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비판/민주주의 후퇴

이 문서를 작성하실 때 사실에 대한 출처를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서술 시 출처를 밝히기로 합의되었습니다. 근거 없는 독자연구나 유언비어 등은 토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전 · 현직 정치인을 다루고 있습니다.
박근혜 관련 문서
박근혜정부 · 역사관 · 개인처신 문제 · 어록 · 화법 · 별명 · 자택
정책
초이노믹스 · 노동개혁 · 임금피크제 · 국정화 교과서 · 창조경제 ·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 행복주택 · 뉴스테이 · 테러방지법 · 위안부 합의 ·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평가비판
평가(경제 · 외교 · 대통령 이전) · 지지율정책 분야 · 민주주의 후퇴 · 자질 · 사이비 종교 논란 · 이명박근혜
사건 · 사고
박근혜 피습 사건박근혜 5촌 살인사건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박근혜 편지 사태
기타
최태민 일가 · 친박 · 박사모 · 문고리 3인방 · 살려야한다 · 그러니까 제가 대통령 하겠다는 거 아니겠어요 · 대통령직을 사퇴합니다 · 내가 이러려고 대통령을 했나 · 길라임 · 신뢰의 리더십 박근혜 · 박근혜는 할 수 있다! · 저는 18년입니다

1 정당성 논란

1.1 관권선거와 대선 개표 조작 의혹

2013년 정국을 뒤흔든 국정원 등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사건과 관련, 대통령에 당선된 박근혜가 국정원의 여론조작을 인지하고 있었느냐는 논란과 더불어 일련의 과정에 아예 개입돼 있지 않느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또한, 관련 여부와 별개로 경검의 수사 결과 선거 과정에 보훈처 산하 재향군인회와 국군사이버사령부, 국정원 심리전단 등 국가기관이 동원됐다는 불법성이 드러나면서 부정선거의 수혜자가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 전자의 경우 12월 16일 대선토론회 당일 박근혜, 새누리당 선대위원장(김무성)의 발언과 경찰 중간수사 결과가 일치했다는 점 때문에 가능성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확실한 물적 증거가 없다. 반면 후자의 경우 박 대통령 본인이 부정선거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서, 박 대통령은 아직까지 확실한 입장 표명을 하지는 않았지만, 한두 차례의 담화를 통해 자신은 국정원에서 아무 도움도 받지 않았고 아무 관련도 없다는 발언을 해서 마치 자신이 대통령에 당선된 것과 국가정보원이 행한 불법 선거전은 아무 관련이 없다는 듯한 말로 비판받았다. # 또, 토론회에서 국정원 심리전단에서 일하면서 민주당이 가해자, 국정원 여직원이 피해자라는 발언을 하면서 선거에 개입한 김하영(국정원 여직원)을 두둔하기도 해 비판을 샀다. 그리고 이후 대선 불법개입에 더해 간첩 조작사건까지 일으키자 대국민담화에서 국정원 개혁을 약속했다.

2012년 대선 선거운동 기간 관련, 새누리당과 연계하여 운영된 불법 여론조작 SNS 그룹 '십알단'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박근혜 본인이 2012년 9월 17일 30명을 동원, 3백만명에게 노출시켜 여론 형성을 해간다는 SNS 여론 조작 보고를 받은 사실이 공개되었다. 결국 십알단을 주도한 윤정훈 목사는 대법원에서 집행 유예로 유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를 통해 국정의 최고 책임자에 당선되었음에도, 정부기관의 선거 개입은 본인의 대통령 당선과 아무 관계가 없다는 식의 부적절한 해명으로 의혹을 증폭시켰으며, 불법으로 선거에 개입한 국정원 직원들의 검찰 기소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프로야구 시구를 시범하는 등의 행보로 지탄을 받았다.

