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
전차 | 경전차 | M2, M3/M5 스튜어트, M22 로커스트, M24 채피 |
중형전차 | M2, M3 리/그랜트, M4 셔먼 |
중전차 | M6, M26 퍼싱 |
장갑차 | 장륜 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 M3 스카웃 카, M6 스태그하운드, T18 보어하운드 |
반궤도 장갑차 |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16 미트쵸퍼 |
상륙장갑차 | LVT |
대전차 자주포 | M10 울버린, M18 헬캣, M36 잭슨 |
차량 | 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
자주포 | M7 프리스트, M12 GMC, M40/M43 |
프로토타입 | T1, T1 경전차, T2, T7, T7 / M7,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71, T92, M38 울프하운드 |
한국전의 국군 및 유엔군 기갑차량 |
전차 | 경전차 | M24 채피, M41 워커 불독 |
중형전차 | M4A3E8 셔먼, A27M 크롬웰, 센추리온 Mk.3, M26 퍼싱, M46 패튼 |
중전차 | A22 처칠 크로커다일 |
장갑차 | 장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 |
반궤도 장갑차 | M3A2 하프트랙 |
궤도 장갑차 | M39, M44, M75, 유니버셜 캐리어 Mk.I/II |
상륙장갑차 | LVT-3 |
대전차 자주포 | M36 잭슨, M10 아킬레스 |
자주포 | M7B1/B2 프리스트, M37 HMC, M40 GMC, M41 HMC |
차량 | 윌리스 MB, 닷지 M37, CCKW |
1 개요
M19 대공전차는 2차대전 중 M24 채피 경전차의 차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두 정의 보포스 40mm 포로 무장하고 있었다. 1944년 말, 캐딜락사에 의해 생산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2차대전 말에 투입된 M19와 M19A1은 유럽의 서부전선에서 이미 연합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후여서 보병 지원 용도로 쓰였다. 사실 이런 경우는 제법 되는데 체첸 내전에서 시가전에 러시아군이 자주대공포를 투입한 것을 생각해보자.
이후에는 한국전쟁에서도 쓰이게 된다.
2 실전
2차대전 말에 투입된 M19와 M19A1은 유럽의 서부전선에서 이미 연합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후여서 보병 지원 용도로 쓰였다(...). 후에 한국전쟁에서도 쓰이게 된다.
3 기타
워썬더에서 미국 지상차량 4랭크 BR5.0 자주대공포로 등장한다. 기동성은 채피보다 느릿하지만 경전차 차체이기에 빠른편이다. 생존성은 영 안좋다. 화력은 화끈하기에 맞추기만 하면 대부분의 전투기를 두세발만에 보낼수있다. 대전차전으로 쓰기에는 해당 랭크의 전차들에 비해 관통력이 부족해서 무리이다. 어쩔수없는 상황이라면 측후면을 노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