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 왕국

(헝가리왕국에서 넘어옴)
헝가리의 역사
Magyar történelem
고대중세~근세근대현대






























오스만 헝가리오스트
리아 제국
오스트
리아-헝가리

1






2







3


합스부르크 헝가리
게피드
왕국
동헝가리트란실바니아 공국
헝가리 왕국
Magyar Királyság
국기국장
1000년 ~ 1918년
1920년 ~ 1946년
표어Regnum Mariae
Patrona Hungariae[1]
(한국어 해석 추가바람)
국가Himnusz
("Isten, áldd meg a magyart")
위치동유럽
수도페슈트포조니
페슈트부다페스트
정치체제선거군주제 → 입헌군주제
공용어헝가리어
라틴어
독일어
민족헝가리인
세르비아인
체코인
크로아티아인
종교가톨릭
통화플로렌티누스탈러
플로린굴덴
크로네코로나
펭괴
1차 성립 이전헝가리 대공국
1차 멸망 이후
/2차 성립 이전
헝가리 민주공화국
2차 멸망 이후헝가리 제2공화국

1 개요

헝가리 왕국
헝가리어: Magyar Királyság
1000년부터 1946년까지 헝가리와 그 주변 지역에 존재하였던 국가이다. 1526년부터 1918년까지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다가, 1919년 공화정이 수립 되었으나 트리아농 조약으로 해체되고 1920년부터 1946년까지 호르티가 집권하였다

2 역사

11세기 헝가리의 모습

11세기 헝가리 왕국이건국 되었으며 유럽인들이 십자군 전쟁을 시작한 11~13세기에 헝가리 왕국은 유럽 최강국들 중 하나로 군림했다.

※ 1210년 헝가리 왕국의 영역

12~13세기신성 로마 제국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전성기 시절로, 아직 황제가 유럽 전역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였고, 비잔티움 제국역시 콤네노스 왕조가 위세를 떨치던 시절이라 강대한 세력을 동서에 둔 헝가리는 그 영향력을 유럽 전체에 떨치지는 못했다. 다만 폴란드와 함께 중부 유럽의 강자로 불리기는 충분하던 시절. 13세기 초반 비잔티움 제국이 4차 십자군으로 몰락하자 헝가리의 세력권은 발칸 반도를 향해 확장되기 시작했다.

2.1 전성기와 몰락

1241년, 동방에서 쳐들어온 몽골족(바투의 원정군)과 싸워 참패(모히 전투)한 후 헝가리 전역이 몽골군의 맹렬한 침략을 받았고, 전염병까지 만연하게 됨에 따라 헝가리의 국력은 일시적으로 크게 쇠퇴하였다. 이 때 헝가리 인구의 약 60%가 사망하였고, 이 인구를 회복하는데 약 300년의 기간이 걸릴 정도였다.[2] 기존에 헝가리인들이 살던 지역은 다른 민족들이 들어오게 돼 20세기까지 이어지는 민족문제를 낳게 되었다.

14세기 중반, 1000년 이래 헝가리를 통치한 아르파드 왕가의 대가 끊기고 이후 헝가리의 왕위는 앙주가(프랑스 왕가 출신이자 나폴리 왕국의 왕가)의 카로이 로베르트(Károly Róbert)에게 넘어간다. 카로이와 그의 아들 러요시의 재위기(1342-1381)에 헝가리는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러요시는 계속된 정복전쟁으로 방대한 영토를 가졌을뿐만 아니라 후반기엔 폴란드 왕위까지 겸임하게 됨으로써 일시적으로 헝가리 왕국은 오늘날의 헝가리 전역, 폴란드 대부분, 루마니아의 절반, 세르비아 북부(베오그라드 포함),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전역, 심지어 오스트리아의 일부까지 지배했으며 신성 로마 황제를 배출하기도 했다.

