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 Save the Queen

1 영국의 (사실상의) 국가 겸 왕실 찬가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또는 "여왕 폐하 만세."

영국의 국가이자 왕실 찬가. 다만 영국에서 성문법으로 국가로 지정한 적은 없다. 영국은 관습법의 나라임을 상기하자.[1] 물론 성문법의 국가라고 다 국가가 법적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지만.

현재 영국 외에도 다른 영연방 왕국(Commonwealth realm)[2]들에서는 왕실과 관련된 상황에서 국가와 더불어 부르는 왕실 찬가로 되어 있다.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등이 별도의 국가를 두고 있으면서 왕실과 관계된 경우 <God Save the Queen>을 제창하는 나라이다. 뉴질랜드의 경우 특이하게 법적으로 <God Defend New Zealand>와 <God Save the Queen>을 공동 국가로 인정하고 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God Defend New Zealand>가 유일한 공식 국가처럼 취급되고, <God Save the Queen>이 왕실과 관계된 경우에만 부르는 왕실 찬가 역할을 하고 있어 캐나다, 호주 등과 상태가 사실상 비슷하다.

그 유래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곡 중 하나로, 심지어 교회음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불(J. Bull, 1563~1628)이라는 초기 바로크 작곡가를 의심하는 전문가도 있으며, 조금 이후의 다른 작곡가 헨리 퍼셀(H. Purcell, 1659~1695) 또한 이 선율을 차용하면서 "하느님, 왕을 지켜주소서" 라고 적어놓기도 했다.

또 다른 썰로는 루이 14세치루 수술을 마친 후 몸조리를 위해 생-시르(Saint-Cyr) 수도원을 방문했는데 이때 수도원의 수녀들이 왕의 쾌유를 기원하며 부른 노래가 바로 <Dieu sauve Le roi(하느님이시여 왕을 구하소서)>였다고 한다. 이때 한 영국인이 이 노래를 듣고 영국으로 돌아가 가사를 번역했는데 이것이 <God save the king>이라고 한다[3]

한편 클래식 필사 악보 위키인 IMSLP에서는 캐리(H.Carey)(1687~1743)로 확인하고 있다. 대체로 연대가 바로크 시대에 걸쳐 있으며, 실제로 선율 자체가 바로크적인 특징이 강한데다 어렵지 않게 지속저음도 뽑아낼 수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아무튼 영국 땅에서 상당한 역사를 지니고 수백 년간 명맥을 이어 왔음에는 틀림없다.

군주의 성별(남자/여자)이 무엇이냐에 따라 국가의 내용이 바뀐다. 현재 영국 국왕은 여자엘리자베스 2세이기 때문에 God save the Queen으로 부르고, 나중에 남성 군주가 등극하면 가사의 Queen과 여성형 대명사(she/her)를 전부 King과 남성형 대명사(he/him/his)로 바꾸고, 제목도 God save the King으로 바꾸어 부른다. 2015년 현재, 영국의 왕위 계승 서열 1위는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왕세자이므로 이 사람이 즉위하면 가사가 다시 바뀔 것이다.

God이 3인칭 단수인데 saves가 아닌 save를 사용하는 것은 이 문장이 화자의 소망이나 가정 등을 나타내는 접속법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God bless you"도 "God blesses you"라고 한다면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다. 현대 영어의 동사 변화에는 접속법을 위한 별도의 동사 변화가 없지만, 서법 체계에는 엄연히 접속법이 있다. 흔히 학교 영어에서 '희망이나 주장을 나타내는 동사 뒤에 오는 종속절은 should 생략'이라고 배우는 구문도 사실 문법적으로는 접속법으로 분석한다. 조동사를 쓴다면 "(May) God save the queen"의 형태로 이해하면 쉬울 듯.