2015년 10월 13일,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당시 국회의원이 제337회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2015년 4월 17일에 있었던 기자회견의 내용보다도 더 구체적이고 많은 증거자료와 함께 개표 조작 의혹을 다시 한 번 제기하였다. (영상 7분경부터 본격 시작.) 해당영상에서 제시한 증거를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아래의 내용은 모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발표한 자료에서 나온 내용들이다.
(1) 투표소에서 투표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개표가 된 지역이 있다.[1]
(2) 투표함이 아직 투표소에 있는데도 개표가 된 지역이 있다.[2]
(3) 투표함이 개표소로 이송 중인 시간에 개표가 된 지역이 있다.[3]
(4) 선거관리위원장이 개표결과를 공표하기 전에 TV개표방송이 진행된 지역이 있다.[4]
(5) 개표를 시작하기도 전에 언론사에 최종개표결과가 제공된 곳이 있다.[5]
(6) 투표 참여자 수보다 득표수가 더 많은 지역이 있다.[6]

이상의 내용을 황교안 국무총리 앞에서 발표하였다. 국무총리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강동원 의원이 선관위의 자료를 잘못 읽은 것이다."며 반발하였지만, 개표 부정이 정말로 있었는지, 표기가 잘못된 것인지 철저하게 재조사하겠다는 언급은 끝까지 하지 않았다. 국회 본회의에서, 상대 의원이 선거를 주관하는 국가기관의 공식 근거 자료를 가지고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서, 눈 감고 귀 닫고 부정하기만 하며[7], 개표조작 의혹을 씻기 위해 사실관계를 조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지 않은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내 머릿속에선 있을수 없는 일이다.

1.2 불법대선자금 수뢰 의혹

성완종 전 새누리당 의원이자 경남기업 회장이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후보 대회 및 2012년 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의 측근 및 박근혜정부의 전현직 실세들에게 불법적인 정치자금을 건네줬다고 폭로한 사건. 이완구 전 국무총리와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그 혐의가 인정돼 사법처리를 받으면서 위의 부정선거 논란과 관련, 박근혜정부의 정통성에 오점을 남겼다.

2 역사왜곡

박근혜/역사관 문서 참조.

3 언론통제

2002년 ~ 2016년 국경없는기자회의 대한민국의 언론자유지수 평가
정부연도언론 억압 수치등수비교
국민의 정부2002년10.5039위-
참여정부2003년9.1749위[8]-1.33↓10위
2004년11.1348위+1.96↑1위
2005년7.5034위-3.63↑14위
2006년7.7531위+0.25↑3위
2007년12.1339위+4.38↓8위
이명박 정부2008년9.0047위-3.13↓8위
2009년15.6769위[9]+6.67↓22위
2010년13.3342위-2.34↑27위
2011년
2012년
12.6744위-0.66↓2위
박근혜정부2013년24.4850위+11.81↓6위
2014년25.6657위+1.18↓7위
2015년26.5560위+0.89↓3위
2016년28.5870위[10]+2.03↓10위
참여정부 평균9.5440.2위
이명박 정부 평균12.6750.5위
박근혜정부 평균26.3259.25위

0,,18250157_403,00.gif

2015년 국경없는기자회 언론자유지도에서 분명히 문제가 있는 상황으로 분류돼 있다.
프리덤 하우스 평가에서 대한민국 언론자유지수가 68위로 떨어지자 기자회견을 연 새정연(2014년)[11]

MB정부부터 언론 통제가 강세라서, 국제 언론 지수도 자꾸 떨어진다. 더욱 전문적인 용어는 공안통치다. 2015년 프리덤 하우스한국을 부분적 언론자유국으로 분류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한 대한민국 사회에서 언론자유에 대한 위협이 계속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일선 기자들에 대한 정부의 국가보안법 남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12]고 평가하였다.

