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다케에서 넘어옴)
역대 일본 총리
17대18대19대
오쿠마 시게노부데라우치 마사타케하라 타카시
역대 조선 통감
2대3대(총독부 승계)
소네 아라스케데라우치 마사타케
역대 조선 총독
(통감부 승계)초대2대
데라우치 마사타케하세가와 요시미치
※ 통감 임기 시작일은 5월 30일이었으나 한일 합병조약문을 소지한 상태로 7월 23일에야 인천항에 왔다. 사실상 한일 합병조약을 하러 부임한 셈.
※ 합병조약 체결이후 총독 부임까지 시간이 걸렸다. 총독 부임 하루 전날 이재명 의사를 사형시켰다.

souri18.jpg

총리대신 취임 뒤 사진(왼쪽). 초상화로 색을 알 수 있다(오른쪽)


寺内(てらうち) 正毅(まさたけ)
1852년 2월 24일 ~ 1919년 11월 3일

총리 재임 : 1916년 10월 9일[1] ~ 1918년 9월 29일

1 육군대장이 되기까지 행보

1852년 일본 야마구치[2][3] [4] 일본 사무라이 가문의 3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初名)은 우타다 마사다케(宇多田正毅)[5]였으나 외가에 양자(養子)로 입문하면서 어머니의 성씨인 데라우치(寺內)로 바꿨다.

1868년 메이지유신일본군 육군부에 입대하여 육군 장교가 되었고, 1877년 사이고 다카모리가 일으킨 세이난 전쟁 때 참전하였으나 다바루자카(田原坂) 전투에서 오른팔이 칼에 잘려 나가서 야전보다는 후방에서 보직을 맡았다.

1898년 일본 육군 교육총감과 육군대학 총장을 역임하였고 1901년 가쓰라 다로 내각하에서 육군대신에 올라 조선총독으로 임명받을 때까지 조선총독을 겸임하여 10년간 육군대신 역할을 맡았다.

1904년 러일전쟁일본의 승전에 따라 육군대장으로 진급했고, 철도회사인 남만주철도회사(만철) 위원을 맡았다.

2 조선에서의 만행

헌병 경찰 통치로 조선인을 억압했다.

1910년 7월 2대 조선통감이었던 소네 아라스케[6]가 물러나면서[7], 메이지 덴노의 임명으로 한양으로 입성하여 3대 조선통감에 부임하였다.

한일병합 착수를 위해 동년 8월 16일 매국노 이완용과 농상공대신[8] 조중응 등 친일파 대신을 통감관저로 비밀리에 불러들여 병합조약을 밀의(密議)하고 22일 이완용을 내세워 순종 앞에서 형식상의 어전회의를 거치게 한 뒤 비밀리에 총독관저에서 이완용과 양자간 첫 한일병합에 관한 조인식을 가졌다. 이레 뒤 황제의 도장을 강탈한 끝에 병합 조약을 29일 공식 발표하였다.

이렇게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경술국치)을 하면서 메이지 덴노에게 총독직을 임명받아 일본 육군대신을 겸직하여 초대 조선총독으로 격상 부임하여 조선을 지배하였다.

총독을 하기 직전부터 자신의 통치를 반기지 않거나 반항하는 조선인들을 억압하러 부임 초기부터 무단통치 및 헌병의 경찰 직무통치를 실시하였다. '조선주차헌병조례'(1910년 9월 12일자)'를 발표하여 일본 헌병을 증원하고 경찰 업무를 맡도록 조치했다. 일본 헌병대에서 장교 30명, 하사 600명, 헌병 3,000여 명을 충원받아 각 지역에 헌병대 분견소를 세우고 조선을 총칼로 억눌렀다.

조선인은 일본통치에 복종하든지 죽든지 하나를 택해야 한다. (총독 취임사)

총독이 된 그는 조선일본의 속령지역으로 지정하면서 '집회취체령'을 공포하여 모든 사회단체를 해산[9]시켰으며, 1911년에는 105인 사건을 일으켰다. 또, 조선의 애국가 등을 불온선동 금지곡으로 지정하였고 교육상에서 조선인들의 황국신민화를 위해 친일(親日) 성향의 학교를 세웠다.

토지사업에서도 그는 조선 농민들의 농토(農土)의 상당수를 총독부 사유지로 지정하여 침탈하였고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친일파, 매국노들에게 이를 매각하여 넘기기도 하였다. 이 탓에 조선의 지주와 농민들은 말할 수 없는 고통은 물론 빚더미까지 안았고, 농토를 강제로 빼앗겨서 농사도 못 짓는 수난을 겪어야만 했다.[10] 또한 조선회사령을 실시하여 "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회사들을 등록제가 아닌 허가제로 운영하였다.[11]

또한 식민 통치의 효율화를 위해 부군면 통폐합을 했다.