국가의 형식을 띤 기도문이자, 여왕에 대한 찬양가이기도 하기 때문에 또는 여왕 본인은 이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신민들이 여왕을 위해 하느님께 기도하는 노래인데 그걸 여왕 본인이 직접 부르면 군주와 신하를 겸하는 1인 2역이 돼 버리기 때문(...). 생일 축하 노래를 자기 자신한테 안 부르는 것과 비슷하다 타국의 군주들은 자국의 국가를 부른다는 것과 비교하면 미묘하게 재미있는 부분. 물론 다른 나라라 해도 왕실 찬가 성격을 띈 국가를 채택했던 시절, 또는 별도의 왕실 찬가가 따로 있어서 그걸 연주하는 경우에는 아마 영국과 마찬가지로 군주가 그 곡을 부르지 않을 수도 있다. 확인바람

국가 제창하는 영상을 보면 남편 필립 마운트배튼 공(公)도 자녀·손자·손녀들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바치는 국가를 부르지만 여왕 본인만은 근엄하게 입을 굳게 다물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즉 원칙적으로 God Save the King/Queen 제창 시 입을 다무는 사람은 국왕/여왕 본인 뿐. 따라서 공화주의자들이 국가 제창을 거부할 경우 스스로 왕을 참칭하는 것처럼 돼 버리는 역설이 발생한다.

BBC의 플래그십 공중파 채널인 BBC One에서는 1997년경까지는 새벽 방송 종료시에 이 국가를 틀어주었으나, 24시간 방송으로 전환하면서 그런거 없고, 그냥 BBC News 채널로 전환된다.

아래는 영국의 공영방송사 BBC에서 하루의 방송을 마치는 부분의 영상. 우리나라에서 아침 6시에 방송 시작하고 새벽 1~2시에 방송 끝마치면서 애국가를 틀어주는 것과 비슷했다. 1997년부터 24시간 방송을 시작하면서 볼 수 없게 되었다.

다만 위 버전은 잉글랜드[4]스코틀랜드에서만 썼다. BBC 북아일랜드에서는 잉글랜드·스코틀랜드에서보다 음조를 늘어뜨려서 무거운 버전의 <God Save the Queen>을 연주했었다고 한다. 웨일스는 자체 국가인 Hen Wlad Fy Nhadau가 있었기 때문에[5], Hen Wlad Fy Nhadau의 후반부 + God Save the Queen의 전반부를 엮어서 연주했다# .

아래 동영상은 BBC 1 텔레비전 방송(본사 기준)에서 마지막으로 <God Save the Queen>을 연주한 모습 (1997년 11월 8일).


대한민국의 공중파 방송국의 경우 24시간 방송이 시작된 지금도 새벽 방송 시작 전, 아침 방송 시작 전에 애국가를 연주하는 데 반해 BBC는 더 이상 국가를 연주하지 않고 있다. 다만 지금도 여전히 BBC Radio 4에서는 현지 시각 새벽 1시에 영국향 BBC 월드 서비스로 전환될 때 매일 틀어준다.[6]

'국가'치고는 이례적으로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인 좀비U 트레일러에서도 삽입되었는데, 배경이 배경이다 보니 국가와 여왕의 영광을 기도하는 노래와 동시에 좀비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영국의 처참한 모습들이 겹쳐 나와 여운을 남기게 한다.[7]

width=100%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라고?"
"하느님은 내게서 그들(백성 혹은 적들)을 지켜야 할 거다."

근데 저 총은... 말을 정정한다 한 명은 탄창 잡고 있다.(...)

현재의 여왕 폐하를 봐선 하느님이 벌벌 떨 기세(...)

1.1 가사

1.1.1 표준 가사

1절부터 3절까지의 국가.

실제로는 1절과 3절만 부르는 경우가 많다. 2절은 적국 망하라고 저주하는 가사라 여왕을 기리기에 적합한 가사는 아니기 때문. 물론 라 마르세예즈처럼 가사가 호전적인 국가도 없는 건 아니지만 라 마르세예즈는 압제에 굴하지 않는 혁명 정신을 찬미하는 것이라 사정이 다르다.

God Save the King을 부를 때는 아래 가사에서 이탤릭체로 쓰여진 Queen, her, she는 각각 King, him, he로 바꾸고 밑줄her를 his로 바꾸어야 한다.

