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식 전차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기갑장비
장갑차차륜 장갑차93식 장갑차
궤도 장갑차98식 장갑운반차 소다, 1식 장갑병차 호키
경장갑차카식 기총차, 92식 중장갑차, 94식 경장갑차, 97식 경장갑차 테케
반궤도차량1식 양장궤장갑병차 호하
전차경전차갑형 전차, 을형 전차, 95식 경전차 하고, 98식 경전차 케니, 2식 경전차 케토, 4식 경전차 케누
수륙양용전차특 2식 내화정 카미, 특 3식 내화정 카치, 특 4식 내화정 카츠
중형전차89식 중전차 이고, 97식 중전차 치하, 1식 중전차 치헤, 3식 중전차 치누, 4식 중전차 치토, 5식 중전차 치리
중전차95식 중전차, 100식 초중전차 오이
노획전차M3 스튜어트, 1호 전차
공병전차장갑작업기
자주포1식 포전차 호니, 1식 포전차 호니2, 2식 포전차 호이, 3식 포전차 호니3, 4식 포전차 호로, 12리 자주포
차량95식 4륜 자동차, 94식 6륜 트럭
프로토타입 /
페이퍼 플랜
5식 경전차 케호, 특 3호 전차 쿠로, 97식 중전차 치니, 98식 중전차 치호, 특 5식 내화정 토쿠, 시제 5식 포전차 호리, 5식 포전차 나토, 시제 4식 중박격포 하토, 5식 구축전차 호루, 치세
그 외일본 기갑 병기/기타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 (1914~1945)냉전기 (1945~1991)현대전 (1991~)

O-I_super_heavy_tank.jpg

일본군이 중국전선에서 이동하는 거대 토치카 용도로 만들려고 했었던 초중전차

i2422226470.jpg

독일의 초중전차 마우스 전차와의 프라모델상 크기비교. 무려 마우스보다 크다.
[1]

1 개요

100t戦車・オイ車
일본군 육군이 '만들려고 했었던' 초중전차.

2 역사

100식 전차의 시작은 1940년 일본군이 할힌골에서 소련군한테 계속 깨지고 있을 때. 이와쿠로 히데오 대좌가 비밀리에 기술본부에 "한 번 큼직한 전차를 만들어봐라"하면서 초중전차 개발을 요구하고 그 후 무라타 대좌의 감독 아래에 비밀리에 개발을 시작, 1944년에 100톤짜리 초중전차인 오이로 추정되는 전차가 개발이 끝났다. 이 전차는 초중량 주행을 목적으로 하고 만약에 사용할 상황에는 토치카로 쓸 계획이였다고 한다. 100t을 요구했지만 최종적으론 150t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사가미 육군 조병창에서 주포탑과 상부 장갑 그리고 일부 장갑 없는 상태에서[2] 이루어진 시험에서 도로 코스를 넘은 다음 야지에서 땅만 파면서 전진을 못하는 미친 상황이 발생, 나중에는 전륜이 탈락하면서 시험주행을 끝낸게 유일한 사용. 일본군들도 이건 답이 없다고 생각했는지 창고에 처박아놨다가 1944년에 스크랩 처분, 설계도도 같이 소각했다.

그 후 1944년에 한번만 더 해보자고 미쓰비시에 의뢰, 다시 140톤 무게의 전차인 대이로 추정되는 전차를 개발했다. 장갑, 무장강화와 현가장치 개량해서 설계했는데 그 후의 이 전차 프로젝트의 행방을 아무도 모른다.

3 문제점

  • 빈약한 부포

100식 전차의 주무장은 92식 105mm 포로, 일본군에게 있는 몇 안 되는 M4 셔먼을 격파할 수 있는 포다. 허나 부포탑에 달린 포는 47mm이다. 스튜어트정도나 겨우 격파 하는 빈약한 포이며, 말 그대로 소련군의 전차에 흠집조차 못 내는 잉여 무장이다. 마우스의 부무장이 75mm 전차포인 것에 비하면 있으나 마나. 더군다나 이 105mm 포나 47mm 포나, 일본의 기술력으론 명중율에서 영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오는데다 1944년쯤 되면 가뜩이나 안좋은 질이 더 떨어지는 만큼 나와봐도 셔먼은 제대로 못 맞추고 사격 연습용 표적만 됐을 가능성이 크다.