이토록 강력한 대왕국을 일군 헝가리였지만 프랑스와 같은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를 세우는데는 실패한다. 헝가리는 거대한 영토 때문에 많은 나라들과 접경하고 있었고 폴란드,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왕가, 왈라키아, 세르비아인들과 싸웠으며 이는 주변 모든 나라가 잠재적 적국이었다는 불행한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상술하다시피 1241년 참패의 여파로 헝가리의 인구가 회복세에 접어들기까지 꽤 오랜 세월이 걸렸고, 이는 국가 발전의 침해요소로 들어서게 된다.

※ 1370년대 헝가리의 영역

14세기 말부터 헝가리는 남방의 발칸 반도에서 밀려들어오기 시작한 오스만 제국에 맞서 전쟁을 벌이면서 조금씩 국운에 그림자가 드리워지기 시작한다. 특히 1444년의 바르나 전투와 1448년의 코소보 전투[3]에서, 오스만 제국의 무라트 2세(재위 1421~1444, 1446~1451)에게 연패한 것이 대표적.

하지만 그렇다고 헝가리가 하루아침에 '망했어요' 가 된 것은 아니어서 1456년에는 야노슈 후냐디의 주도로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베오그라드에서 저지하였으며, 그 아들로 왕위에 오른 마차시(Mátyás) 1세의 시대에 헝가리는 다시 한번 부흥기를 맞이한다. 어렸을 때에 인문주의자들로부터 교육을 받은 덕에 이탈리아를 제외하면 모든 유럽 국가 가운데 가장 먼저 르네상스 문화를 받아들인 나라가 되었으며[4], 오스만을 제외하면 당시 유럽 최대의 상비군을 두어 군사력 강화를 꾀하기도 했다[5]. 다만 그가 1490년에 죽고 폴란드의 왕족인 브와디스와프가 울라슬로(Ulászló) 2세로 즉위하면서 헝가리는 급속도로 기울기 시작했고[6], 결국 1526년 쉴레이만 1세(재위 1520~1566)가 거느린 군대와 교전했지만 2만 대 10만이라는 병력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모하치 전투에서 완패하면서 멸망을 맞는다[7].

633px-Central_europe_1683.png
1683년 당시, 옛 헝가리 영토와 그 주변. 합스부르크 헝가리와 오스만 제국의
신하국인 트란실바니아 공국고지 헝가리 공국으로 나뉘었다.

이후 헝가리의 국토는 삼분[8]되어 오스만 제국의 속국인 동부의 트란실바니아 공국을 제외하면 중심부는 오스만 제국의 최북단 영토로서 1699년까지 무려 170년이나 통치를 받아야 했으며, 서북부는 최후의 헝가리 국왕 러요시 2세의 여동생과 결혼한 신성로마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가 헝가리의 잔존 세력에 의해 선출되어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 오늘날까지도 이 시대는 헝가리인의 민족적 치부로 남았다. 발칸 민족들은 거의 다 그렇지만[9].

한편 그 사이 헝가리는 문화적으로 종교개혁의 영향을 받아 합스부르크령 헝가리 한정으로 상당수 백성들이 칼뱅교로 개종하였다. 이로 인해 헝가리도 체코처럼 가톨릭 이외에 개신교 문화유산이 건재하게 되었다. 최근의 비종교화는 일단 생략하자.

1683년, 2차 빈 포위에 실패한 오스만은 오스트리아-헝가리-베네치아-러시아가 엮인 신성 동맹 군대의 공격을 받고 참패해 헝가리의 잔존 영토를 오스트리아에 할양했다. 헝가리 전역은 중세에 그렇게 날을 세웠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받게 되었으며, 이 통치는 1867년까지 이어졌다. 이로서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직할령이 되었다.[10]