영어 가사한국어 해석
1절
God save our gracious Queen,
Long live our noble Queen,
God save the Queen!
Send her victorious,
Happy and glorious,
Long to reign over us;
God save the Queen!
하느님, 자비로우신 우리의 여왕을 지켜주시고
고귀한 우리의 여왕께서 만수무강하게 하소서
하느님, 우리의 여왕을 지켜주소서!
그녀에게 승리와
행복과 영광을 주시고
오랫동안 우리를 다스리게 하소서
하느님, 여왕을 지켜주소서!
2절
O Lord our God arise,
Scatter her enemies
And make them fall;
Confound their politics,
Frustrate their knavish tricks,
On Thee our hopes we fix,
God save us all!
오 주님, 저희의 하느님, 일어나셔서
우리 여왕의 적을 흩어버리시고
쓰러지게 하소서
적들의 나라를 혼란케 하시고
그들의 간교한 계략을 좌절케 하소서
오직 당신만을 우리가 믿사오니
하느님, 우리 모두를 지켜주소서!
3절
Thy choicest gifts in store
On her be pleased to pour;
Long may she reign;
May she defend our laws,
And ever give us cause
To sing with heart and voice,
God save the Queen!
주께서 가지신 최고의 선물을
그녀에게 기꺼이 내어주셔서
오랫동안 다스리게 하소서
그녀에게 우리의 법을 수호하게 하시고
항상 우리로 하여금
충심으로 목청 껏 찬양할 수 있게 하소서
하느님, 여왕을 지켜주소서!

참고로 미국인에게는 이렇게 들린다 카더라 [8]

스포츠 대회에서 이 곡을 연주할 때에는 관중들이 1절의 God save the Queen!을 God save our Queen!으로 고쳐 부르는 경향이 있다(영상 관중들이 음치 같아도 그냥 넘어가자). 그리고 랭커셔(Lancashire) 주[9]에서는 종종 1절 가사를 조금 고쳐 Duke(공작)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다(가사. 두 가지 버전이 기재돼 있다). 장미전쟁에서 랭커스터 가의 방계인 헨리 7세가 승리한 뒤로 국왕이 랭커스터 공작(Duke of Lancaster)[10]을 겸하는 걸로 간주된다. 그래서 랭커스터 시를 중심으로 한 랭커셔 주 일대에서는 여왕이 랭커스터 공작을 겸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종종 저렇게 가사를 바꿔 부른다고 한다.

1.1.2 과거에 사용 된 절

원래는 위 3절까지가 전부였고 지금도 이 3절까지가 가장 많이 불리지만, 19세기 들어서 누군가에 의해 3절 분량의 가사가 더 추가되었다. 하지만 이 구절은 반란군 스코틀랜드인들 등의 자극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어서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고, 오늘날에도 진상을 모르는 사람들에 의해 잉글랜드를 까는 소재로 쓰이고 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아래의 구절들은 원래 가사가 아닌 창작이다.

4절
Not in this land alone,
But be God's mercies known,
From shore to shore!
Lord make the nations see,
That men should brothers be,
And form one family,
The wide world over.
이 땅 뿐만 아니라
주의 자비가
이쪽 해변에서 저쪽 해변까지 알려지게 하소서!
주께서 모든 인류로 하여금
서로 형제가 되게 하시고
모두 하나의 가족이 되게 하여
하나의 세계가 되게 하소서
5절
From every latent foe,
From the assassins blow,
God save the Queen!
O'er her thine arm extend,
For Britain's sake defend,
Our mother, prince, and friend,
God save the Queen!
모든 잠재적인 적들로부터
암살자들의 습격으로부터
하느님, 여왕을 지켜주소서!
그녀의 팔이 닿는 곳까지
영국의 이익을 지켜내고
우리 국모와, 왕세자(대공)와, 우리의 벗들을 지키게 하소서
하느님, 우리의 여왕을 지켜주소서!
6절
Lord grant that Marshal Wade
May by thy mighty aid
Victory bring.
May he sedition hush,
And like a torrent rush,
Rebellious Scots to crush.
God save the King!
주께서 국가의 원수로 하여금
당신의 가호로
승리를 가져오도록 허락하소서
성난 파도와도 같은
반란군 스코틀랜드인들을[11]
일격에 잠재우도록 허락하소서
하느님, 우리의 왕을 지켜주소서!

그 밖에도 역사적인 가사들은 여러 종류가 지어졌다. 일일이 다 소개하기엔 너무 많으니 그 가사들은 영문 위키백과의 해당 항목을 참고하도록 하자.

1.1.3 19세기~20세기 초에 지어진 대안 가사

그밖에도 윌리엄 힉슨(William Edward Hickson, 1803~1870)이 1836년에 지은 대안 가사도 있다. 이 가사들은 현재도 가끔 불린다.

