 세계 제패도 가능하다. 의술을 조금 올리면 90세가 넘어서까지 장수하는 무서운 장면도 나온다.

파일:Attachment/쿠빌라이 칸/Example.jpg
삼국지 12에도 등장했는데, 정작 능력치들은 맹장에 가까운 능력치다.(...) 몇몇 유저들은 쿠빌라이(사준사구)와 헷갈렸다라 추측한다.

미드 마르코 폴로나 60년대 영화들에선 백인 배우가 맡았다. 이렇게 비백인을 백인으로 만드는 등 인종을 바꿔버리는 것을 배역의 인종 전환(Racial Lift)이라고 부른다. 대지같은 영화도 백인 배우가 왕룽을 연기했지만 1930년대 영화임을 생각하면 지금과 다른 인식과 배경이던 시절이다. 85년 영화 레모도 한국인 스승 치운을 백인계 배우가 분장하고 맡았지만...

그러다가 2014년작 넷플릭스 드라마 마르코 폴로에서는 진짜로 동양인 배우가 맡았다. 문서 참조.

8 평가

쿠빌라이는 몽골사 내에서도 상당히 특이하며 의미가 있는 인물이다. 칭기즈칸이 몽골 울루스라고 하는 대 세력의 시초가 되었다면 쿠빌라이는 중국적인 의미에서 최초로 '제국'을 세운 인물이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남송이 군사적으로 약소국이었다고 말하지만 압도적인 군사력을 가진 요, 금 그 어떤 이민족 국가나 몽골의 역대 칸들도 남송을 정벌하지 못했다. 이는 남송 자체가 군사적으로는 다소 열세였을 지언정 그 저력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었다.[23]

남송을 정벌한 최초의 이민족 황제인 쿠빌라이는 중국적인 가치관을 받아들인, 혹은 그것을 인정한 칸이었고 그들을 위한 정책과 함께 굉장히 관대하면서 인내심있는 전략을 펼치면서 남송을 정벌할 수도 있었다. 당장 그의 형인 뭉케는 급하게 남송을 정벌하려고 했다가 처절하게 실패했을 뿐더러 자신이 견제하던 동생인 쿠빌라이에게 칸 자리를 넘겨주는 결과를 초래했다.

다른 칸들이었다면 결코 기다리지 않고 무작정 공격을 했을 양양 함락만 봐도 그렇다. 그는 몇 번 지휘관들을 질책하긴 했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장군들을 믿고 기다렸으며 이 과정에서도 중국인들에게 야만인들의 왕이 아닌 관대한 황제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었다. 당장 금방 점령할 수 있었던 양양성에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항복 권유를 했으며 끝까지 양양을 지키며 남송에게 충성을 바쳤던 성주, 여문환은 이런 그의 대접에 감격하여 이후에 남송 정벌에 앞장서며 활약했다.

그는 중국인을 보호한 최초의 칸으로 농지를 함부로 빼앗아 목초지로 만들지 못하게 했고 중국인들의 눈에 위대한 황제로 보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사람이었다. 물론 근본적인 차별을 철폐할 수는 없었지만 그가 이런 정책을 펼치지 않았다면 남송을 정복하더도 자기 치세 동안 유지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칸들보다도 훨씬 저항한 사람들에게 관대했다. 여문환의 예에서도 볼 수 있으며 자신에게 항복한 사람들 대다수의 권리를 인정하고 그들의 지배를 인정해주었다. 항복한 자들을 용서하는 것은 몽골 군대의 전통적인 전략이기는 했으나 그만큼 관대하게 이 원칙을 확대해서 적용했던 칸은 없었다. 결국 이러한 전략은 양양이 무너진 후 수많은 남송의 호족들이 앞다투어 항복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다른 칸들과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그는 '황제'가 되고 싶은 분명한 욕망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베트남 원정, 무리했던 2차례의 일본 원정[24]을 단행했을 것이다. 그는 중국인들 뿐 아니라 장차 세계로부터 자신이 황제라는 것을 인정받고 싶어하는 사람이었다.