2.2 헝가리의 재등장

강고하던 오스트리아의 지배는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초기 오스트리아가 '삼제회전' 등에서 잇따라 패배한 뒤 약화되었다. 오스트리아가 물리칠 수 있는 상대라는 것을 확신하고, 나폴레옹이 퍼뜨린 '자유-평등-박애' 중 자유에 주목한 헝가리인들은 격렬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특히 1848년 오스트리아에서 '빈 체제'에 항거한 3월 혁명이 일어나고 새 황제가 즉위하자 헝가리인들의 독립운동도 더욱 고조되어 코슈트 러요시의 주도 아래 부다와 페스트와 데브레첸에서 거센 반오스트리아 운동이 불타올랐다. 이 때 헝가리 혁명군은 오스트리아 군을 연달아 격파하며 독립을 거의 쟁취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오스트리아 정부는 역시 소수민족 문제로 골머리를 썩히던 러시아의 도움까지 받아가며 이를 진압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거대한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소수자인 오스트리아-게르만족만으로는 이를 모두 억누를 수 없었다. 헝가리인들도 오스트리아-게르만족만큼 많았기 때문이다(제국의 인구 구성비는 오스트리아-게르만계가 가장 다수였으며 그 다음이 헝가리계였다).

결국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패전한 뒤 오스트리아 정부는 방침을 전환해 헝가리인들에게 '공동의 제국'을 제안했다. 이른바 대타협 혹은 아우스글라이히라고 불리는 이 제안의 결과 헝가리인들은 '헝가리 왕국'을 건국하고 독립적인 정부와 의회 등을 구성하는 대가로 300여 년 전 헝가리 공주와 결혼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머나먼 후손인 현재의 황제(당시의 황제는 프란츠 요제프 1세)을 자기네의 '국왕'으로 인정하여 오스트리아 역사의 전무후무한 '이중제국'이 출현했다. 이것이 역사상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약칭 K&K(Kaiser und König, 황제와 왕) 제국으로도 불린다. 이로서 헝가리인들은, 비록 오스트리아 황제를 국가원수로 했지만 어쨌거나 독립을 손에 넣었다. 1526년 이후 무려 340년만이었다.

2.3 피지배자에서 지배자로

500px-Kingdom_of_Hungary_counties.svg.png
188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 중 “성 이슈트반 왕관의 땅”, 곧 헝가리 왕국 부분

1867~1918년까지 약 50년 동안 헝가리인들은 오스트리아인과 함께 '이중제국'의 지배민족으로 군림하며 다른 민족들을 탄압했다. 주로 루마니아인, 우크라이나인, 폴란드인, 세르비아인들이 탄압을 많이 받았는데, 이 중 가톨릭 교도가 아닌 정교도 루마니아와 세르비아는 그 때문에 더 많은 탄압과 감시와 압박을 받았다. 1878년 이후 제국 바깥에 루마니아, 세르비아 독립국가가 수립되었기 때문에 'K&K 제국'의 소수민족 탄압은 루마니아-세르비아의 반감과 적대감을 불러 일으켰다. 이는 발칸 문제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입지를 좁히는 역효과만 가져왔다.

1882년 이후 제국은 '3국 동맹'을 맺어 독일과 동맹관계를 유지했으며, 프랑스마저 꺾은 강대국 독일이 동맹국이었기 때문에 헝가리인들의 제국이기도 한 K&K 제국의 앞날은 밝아보였다. 그러나 그것이 낚시였으니...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발칸 남하 정책은 적대감이 고조되어 있던 세르비아를 크게 자극했다. 당연히 러시아 제국도 이런 팽창에 제동을 걸었고, 3B정책(베를린-비잔티움-바그다드를 이어 인도양으로 진출하겠다는 독일의 제국주의 외교정책)을 슬로건으로 내건 독일에게 발칸의 지배는 중요했기 때문에 독일은 K&K 제국을 지지했다. 이로서 유럽에는 점점 전쟁의 기운이 고조되기 시작한다.

1912년, 오스만 제국의 자투리 유럽 영토를 놓고 발칸 전쟁이 터졌다. 러시아가 '범슬라브주의'를 내세워 발칸 동맹에 속한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 등을 지원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놀랍게도 지금까지 숙적이었던 오스만 제국을 후원했다. 이교도와 손을 잡았다 하여 러시아-세르비아는 더욱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증오하게 되었으며, 결국 1913년 2차 발칸 전쟁이 터져 더 치열한 난장판을 만들어냈다.