1
God bless our native land!
May heaven's protecting hand
Still guard our shore:
May peace her power extend,
Foe be transformed to friend,
And Britain's rights depend
On war no more.
2
O Lord, our monarch bless
With strength and righteousness:
Long may she reign:
Her heart inspire and move
With wisdom from above;
And in a nation's love
Her throne maintain
3
May just and righteous laws
Uphold the public cause,
And bless our isle:
Home of the brave and free,
Thou land of liberty,
We pray that still on thee
Kind heaven may smile.
4
Not in this land alone,
But be God's mercies known
From shore to shore:
Lord make the nations see
That men should brothers be,
And form one family
The wide world over

종종 힉슨의 가사 중 4절이 표준 가사의 1절 다음에 불리는 경우가 있다. 2002년 Queen's Golden Jubilee National Service of Thanksgiving 행사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폐막식에서 차기 개최지 국가로 연주될 때 표준 가사의 1절 + 힉슨의 4절 조합으로 제창되었다(베이징 올림픽 폐막식 영상[12]). 힉슨이 쓴 가사의 4절은 영국을 벗어난 사해동포주의로도 해석될 수 있는 내용이라 올림픽 정신에 부합한다고 판단해 일부러 부른 것일 수도 있다. 정작 런던올림픽에서 이 절을 안 부른 건 함정

한편 1919년 영국 추밀원(Privy Council)에서 승인한 소위 Official Peace Version이라는 대안 가사도 있다. God Save the Queen의 군사주의적인 표현을 지양한 지향이 아니다 가사이다. 하지만 그 이후로 별로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듣보잡이 돼 있다. 영국 국민들 중에 아예 이런 가사가 있었는 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 듯. 해당 가사는 영문 위키백과의 해당 항목을 참고하도록 하자.

1.1.4 캐나다

캐나다의 경우 공용어에 프랑스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절은 프랑스어 버전도 있기는 하다. 근데 잘 안 부른다

Dieu protège la reine
De sa main souveraine!
Vive la reine!
Qu'un règne glorieux
Long et victorieux,
Rende son peuple heureux.
Vive la reine!

캐나다만을 위한 절이 지어져 있기도 하다. 이것도 잘 안 부른다 로버트 머리(Robert Murray, 1832~1909)라는 목사가 지었다고 한다. From shore to shore(해안가에서부터 해안가까지)[13] 같은 가사로 미루어 보아 윌리엄 힉슨의 가사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는 로버트 머리가 살았던 시기인 1867년 대영제국 산하의 자치령(dominion)이 되었기 때문에 이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Our loved Dominion bless
With peace and happiness
From shore to shore;
And let our Empire be
United, loyal, free,
True to herself and Thee
For evermore.

19세기와 달리 Dominion (of Canada)(캐나다 자치령), (British) Empire(대영제국) 같은 표현은 영국에서 많이 탈피하여 이전보다 독자적인 정체성을 강하게 확립한 현대 캐나다에서 잘 안 쓰는 과거의 유산이므로 현대에 불리기에는 무리가 있는 가사라 생각된다. 어차피 캐나다를 상징하는 곡으로는 이미 국가로 지정된 O Canada가 널리 쓰이고 있으니 굳이 위 절을 부를 필요성이 떨어진다.

여담으로, 위의 모든 가사에는 특정한 음율이 잡혀있다. 각 가사의 첫 째줄, 둘 째줄의 맨 끝 어절, 넷 째줄, 다섯 째줄, 여섯 째줄의 끝 어절을 비교 해 보자.

1.2 이 곡의 사용

앞서 설명했듯이 영국 외 영연방 왕국들은 대개 왕실 찬가로서 이 곡을 사용하고 있다.

영국 내에서는 God save the Queen보다는 덜하지만 Rule BritanniaI Vow To Thee My Country 역시 대영제국의 공식행사장에서 자주 불리는 국가상징곡이다. 보통 "준 국가"라고 한다.

영국 구성국들의 경우 이 곡을 국가로 그대로 쓰기도 하고 다른 곡을 국가로 쓰기도 한다. 잉글랜드만을 상징하는 노래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주로 God Save the Queen을 그대로 쓰지만(예를 들면 FIFA 주관 축구 대회), 굳이 필요한 경우 다른 곡을 쓰기도 한다. 최근에는 Jerusalem이란 곡을 잉글랜드만의 국가로 애용하는 편이고(예를 들면 최근의 커먼웰스 게임), 그 밖에도 Land of Hope and Glory를 쓰기도 한다.