만약 이것이 만주 작전 때까지 실제로 만들어져서 투입되었다고 해도, 당시 소련은 122mm 전차포로 무장한 스탈린 전차와 122mm보다도 더 무식한 화력을 가진 152mm 포로 무장한 다목적 중자주포를 일본군의 요새와 주둔지를 작살내기 위해 투입했다. 독일군도 몰려오는 T-34/85 의 파도를 견뎌내지 못했는데 이런 구시대적인 설계에 일본군의 떨어지는 완성도로는 얻어 맞고는 고철덩이가 되는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다.

  • 넘쳐나는 승무원

100식의 설계 탑승인원은 무려 11명으로 기본적인 5명에 주포탑에 탄약수 한 명 추가하고 부포탑 2개에 각각 탄약수+포수를 추가, 기관총 사수 하나 추가한 인원이다. 이 인원은 프랑스가 1차 세계대전 때 굴리던 생샤몽보다 3명이나 더 많은 수로(생샤몽은 8명) 이런 부류의 전차는 전차장의 지시가 제대로 먹히기가 매우 어렵다. 다포탑 전차의 한계점을 고칠 생각조차 하지 않은 것이 문제.

  • 시대에 뒤쳐진 장갑

100식 전차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장갑은 200mm. "왜? 두꺼운데? 이게 왜 문제점인데?" 하겠지만 이 녀석의 제작이 끝난 1944년도는 독일에는 티거 2가, 소련에는 IS-2가, 미국은 티거 대항마인 M26 퍼싱을 배치준비하고 있었던 시기다. 게다가 이쯤의 셔먼은 76mm포[3]를 장비했기 때문에 철통방어를 기대하기 어렵다.
어떻게 보면 위의 이야기는 말도 안되게 느껴질 수가 있다. 퍼싱이나 IS-2와는 체급자체가 다른 티거 2의 전면장갑이 상부 150mm, 하부 100mm로 경사도를 감안해도 오이 이상급이며 1944년의 일반 철갑탄으로 200mm 수직장갑 관통판정이 나려면 위의 전차들로는 90도 입사각에서 100미터 안에서나 겨우 가능하다. 문제라고 한다면 오이는 100톤급 초중전차로 전차전에서 파괴당할 가능성을 가지는것 자체가 약점이라는 점이다. 또한 일단 200mm는 가장 두꺼운 곳 기준이고 남는 톤수로 전방위 장갑을 둘렀다지만 크고 둔한 오이전차는 언제든 약점을 공격당할 수 있고 이놈이 나오면 미군은 일반 철갑탄대신 초월적인 관통력의 HVAP를 쏠 것이다.
게다가 일본의 강판 품질이나 리벳 접합방식을 생각해보면 실질 방어력은 더 내려갈 수 밖에 없다.

  • 느리고 크고 둔한

그간의 역사에서 막역하게 주포를 주렁주렁 달고있는 존나 커다란 전차는 강력할 것이라는 생각하에 만들었던 전차들의 최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느리고 크고 둔한표적은 그저 쏘아 맞추기 쉬운 거대한 표적에 지나지 않다.
당장 이런 거대 이동식 토치카보다 훨씬 작고 기동력있는 독일의 티거, 티거 2 전차도 연합국의 압도적인 포병 전력과 공군 전력 앞에서 제대로된 전투 한 번 못 치르고 전차를 버리고 가거나, 속수무책으로 당한 경우가 수두룩하다.
1차 세계대전 때에서나 통할법한 이런 구시대적인 발상으로 만든 느리고 크고 둔중한 전차는, 2차 세계대전 때의 기동 전력, 포병 전력, 공군 전력의 아주 좋은 먹잇감일 뿐이다.