3 내각수상 시절

1916년에 그는 일본 정부에서 내각수상으로 임명을 받아 6년간의 조선총독직에서 사임하고 일본 도쿄로 건너가 일본 내각수상으로 취임했다. 조선총독 → 총리로 승진한 첫 사례. 여기에 원수로 승진하고 대장성대신과 외무성대신까지 겸임했으니 말 그대로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

전임 오쿠마 시게노부가 하던 제1차 세계대전을 이어받은 전시내각으로서 독일과 전쟁을 이었고, 총리 재직 중에도 조선과 대만, 특히 조선의 식민지화에 박차를 가했다. 하세가와야 그의 부하였을 뿐이니(...)

1917년 레닌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이 공산혁명에 반대하는 세력을 지원하러 적백내전기간 시베리아에 군대를 보내 침략하는데, 이것이 '시베리아 출병'으로 제출 당시 중의원이 발칵 뒤집혔다. 나중에 후임인 하라 타카시가 이어받아 원만하게 매듭지었다.

1916년부터 이런 군인스러운 막장체제를 2년 동안 줄곧 유지한 바람에 1918년에 이르러서는 전쟁으로 인플레가 나타나 경제개판이었으며, 식량분배에 차질이 나자 결국 그 유명한 '쌀 폭동'으로 이어졌다. 이걸 해결하러 애꿎은 대만과 조선의 농부들만 계속 쥐어짰지만 끝내 사표. 사임하고 1년 뒤인 1919년에 사망. 향년 67세. 사이토 마코토도 그렇고, 왜 조선 총독 출신 총리의 팔자는 나쁘냐? [12]

1919년에 진행된 조선총독부 관제개혁 중에는 데라우치는 관제 개혁을 훼방놓을 것이 뻔하다고 당시 실무자들에게 왕따를 당했다. 당시 실무자인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 총리대신 하라 타카시 등이 이미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등에 업고 있었던지라...

총리 재임 중 별명빌리켄 총리. 빌리켄 인형과 비슷해서 붙은 별명인데, 잘 발음하면 비입헌(非立憲)일어 발음과 비슷하다고. 이런 별명이 붙었다니 같은 일본인도 싫어했던 모양.

4 이야깃거리

조선에게도 매우 짜증나는 대상이었지만, 평소 성격조차 엄격하며 강경했는지라 같은 일본인 부하들에게도 꽤나 피곤한 상사였다. 일례로 부하가 올린 결재(決裁)문서를 검토할 때 그가 펜으로 고친 곳이 많았다고 한다. 또한 피곤한 상사답게 자신의 부임지와 관련해 생산한 물건은 반드시 썼다고. 조선총독 시절 품질에 관련 없이 한반도에서 만든 물건이나 재배한 작물들은 꼭 식탁에 올리거나 쓰거나 했다고 하니 일 중독자 맞는 듯.

또한 첫 총독으로 부임하면서 고종과 순종에게 아첨을 하기 위해 자신이 타고 다닐 차와 조선 왕실용으로 새로 어차를 들여왔는데[13] 고종과 순종과 왕실을 위한 어차로는 캐딜락다임러[14]오버랜드[15]를 들여왔고 데라우치 자신은 위슬리[16] 차를 타고 다녔다. 그외 데라우치를 도와 매국에 앞장선 이완용송병준을 포함한 고관대작들도 뷰익이나 포드쉐보레 등등의 차를 타고 다녔다고 한다.[17] 기록 사진으로 당시 고관들이 탔던 고급 자동차들이 덕수궁 석조전 앞에 세워진 장면들도 있었을 정도다.

취미로 칼과 불상의 수집을 즐겼다. 심지어 한반도에서 불상과 석탑의 유출을 막는 조치를 폈다고 한다. 석굴암부실공사+가라공사만 안했으면 꽤 호평해줄만 했는데 말이지....[18]

이 작자가 대만과 조선 등지에서 약탈수집한 서적들은 현재, 데라우치 문고라는 이름으로 현립 야마구치 여대에 있다. 1996년 1월 24일 경남대학교로 데라우치 문고가 반환(정확히는 양도)되었다. 물론 일부일 뿐(98종 135책). 이것도 경남대학교와 야마구치 여대가 자매결연을 맺고 학술교류를 하면서 노력한 결과라고 한다. 데라우치 문고는 실체파악도 제대로 못할정도로 양이 어마어마하고 밝혀진 것만 18,000여권 정도라고한다.(...)