잉글랜드 내에서는 지방 찬가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아예 잉글랜드에서 분리되길 바라는 민족주의자들이 많은 콘월(해당 문서 참고)에서는 Trelawny(다른 이름으로는 The Song of the Western Men)라는 곡을 콘월 주 찬가(민족주의자 입장에서는 '국가')로 주로 쓰되, 웨일스 국가 Hen Wlad Fy Nhadau(바로 밑에서 설명함)의 곡에 콘월어 가사를 붙인 Bro Goth Agan Tasow("내 선조들의 옛 땅")를 쓰기도 한다. 그리고 '민족주의'까지는 아니지만 지방색이 강한 요크셔에서는 On Ilkla Moor Baht 'at라는 곡이 지방 찬가로 사용된다(제목과 가사 모두 요크셔 방언 사용).

웨일스의 경우 Hen Wlad Fy Nhadau(웨일스어로 "내 선조들의 옛 땅")라는 곡이 사실상의 국가로 대접 받아 왔기 때문에 웨일스만의 국가를 제창할 때는 반드시 이 곡을 사용한다.[14] 스코틀랜드는 국가로 정해진 곡이 없이 여러 곡이 사용되지만 현재 많은 스포츠 대회에서는 거의 Flower of Scotland를 국가로 사용하고 있다.

북아일랜드는 좀 복잡하다. 북아일랜드는 FIFA 주관 축구대회와 커먼웰스 게임 외에는 독자적인 국가 대표팀이 아예 없는 경우가 많다. 주로 아일랜드 단일팀[15](예: 럭비 유니언 및 럭비 리그나 게일 축구 등 아일랜드 고유 스포츠 종목)의 일부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고, 그런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올림픽처럼 영국 단일팀의 일부로 들어가기 때문이다.[16] 북아일랜드의 국가 대표팀이 있는 FIFA 주관 국제 축구 대회에서는 잉글랜드와 동일하게 God Save the Queen을 그대로 국가로 쓴다. 그래서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가 맞붙을 경우 국가가 동일하기 때문에 경기 전에 한 번만 국가를 연주하며 양 팀 선수와 관중들이 동시에 제창한다.[17] 커먼웰스 게임에서는 Londonderry Air라는 곡(가사 없음)에 Danny Boy라는 가사(Londonderry Air의 음에 맞춰 지은 가사)를 덧붙여서 사용한다#[18]. 북아일랜드 대표팀이 따로 없이 아일랜드 단일팀으로 출전하는 경우 대개 남북한 단일팀처럼 중립적인 깃발[19]과 노래로 국기와 국가를 대신한다. 아일랜드 단일팀의 국가 대용곡으로 최근에는 Ireland's Call이라는 곡을 애용한다. 다만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열리는 럭비 경기에서는 아일랜드 공화국 국가 병사의 노래(아일랜드어: Amhrán na bhFiann / 영어: A Soldier's Song)와 Ireland's Call을 연달아서 부른다고 한다([20]). 국가를 두 개 연주하게 하는 특례 부여. 다만 게일 축구(Gaelic Football) 등 아일랜드 고유 스포츠의 경우 북아일랜드의 친영 주민들이 잘 관여하지 않는 관계로 그냥 강제로 아일랜드 공화국의 삼색기와 아일랜드 공화국의 국가를 그대로 아일랜드 섬 전체의 상징물로 써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북아일랜드가 영국 단일팀의 일부로 끼는 경우는 영국 국기 유니언잭에 God Save the Queen을 사용한다.

아무튼 이런 사정 때문에 스코틀랜드웨일스가 God Save the Queen을 국가로 사용하는 잉글랜드북아일랜드 팀, 아니면 God Save the Queen의 곡에 가사만 바꾼 국가를 쓰는 리히텐슈타인을 상대할 경우 관중들이 야유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민족 감정 때문에 God Save the Queen이 자신들의 국가라고 인식하지 않는 것.

한편 영국과 아일랜드의 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대표팀, 스코틀랜드 대표팀, 웨일스 대표팀, 아일랜드 단일팀)은 4년마다 British and Irish Lions라는 단일팀을 꾸려 다른 나라의 국가 대표팀과 친선 경기를 치르는데, 이 팀은 그 팀의 구성상 부득이 국가가 없다. 2005년에 The Power of Four[21]라는 곡을 만들어 국가 대용으로 썼지만 사람들의 반응이 시원치 않아 흑역사가 되었다. 그래서 억지로 대체곡을 사용하는 뻘짓을 했던 2005년을 제외하고는 British and Irish Lions 투어 때 이 팀과 상대 팀의 국가 자체를 연주하지 않는다.