250px-AustriaHungaryWWI.gif
헝가리 구 영토 분할

결국 1914년 사라예보 사건으로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독일의 약속을 믿고 대전에 끼어들었다. 헝가리인들은 '이중제국'의 일원으로서 러시아나 루마니아, 세르비아와 용감히 싸웠으나 다들 아는대로 결국 전쟁은 동맹국의 패배로 끝났다. 패전 후 민족자결주의와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제국은 공중분해되어, 헝가리인들은 1526년 이후 390여년 만에 마침내 그들'만'의 나라를 갖게 되었다. 헝가리 공화국이 탄생한 것이다. 하지만 그 헝가리는 트리아농 조약에 의하여 에르데이(Erdély)로 불리던 트란실바니아(Transilvania)를 포함한 대량의 영토를 상실하고 이중제국의 일원이었던 헝가리의 영역보다 작은 영토에 세워졌다.

2.4 제2차 세계대전

1944년, 헝가리 왕국의 모습.

그러나 분리 독립 이후에도 헝가리의 역사는 고난과 굴욕으로 점철되었다. 1918~19년 사이 쿤 벨러(Kun Bela), 거르버이 샨도르(Garbai Sándor)를 비롯한 사회주의자들이 러시아 혁명에 자극을 받아 세운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Magyarországi Tanácsköztársaság)은, 헝가리 보수파들과 이들과 연합한 루마니아군의 침공으로 붕괴되었다. 이후 헝가리에는 파시스트적 민족주의 국가가 세워졌고, 호르티 미클로시 제독[11]이 다스린 이 나라는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독일 나치스에도 호의적이었다.

1940년 11월에는 이미 독일과 동맹을 맺고 추축국에 가담했으며, 독일의 소련 침공에도 적극 협조했다. 독일이 우세했을 때 루마니아로부터 옛 영토를 조금 뜯어내고 유고슬라비아에서도 영토를 뜯어내는 등 1차대전때의 패배를 되갚는 듯 했다. 그러나 결국 맞이한 건 전쟁 패배와 소련의 점령(1945년 4월)이었다.