기자를 싫어한 역대 일본 총리 3인 중 한 사람이다.(데라우치 마사타케, 가토 다카아키, 사토 에이사쿠)

장남은 데라우치 히사이치태평양 전쟁 중 남방총군 총사령관. .
  1. 별 뜻이 없지만 6일간 총리와 총독을 겸직했다.
  2. 야마구치 현과 가고시마 현은 전통적인 보수성향 지역으로 유명하다. 여기서 말하는 보수는 지금 현재의 기준으로 보수우익 성향이라는 말이다.
  3. 하지만 당시 기준으로 보면 의미가 달라지는데, 막부를 타도하고 메이지 유신을 주도한 것이 사츠마번(가고시마)와 조슈 번(야마구치)...당시로서는 지금과 반대의 의미를 가졌다는 뜻.
  4.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육군조슈 번 출신이 독점하고, 일본 해군사쓰마 번 출신들이 독차지했다. 데라우치도 조슈 번 출신의 육군파벌이다
  5. 일본의 유명가수 우타다 히카루의 그 우타다(宇多田) 맞다. 우타다라는 성씨조슈 번 하급무사 가문에서 유래하여 현재 일본에 100명 정도만 있는 희귀한 성씨이다. 우타다 성씨끼리는 다들 먼 친척관계이지만, 우타다 히카루와 데라우치 가문과는 성씨 외의 연관성은 전혀 없다.
  6.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보좌한 부통감. (1849 ~ 1910)
  7. 물러난 지 4달 만인 9월 13일에 죽어서 지병 사임설도 있고 경질이 죽음을 불렀다는 설도 있다.
  8. 지금의 농림수산식품부 및 지식경제부 장관직.
  9. 친일단체인 일진회도 싸잡아 해산시켰다.(...)
  10. 식민지 근대화론 학자들에 따르면 총독부가 사유화한 토지는 전체 토지의 2.6%에 불과했고 그나마도 조선의 소작농들에게 값싸게 매각하거나 불하했다고 하는데, 사실은 3%의 일본인 지주가 전체 농지의 50% 가량을 소유하는 전형적인 식민지식 착취형 지주제로 완성되었으며 조선인들에게 도로 매각하거나 불하하는 등의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11. 헌데 이것은 한참 뒤 등록제로 바뀌는데 일본 내지의 회사들이 "조선회사령 때문에 조선 진출이 힘들다."는 까닭이었다고.
  12. 여담으로 이 해에 바로 3.1 운동이 일어났다. 자신이 무자비하게 찍어눌렀던 조선의 민중들이 어떻게 들고 일어나는지를 보고 지옥으로 가버린 것이다.
  13. 이 때의 어차가 한국 최초의 어차는 아니다. 이미 몇년 전 고종의 칭경예식을 위해 시범 용도로 왕실에 들여온 포드 A형 차량이 최초였는데 생긴게 지금과 많이 다르기도 하고 초기의 자동차인지라 진동이나 소음이 심해 고종도 당시엔 한두번만 타고 그만두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프랑스 영사관에서 쓰던 르노 자동차를 왕실에서 들여 운행하기도 했다.
  14. 현행 재규어의 고급브랜드. 2000년대 동그란 눈의 재규어 XJ때만 해도 8기통 모델 중 다임러라는 최고급 에디션이 남아있었다. 당시엔 벤츠 S600 급은 되는 최고급 차량이었다고.
  15. 현행 크라이슬러에게 인수된 브랜드. 크라이슬러 지프 그랜드 체로키의 고급 스페셜 버전 중 하나도 이름이 오버랜드다.
  16. Wolseley. 현재는 망한 영국 브랜드
  17. 포드나 쉐보레 등은 현재는 그냥 그저 그런 수입차/국내 생산 차량이지만, 이 당시 자동차가 귀할 시절에는 이마저도 조선 국민들에겐 그림의 떡이요 고급품이었다.
  18. 부실공사가 맞기는 했지만 당시 석굴암은 지진으로 폐허가 되어 있는 상태였고, 팔부신중 복원을 엉터리로 해 놓은 건 데라우치가 아니고 장면과 박정희다. 다만 석재들을 마구잡이로 뜯어다가 제대로 쓰지도 않고 널어놓고는 제대로 기록도 안 남겨놓은 건 일제 놈들 짓이 맞다. 매장문화재는 제대로 보존 복원할 자신이 없으면 그냥 땅속에 두는 게 제일이다. 공산화된 중국에서도 발굴조사 후 다시 묻어둔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