이 곡의 가사를 바꿔 부르는 예가 많다. 다음은 그 예이다.

2 섹스 피스톨즈의 노래


No future, no future, no future for you.

No future, no future, no future for me.
No future, no future, no future for you.
No future, no future for you!

1977년 발매된 펑크 록 밴드 섹스 피스톨즈의 노래. 정규앨범에도 수록되어 있다. 발매 당시 베이시스트였던 글렌 맷록과 보컬 쟈니 로튼의 갈등이 극에 달했을 시절이었고 결국 로튼이 승리하면서 맷록은 탈퇴한다.

노래가 만들어질때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있는데, 원래 이 곡의 리프는 스티브 존스와 글렌 매틀록이 함께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것을 가만히 듣던 쟈니 로튼이 갑자기 갓 세이브 더 퀸! 파시스트 레짐!하고 뭔가 라임이 맞긴 한데 뜬금없는 가사를 읇기 시작했다. 나머지 멤버들은 뭐...뭐야! 병신같지만 이상해!라면서 벙 쪄있었는데, 결국 쟈니 로튼은 이 가사를 끝까지 고수했고, 이런 위험한 곡을 쓰면 엄마가 싫어하실거다라는 이유로 글렌 메틀록은 끝까지 삐져있었다고 한다.[22] 처음에는 좀 수위를 조절한답시고 No Future라는 제목을 붙였는데, 역시나 좀 더 위험한 곡을 밀고 싶던 쟈니 로튼이 God save the Queen 이라는 제목을 관철시켰다.

가사를 보면 알겠지만 영국 왕실을 비판하는 노래다. 항간에는 여왕이 아니라 영국의 유명 록밴드 퀸을 까는거라고 하지만 누가 믿을거 같아?[23]

이 일로 인해 섹스 피스톨즈 멤버들에 대한 극우파들의 테러가 발생하기에 이른다. 존 라이든과 엔지니어 빌 프라이스, 프로듀서 크리스 토마스는 건물 주차장에서 Queen's gang이라고 하는 정체불명의 괴한들에게 면도칼과 몽둥이로 습격을 당했다. 비슷한 시기에 음반 디자이너 제이미 레이드도 습격을 당했고, 폴 쿡도 지하철에서 습격을 당했다고 한다. 거침없이 여왕을 까는 곡을 발표한 바람에 극우파들에게 공공의 적 수준의 취급을 받은것. 당시 사건을 묘사한 영상 신문기사 게다가 사실 이 시기에는 펑크족들과 테디보이사이의 충돌이 심한 시기였기 때문에, 펑크족들이 테디보이들과 도로에서 시가전을 벌이던 시기였다(...). 폴 쿡은 테디보이들에게 습격당했다. #[24] 아무튼 이로 인해 존 라이든은 손에 칼빵이 생기는 바람에 아직도 약간 손을 쓰는데 불편하다고 한다.

노래를 들으면서 가사를 읽어보자. 참고로 이 노래는 1970년 영국에서 발매된 노래다. 그것도 이 노래가 발매된 1977년은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 25주년 행사가 열리던 시기였다! 당연히 방송 금지 크리를 먹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잠시 소개되기도 했다. 역시 기행의 국가 영국.

너무나도 유명한 곳인 탓에 모터헤드나 앤스랙스같은 거물 급 밴드에서 수많은 인디 밴드까지 이 곡을 커버했다.

관련 포스팅.

3 Queen의 연주곡

1번의 영국 국가를 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가 일렉트릭 기타 연주곡으로 편곡한 곡이다.

라이브에서는 주로 마지막 곡(초기 라이브를 제외하면 We Are the Champions)이 연주된 이후 이 곡이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면서 관객들에게 인사를 하고 무대를 정리한다. "이렇게 하면 앵콜 요청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라는 건 농담이고 퀸 라이브 공연은 본 공연에서 죄다 보여주는 편이라 앵콜 요청이 거의 없는 편. 사실 이 노래로 마무리되지 않는 퀸 공연은 상상하기 어렵다. 86년 웸블리 공연에서는 자기네 콘서트에서 무려 국가 떼창을 받아내는(...) 퀸 멤버들의 모습을 매우 잘 볼 수 있다.