실제로 2대가 만들어져서 실전투입마우스 전차나, 차체는 완성되어 연합군의 증거자료로 사진은 남겨져있는 E-100와 달리의, 실전이고 뭐고 애초에 프로토타입이라도 나왔다는 기록자체가 없다. 일부 일빠들에 의하면 1945년에 만주에 가서 만주 작전 때 쓰였다고 하지만 만주에 있었던 관동군의 기록에는 100식의 존재가 아예 없다.
이러이러한 존나 강한 전차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설계해봤다는 기록은 있는데 이후 진행된 내용이 없다.
이후 유일하게 남은 기록은 목업용 차량에 동일한 무게추로 기동실험을 했으나 기동성능이 엉망이었다는 기록과, 그것의 것으로 예상되는 궤도조각과 100식에 얹힐 예정이였던 것으로 포이는 포탑이 벙커에 얹혀있는 사진 뿐.

  • 초중전차

사실 위의 내용은 별 거 아니다. 진짜 문제는 이놈이 비싸고 만들기 어렵고 무거운 초중전차라는 것이다. 오이가 취소된 것도 방어력이나 공격력 부족이 아닌 엔진문제였다. 당장 큰 주포에 단단한 장갑을 갖추고 실종되지도 않은 마우스라고 삽질이 아니었던가?

4 2604식, 2605식

파일:100식전차.jpg

사진속 인물들이 소련 군인인 것을 봐서는 만주 작전 당시 노획한 것으로 추정. 물론 소련군에게 갔으면서 왜 쿠빈카에 없는지는 알 수 없다. 할힌골 전투 때의 사진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그 당시의 소련군 복식과도 불일치하고 (대표적으로 어깨 견장. 어깨 견장은 10월 혁명 이후 구체제의 산물로 여겨져 배척되었으나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전 계급에 도입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1942~1943년. 또한 칼라를 세우는 M43 군복 역시 1943년에 등장했다.) 저 사진의 주인공이라고 알려진 2604식은 1944년 물건이다(...). 할힌골 전투는 1939년.위의 사진에서 뒤에 포탑만 있는 녀석은 오이의 프로토타입으로 추정되는 2604식. 주포는 쿠마급 경순양함의 14센치 포이다.

설계상으로는 차체 내부에 함선용 12기통 BMW엔진을 집어넣고 다포탑 전차라는 컨셉을 버리는 등 이전의 오이보다는 좀 더 진보적인 설계를 갖췄지만[4] 함선용 엔진이 계속 말썽을 일으켜서 프로토타입의 개발이 지지부진하다가 결국 포탑만 완성, 토치카로 쓰이다가 결국 소련군에게 노획된 것으로 추정된다.

2605식은 일제가 45년도에 기획한 2604 개량형으로, 전체적인 설계는 거의 같지만, 엔진의 크기를 35% 줄임으로써 경량화를 한 모델이다. 환풍기 직경이 95cm까지 달하고 엔진 가동시 큐폴라에서 공기를 흡수해 엔진으로 들어가 팬으로 나가는 구조로 환기가 잘 된다고 한다.[5] 다만 2604과 같이 냉각 팬을 드러내야 엔진수리가 가능해서 수리가 매우 힘들다고 했다.

목업으로는 BMW 엔진 2개 대신에 다임러 벤츠사의 실린더 12개짜리 수냉식 엔진 1개를 탑재한 것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5 루머

5.1 100식 전차 해군 제작설

과거 일본 밀덕계의 영향을 받던 한국 밀덕계는 일본 밀덕계의 영향으로 전차가 해군 제작이라는 설이 널리 퍼졌었다. 일본 밀덕계에서는 해군선옥, 육군악옥과 육군 무능론의 영향으로 유능한 해군이 이 전차를 만들었다면서 이 설이 퍼지게 됐었으며, 과거에는 일본 밀덕계의 영향을 받던 한국 밀덕계에서도 이런 설이 퍼지게 됐었다.

그러나, 오이의 최초 개발을 지시한 인물은 관동군 소속 이와쿠로 히데오 대좌이며 제식명부터 100식 이라는 점. [6] 오이는 육군의 단독 프로젝트에 가깝다고 보는것이 옳다.