이후 헝가리는 사회주의 '철의 장막' 안쪽으로 편입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헝가리/역사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Kingdom of Mary, the Patron of Hungary
  2. 이 추정은 과거의 것으로, 현재에는 다른 견해도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다. 1960년대 학계에서는 1240년도의 헝가리 인구를 200만 가량으로, 몽골 침공 이후의 인구를 100만 ~ 120만, 1300년의 인구를 140만 ~ 160만으로 추측했다. 그러나 근래에는 몽골 침공 직전에 헝가리 인구를 120만 ~ 135만 가량으로 낮추어 추측하고 있다.
  3. 1369년에도 오스만과 세르비아가 코소보에서 싸운 탓에, 2차 코소보 전투라고도 한다.
  4. 특히 마차시가 설치한 왕립 도서관인 비블로티카 코르비니아나(Bibliotheca Corviniana)는 방대한 서적을 구비하여, 오늘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까지 올라 있다. 르네상스 시대에 이보다 규모가 컸던 도서관은 바티칸 도서관이 유일.
  5. 헝가리의 상비군은 '검은 군대(Black Army, Fekete sereg)' 라고 불렸는데 1458년부터 1494년까지 활동하였으며, 전성기 때의 병력은 2만 8천 명에 달했다. 반면 오스만과 헝가리를 제외하면 동시대에 상비군을 두었던 유일한 유럽 국가인 프랑스는 가장 규모가 컸던 15세기 후반을 살펴보아도 꼴랑 4천 명. 또한 검은 군대는 중기병에 경기병, 보병까지 다양한 병종을 두었으며 총기를 받아들인 반면, 프랑스의 4천 명은 몽땅 중기병이었다.
  6.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헝가리는 강력한 중앙집권을 이루지 못하고 지방 귀족들의 힘이 강력한 상태였는데, 마차시 1세는 제도적으로 왕권을 강화해나가더니 마침내는 문화 부흥과 국방 강화를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면세권을 비롯해 귀족들이 그간 누려 오던 특권들을 모조리 폐지하는 등 전제군주로서 군림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니 귀족들의 입장에서 '저 왕이 언제 죽나' 라고 벼르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고, 그가 서자만을 남기고 죽자 그를 후계자로 삼는다는 유언을 무시하고 몇 대 전 왕의 머나먼 친척이라는 이유로 브와디스와프를 데려다 앉힌 것도 당연한 일. 게다가 귀족들이 다른 헝가리 왕 후보들을 제치고 그를 옹립한 건, 강인하고 총명하다는 이유가 아닌 띨띨하고 모자라서 '예스맨' 으로 부려먹기 딱 좋겠다는 이유였다. 실제로 울라슬로는 자신 앞에 무슨 서류가 내밀어지든 일단 서명부터 하고 보는 버릇이 있었고, 결국 헝가리는 귀족들의 사유물로 전락하고 만다. 요컨대 마차시 1세가 죽으면서, 그의 군사, 문화적 업적까지 다함께 관짝에 들어간 셈.
  7. 여담으로, 오늘날까지도 헝가리인들은 힘든 일을 겪으면 '모하치의 패배보다 더하다' 라는 말을 한다고 한다.
  8. 모하치 전투 직후에 헝가리의 귀족 가운데 하나였던 서포여이 야노시(Szapolyai János)라는 인물이 귀족들 대다수의 지지를 얻어 왕을 자칭했지만, 모하치에서 전사한 헝가리 왕 러요시 2세는 생전에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를 후계로 지목했었다. 따라서 이들 두 사람은 각자 헝가리의 왕을 자칭하며 전쟁을 벌였는데, 그 와중에 야노시가 오스만 제국에 도움을 요청하며 신하국이 되겠다고 요청, 쉴레이만 대제는 당장에 그를 받아들였다. 이로써 헝가리는 일단 양분되었는데, 1541년에 야노시가 죽고 갓난아이인 야노시 2세가 즉위하자 '얘를 지금 그대로 헝가리 왕에 앉혔다간 합스부르크한테 다 뺏기겠다' 라고 판단한 쉴레이만이 헝가리를 삼분하여 중부는 직할지로 삼고 비교적 안전한 동부(트란실바니아 지방)만 야노시의 영토로 인정했다. 역사가들은 이 야노시의 헝가리를 동헝가리 왕국이라고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리고 1570년에 야노시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2세에게 헝가리 왕위를 완전히 양도하면서, 그는 '트란실바니아 공작이자 헝가리왕국 영토 일부의 지배자(여기까지가 공식 직함이다)' 가 되었다.
  9. 오늘날까지도, 헝가리인들은 힘든 일을 겪으면 '모하치의 패전보다 더하다' 라는 말을 쓴다고 한다. 한이 제대로 맺혀있는 모양.
  10. 보통 이렇게들 말하지만 헝가리 왕국 또한 보헤미아 왕국처럼 선거군주정이었으며 합스부르크 가문은 엄연히 선출된 군주들로 억압적인 전제군주들과는 거리가 멀다.
  11. 호르티 미클로시. 헝가리의 섭정. 본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군 장교였다. 우습게도 그가 섭정일 당시 헝가리는 공화국을 칭하고 있었음에도 1946년까지 공식적으론 왕국이었고, 이 때문에 1919년부터 1946년까지 헝가리는 바다 없는 나라의 해군제독이 왕 없는 왕국의 섭정이 되어 다스리는 기묘한 상태였다.현실판 곤도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던 칼1세가 헝가리로 잠입하여 왕으로 즉위하려고 시도하기는 했으나 호르티 제독의 군대에게 도로 쫓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