허나 그의 이런 성향은 이전부터 가속화되었던 몽골 울루스의 분열을 분명하게 만들었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이것이 그의 실책이나 잘못이라고 볼 수만은 없다. 이미 칭기즈칸 대에서 아들들의 분쟁은 공공연한 일이었을 뿐더러 그의 아버지 또한 칸의 자리를 노리다가 실패하여 형에게 죽은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주치, 차가타이, 오고타이, 툴루이 이 네 사람의 후손들은 이미 서로 반목을 하고 있었다. 당장 뭉케만 해도 칸의 자리에 오르자마자 금기였던 황금씨족[25]을 대량 학살했으며 그 윗대의 바투와 구유크가 대립했던 것도 공공연한 사실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사실상 분열은 이미 칭기스칸의 대에서 일어나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쿠빌라이가 이것에 대해 한 가지 실책 아닌 실책이 있다면 그 자신이 중국적인 가치를 받아들임으로써 반대파에게 명분을 주었다는 정도일 것이다.
  1. 몽골식 군주 칭호
  2. 내전 승리로 카간 즉위를 공인받았다고는 하지만 친 아리크부카 세력이 이탈했고 이후의 카칸 즉위가 내전으로 얼룩지게 되는 선례를 만들었기에 통일 몽골 제국의 마지막 카간은 몽케 칸이라는 시각이 제법 큰 편.
  3.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 등
  4. 물론 카간으로써의 명목상의 영향력이 몽골 제국 전체에 미치기는 했다. 하지만 서쪽 끝의 캅자크 칸국까지 가면 사실상 영향력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
  5. 물론 실제적인 군사 지휘는 보좌였던 장군, 우량카다이가 했다고 보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6. 물론 훗날 거의 군권을 박탈당했을 뻔한 걸 생각하면 겉으로만 그랬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남송 정벌을 원하는 뭉케에게는 쿠빌라이가 가지고 있는 북중국의 지지기반이 필요했기 때문에 당장 전쟁을 벌여 제거할 수 없는 이유도 있었다.
  7. 단 이것에 대해서는 훗날을 생각한 쿠빌라이가 일부러 진군을 늦게했다는 주장도 있다.
  8. 이때 그동안 질질 끌면서 진군해왔던 것과는 달리 제법 빠르게 공격을 진행했는데 이는 쿠빌라이 자신이 원정에서 아무런 성과가 없으면 훗날에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대리 원정을 함께 진행했으며 돌아가지 않고 송을 공격하다가 고립되었던 우량카다이의 부대를 구해내 그의 지지를 얻게 된다. 당시 우량카다이는 그의 반대파에 속해 있었다.
  9. 내전이 나자 몽케 칸의 군대도 아리크 부카를 지지했다.
  10. 훌라구는 아리크 부카의 즉위를 반대했지만 그렇다고 쿠빌라이를 지원하지도 않은 채 사태를 관망했다. 여차하면 카간 쟁탈전에 끼어들어 자신이 카간에 오를 속셈이었다.
  11. 그러나 아리크 부카는 1266년 사망, 독살 의혹이 있고 여러 정황상 쿠빌라이가 제거했다고 보는 것이 맞다. 곧바로 제거하지 않은 것은 안 그래도 정통성이 부족해서 반대파들로부터 공격받고 있는데 이 와중에 동생까지 살해해서 그들의 신망을 더 잃고 싶지는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12. 훗날 원나라가 명나라에게 밀려나 완전히 몰락한 이후 북원 평종 토구스 테무르를 아리크부카의 후손 조리그투 칸이 살해하고 대칸에 즉위, 결국 백여년만에 쿠빌라이 가문은 몰락하고 아리크부카 가문이 몽골 제국 대칸을 잇게 된다.
  13. 참고로 실패하면 그냥 바로 전멸이었다.
  14. 여문환은 양양의 호족으로, 정말 끝까지 처절하게 저항하고 또 저항해서 종국에는 부녀자들을 성밖으로 내보낼 때 자기 가족들까지 내보내던 사람이었다. 그런데도 결국 남송 조정에서는 이 사람이 쿠빌라이와 내통한다 이런 말까지 나왔으니... 그럼에도 정말 버틸 수 없는 극한의 상황까지 저항하다가 항복해서 쿠빌라이에게 충성하게 된다.
  15. 자바 섬 등의 동남아시아 공략은 상업루트를 개척하려는 목적이 컸고, 최종적으로는 해상루트의 안전을 확보했다.
  16. 차가타이 칸국은 처음에 카이두의 오고타이 칸국에게 적대적이었지만, 1282년 카이두의 도움으로 두아가 칸에 오른 뒤 카이두가 죽을 때까지만 협력하였다.
  17. 일본의 남송 지원을 저지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18. 임안 함락은 1276년이지만 남송 자체는 1273년에 양양 함락 뒤 이미 대규모 항복크리와 함께 실질적으로는 거의 멸망 상태였다.
  19. 이건 사실로 보는 것이 맞다. 왜냐하면 그때까지 일본은 이 정도로 대규모 병력이 싸우는 전투를 경험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전투에서는 그냥 무참하게 발렸기 때문이다.
  20. 태풍철에 10만 명을 이런 루트로 보냈으니 진짜 미친 짓이다. 사실 가는 사이에 태풍을 안 만난게 정말 기적이다.
  21. 다만 이 묘사는 쿠빌라이 개인의 부유함보다 원나라의 은태환 지폐인 '보초'와 연동되는 국고를 가리킨 것일 가능성이 있다. 참고로 경제가 활성화될수록 보초가 더 발행되고, 보초가 더 발행될수록 은도 더 많이 필요해져서 원나라가 응방을 통해 은을 수집하느라 혈안이 되었던 것은 후일담 아닌 후일담.
  22. 북경의 북쪽 내몽골 지방의 상도(上都)
  23. 혹은 남송을 정벌하는데 큰 힘을 쏟는 것보다는 그냥 조공을 받고 약탈을 하는 편이 훨씬 이득이라고 생각해서일 수도 있다. 이것은 유목 민족과 정주 민족의 사고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24. 심지어 3차 원정도 하려했다가 반대가 너무 심해서 단념했다.
  25. 칭기즈칸의 핏줄을 이은 왕족들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