2002년 엘리자베스 2세 즉위 50주년 기념 행사에서 브라이언 메이가 버킹엄 궁전 옥상에서 연주한 바 있다.
오오 그야말로 폭풍간지

4 케빈마스크의 테마곡

케빈마스크의 성우인 오키아유 료타로가 불렀으며 가사에서 아빠 엄마를 애타게 찾는다(...)
테마곡이니 망정이지 이게 입장곡이었으면 경기 나오기 싫었을 듯...

4.1 가사

悪をたくらむ者達よ
아쿠오타쿠라무 모노타치여
악행을 벌이는 자들이여

仲間みたいな顔をするな
나카마미타이나 카오오스루나
동료같은 얼굴을 하지마라

オレはあいつを倒すため
오레와 아이츠오 타오스타메
나는 녀석을 쓰러뜨리기위해

逆のサイドに来てるだけだ
갸쿠노사이도니 키테루다케다
반대편에 왔을 뿐이다.

その手を離せ オレに構うな
소노테오하나세 오레니카마우나
그 손 치워 내게 신경쓰지마

正義を語る者達よ
세이기오카타루모노타치요
정의를 내세우는 자들이여

味方みたいなふりをするな
미카타미타이나 후리오스루나
같은편이라는 착각은 하지마라

オレはこいつを倒すだけ
오레와코이츠오타오스다케
나는 녀석을 쓰러뜨릴뿐

お前達など相手じゃない
오마에타치나도아이테쟈나이
네놈들따위는 상대가 안되지

道を開けろ オレに構うな
미치오아케로 오레니카마우나
저리 꺼져 나한테 상관마라

女王陛下 栄え給え
죠오헤이카사카에타마에
여왕폐하여 영원하소서

ビッグベンの響く胸で
빗구벤노히비쿠무네데
빅벤에 울리는 가슴에

オレは誓った すべて壊すと
오레와치카앗타 스베테코와스토
나는 맹세했다 모든걸 부숴버리겠다고

Come on、ダディー 見ててくれよ ダディー ダディー
컴온 다디 미테테쿠레요 다디 다디
컴온 대디! 나를 봐줘 대디! 대디!!

悪行だとか正義とか
아쿠교다토카세이기토카
악행이라니 정의라느니

親に従うII世達よ
오야니시타가우니세이타치요
부모한테 매달리는 2세들이여

どこのどいつも同じこと
도코노도이츠모오나지코토
이놈이나 저놈이나 똑같군

ずっと甘えて暮らすがいい
즛토아마에테쿠라스가이이
그렇게 응석부리며 있으라구

その手を離せ オレに構うな
소노테오하나세 오레니카마우나
그 손 치워 나한테 상관마라

女王陛下 その名 永久(とわ)に
죠오헤이카 소노나 토와니
여왕폐하 그 이름 영원하소서

ユニオンジャック昇る空に
유니온쟉쿠노 노보루소라니
유니온잭(영국국기)이 펄럭이는 하늘에

オレは刃向かう そして引き裂く
오레와 하무카우 소시테 히키사쿠
나는 반항한다 그리곤 박살낸다

Oh、マミー 泣いているか マミー マミー
오 마미 나이테이루카 마미 마미
오 마미! 울고있어? 마미! 마미!