애초부터 육군 소속 인물이 육군기술본부에서 개발을 지시하여 육군조병창에서 시제품이 나온 전차가 어떻게 해군 소속일수가 있겠는가?

다만, 해군은 해군 나름대로 해안 방어용 초중전차 내지 중자주포[7]를 설계하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정확히 알려진 내용은 없다. 100식 전차 해군 개발설의 파생으로 추정된다.[8]

6 결론

마우스의 일본군+다포탑 버전.

일본군이 만든 전차들 중에서는 가장 강력한 전차라고 할 수 있지만 장갑의 분포도와 미군의 화력을 비교해보면 화력면에서는 초중전차는 커녕 중전차로써의 역할조차 제대로 수행할 수 있었을는 의문이다, 당연히 무게가 잇는 만큼 중형전차만큼의 기동을 요구할 수도 없다. 게다가 만약 실전배치에 성공했더라도 당시의 물자부족으로 생산부족 또는 기름부족에 시달리다가 소련군에게 고이 노획당했을지도 모른다 또한 시대에 뒤쳐진 다포탑 전차의 모습으로 만든지라 실제 전투능력은 낮았을 것이다. 이런 성능의 전차는 105mm 포를 달고 있다는점만 빼면 2차 대전 초기 프랑스군의 2C나 소련군의 T-35와 성격상 다를 바가 거의 없는 물건이다. 물론 치하치누보다는 나았겠지만, 전투기 한대만 떠도 바로 고철신세를 면키 어려우니 잘해봐야 첫번째 전투에서 발악이나 하다 격파되는 것이 최대한의 활약이었을 것이다.

7 창작물에서의 100식 전차

월드 오브 탱크에서 일본 중전차 트리에 5티어로는 프로토타입으로 오이시제형, 6티어로는 오이, 7티어로는 오니, 8티어로는 오호[9]라는 5티어부터 8티어까지 오이로 우려먹는다(...). 9, 10티어는 오이의 포로토타입인 Type 2604를 기반으로 하였다.

그런데 정작 게임에 구현된 모습은 왕년의 59식을 떠올리게 만드는 사기캐라서 모는 사람들에게는 칭송을, 상대하는 사람들에게는 원성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오이 시제형오이
오니오호
2604식2605식
  1. 참고로 오이 모형은 파인몰드 1/72 제품이 있는데 저 사진이 파인몰드 제품인지는 확인바람.
  2. 이랬는데도 96톤이나 나갔다. 일부 부품이 없는 이유는 자원 부족.
  3. 당시 셔먼의 76mm는 HVAP(텅스텐 탄심 고속 철갑탄) 사용 시 800m 내에서 티거 2의 정면이 관통이 가능한 상태였다. 그 HVAP가 1945년 초에나 간신히 차당 1발씩 보급되서 문제였지.
  4. 정작 차체는 여전히 수직 장갑의 형태를 남김으로써 포탑 아래쪽이 훤히 보이는 구조를 갖추는 바람에 포탑 바로 아래가 치명적인 약점으로 남게 되었다.애초에 차체가 만들어지지조차 않았다
  5. 윗 사진에서 큐폴라에서 공기가 들어가 엔진으로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방탄유리가 아닌 구멍으로 밖을 내다보나?
  6. 육군은 황기 2600년(1940년) 채용된 무기체계를 100식으로 표기한데 반해 ex) 100식 기관단총, 해군은 0식이라는 표기를 사용하였다. ex) 0식 함상 전투기
  7. 중자주포는 아니지만 실제로 해군 소속으로 있었던 12리 자주포가 있다.
  8. 다만, 푹격에 대한 관점이 육군과는 극과 극이라고 할 정도로 달라서 해군에서 따로 중형 이상의 체급을 가진 폭격기를 개발, 배치한 건 사실이다. 물론 그 폭격기가 대함임무를 수행했고 이는 다른 나라에서도 한 일이니 일본만 한 일은 아니다.
  9. 최초 공개 당시에는 O-I 120(오이 120톤)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지만 이후 오호로 이름이 변경됐다. 오호라는 이름은 실제로 쓰인 것이 아니라 구분을 위해 워게이밍에서 붙인 가상의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