ダディー 見ててくれよ ダディー ダディー
다디 미테테쿠레요 다디 다디
대디! 나를 봐줘 대디! 대디!
  1. 다만 법적인 국가가 아닐 뿐이지 올림픽과 같은 국제 스포츠 행사나 외교 무대에서는 영국의 국가로 항상 이 곡이 연주되기 때문에 마냥 국가가 아니라고 하기는 어려운 면도 있다.
  2. 영연방(커먼웰스 오브 네이션스) 회원국들 중에 엘리자베스 2세국가원수로도 있는 나라들을 영연방 왕국이라고 부른다. 현재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16개국이 있다.
  3. 출처 : 세계를 뒤흔든 광기의 권력자들. p60
  4. 왕실령인 맨 섬채널 제도는 잉글랜드 소속이 아니지만 BBC의 잉글랜드 지역 방송 커버리지에 들어간다.
  5. 물론 영국 내 다른 구성국도 자체 국가로 쓰는 곡들이 있긴 하다. 하지만 웨일스는 <Hen Wlad Fy Nhadau>가 유일무이한 자체 국가로 취급되는 데 반해, 다른 구성국들은 자체 국가가 통일돼 있지 않고 여러 곡들이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에서는 근래에 <Flower of Scotland>가 자체 국가로 주로 쓰이긴 하지만 이것 외에도 다른 곡을 쓰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BBC는 그냥 웨일스 외에는 자체 국가를 넣는 것을 포기하고 <God Save the Queen>만 연주한 걸로 보인다.
  6. 한국시간으로는 오전 9시
  7. 비슷한 예시로, 크라이시스2 트레일러에서 삽입된 '뉴욕, 뉴욕'이 있다.
  8. 몬데그린의 일종. 물론 웃자고 들리는대로 만든거다. 실제 미국인도 저 정도로 영국 발음을 못 알아듣지는 않는다. 해당 영상의 5:21 쯤에 바로 이어지는 대한민국애국가 부분을 같이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9. 여기서는 현행 행정구역상의 랭커셔 주가 아닌 전통적인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 랭커셔 주를 말함.
  10. 여왕이어도 여성형인 Duchess로 안 쓰고 남성형인 Duke를 쓴다. Duchess는 여공작보다는 공작 부인(남성 공작의 부인)으로 쓰이는 빈도가 압도적이어서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이 공작임을 강조하고자 남성형 Duke를 쓴다.
  11. 이 부분 때문에 현재는 잘 불리지 않는다.
  12. 홍콩의 TVB Jade(高清翡翠台)에서 생중계한 영상을 녹화한 것이다. 참고로 God Save the Queen 제창 후 경기장 장내 방송은 당연히 올림픽의 공용어인 프랑스어, 영어와 개최지 언어인 표준중국어로 나오지만 방송국 측 아나운서가 사용하는 언어는 홍콩의 실질 공용어인 광동어이다.
  13. 참고로 캐나다의 표어(motto)는 이와 비슷한 A Mari Usque Ad Mare(영어로 옮기면 From Sea to Sea, 즉 '바다로부터 바다까지')이다
  14. 위에서 설명한 콘월의 Bro Goth Agan Tasow는 이 곡에 콘월어 가사를 붙인 것이다. 프랑스 브르타뉴의 Bro Gozh ma Zadoù도 이 곡에 브르타뉴어 가사를 붙인 것이고(브르타뉴 문서 참고).
  15. 하나의 독립국인 아일랜드 공화국과, 다른 독립국의 일부 지역인 북아일랜드가 한 팀으로 묶은 경우이다. 다른 나라에는 없는 특이한 케이스.
  16. 다만 북아일랜드의 운동 선수 중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아일랜드 공화국 선수로 뛰는 경우도 있다.
  17. 반면 잉글랜드나 북아일랜드 대표팀이 God Save the King/Queen의 곡에 가사만 바꾼 곡을 국가로 쓰는 리히텐슈타인 대표팀이 맞붙으면, 곡은 같아도 가사가 다르므로 각각 따로 연주한다. 즉 동일한 음조를 가진 곡이 두 번 연주되는 셈.
  18. 북아일랜드 뿐만 아니라 아일랜드인들에게 널리 불리는 곡 중 하나이다.
  19. 예를 들면 아일랜드의 상징인 섐록(Shamrock: 세잎 클로버와 비슷한 식물)을 쓰거나, 전통적인 네 지방(province)의 깃발을 하나로 엮은 것을 쓰는데 종목마다 다르다.
  20. 0분 54초부터. 영상에서 그 전에는 잉글랜드 대표팀의 국가로서 God Save the Queen이 연주된다.
  21. 제목의 Four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단일팀)를 가리킨다.
  22. 물론 그것도 하나의 이유겠지만(...) 진짜 이유는 위에서 말했던 알력 싸움. 사실 초기 곡들은 대부분 글렌이 썼음에도 불구하고 원채 밴드에서 주목 받는게 보컬이다 보니... 결국 쟈니 로튼이 힘싸움에서 승리하면서 이후 전권은 로튼에게 넘어간다.
  23. 뭐 두 밴드의 관계 (시드 비셔스랑 프레디 머큐리는 서로 사이가 나빴다고 한다.) 를 생각하면 전혀 설득력이 없는 이야기도 아니다.
  24. 이 시기의 펑크족 vs 테디보이 항쟁은 심각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한국 신문에도 보도된 적이 있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