2016년 국경없는기자회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화를 참지 못한다면서(Irascible presidency),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한 대한민국에서 정부 당국과 언론의 사이가 매우 경직돼 있다. 박근혜정부는 정권에 대한 비판을 점점 더 용납하지 않고 있으며, 이미 양극화된 언론에 대한 간섭으로 언론 독립성을 위협하고 있다. 최대 7년의 징역을 선고할 수 있는 명예훼손죄가 언론 자기검열의 주된 이유이며, 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공공 토론은 국가보안법의 방해를 받고 있다. 또한, 북한에 호의적인 기사나 방송이 보도될 경우 구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것 또한 온라인 검열의 주요 원인이다"[13]라고 평가하였다.

공영방송의 보도지침이 부활하였고, 정보통신에 관한 심의규정 개정에서 10조 2항 '명예훼손 등 타인의 권리 침해와 관련된 정보는 당사자 또는 그 대리인이 심의를 신청해야 심의를 개시한다' 라는 규정을 삭제하겠다고 하였다. 만일 저대로 굴러가면, 박근혜 정부와 반대되는 내용이 인터넷에 보이는족족, 제3자의 요청이나, 방심위 내부판단에 따라 삭제가 가능하다. 정보통신에 관한 심의규정 문서 참조. 국경없는기자회와 보수 성향 국제인권감시단체 프리덤하우스는 2013년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2014년 세월호 관련 보도규제[14], 통합진보당 해산사건, 주요 언론사의 친정부성향과 대기업 자본, 정권과의 유착관계 등을 이유로 들어 2015년 박근혜 정부 집권기의 대한민국 언론자유도를 분명히 문제 있음, 부분적으로 언론자유가 있는 국가로 분류하였다.

"지금은 뭉쳐가지고 정부가 이를 극복해 나가야지, 공영방송까지 전부 이렇게 짓밟아가지고..."

"하필이면 또 세상에 (대통령님이) KBS를 봤네. 아이고 한번만 도와주시오"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해경의 대응을 비판하는 보도내용을 수정할 것을 요구한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

"윗사람 하고 다 내가 말은 안 꺼내지만 다 관계가 있어요. '어이 국장, 걔 안 돼' 해? 안 해? '야 김부장 걔 안돼' "

"지가 어떻게 죽는지도 몰라요, 어떻게 죽는지도 몰라."

2015년 KBS 특집 프로그램으로 이승만-박정희 정권 때의 친일파와 간첩조작 사건을 주도한 인물들의 훈장 서훈을 다룬 <친일과 훈장>, <간첩과 훈장> 방영이 보류되는 등 공영방송 인사권을 가진 대통령 권한 특성상 이런 현상은 상당히 우려할 만하다. 더불어서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의 포털 심사, 대통령 직속기관인 방심위/방통위의 정보통신 심의규정 등 언론통제정책이 잇따라 발의되고 있다. 반면 국제사면위원회와 국제노동기구(ILO)는 각각 세월호 시위진압2013년 전교조 법외노조화에 대해서 우려를 표했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노동개혁 등 주요 정치현안에 대해서 박근혜 정부의 친정부 인사의 언론사 요직 배치와 광고를 통한 압박이 계속되고 있으며 주요 기자회견에서 주요 언론사 기자(방송3사, 종편)들과 정부관계자들이 짜고 치는 문답을 하는 등 언론편향성이 강하게 지적받고 있다. 침몰한 공영방송, 원인은 지배구조 특히, 2016년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와 관련해 대놓고 더민주를 비방하는 기사를 내보내서 지탄을 받았다. # #2

군사정권 시절 정권의 나팔수로서 친정권, 보수편향성이 다분했던 언론상황이 박근혜정부 시절 재현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가운데, 국정홍보채널 KTV와 KBS, MBC 등의 공영방송의 보도논조가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여당의 일방적인 입장만 대변할 뿐, 정책에 대한 비판은 찾아볼 수가 없다는 것이다. 당장 종편에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폭동이라 주장한 시기가 박근혜정부 때다. 결국 대한민국은 2016년 국경없는기자회의 언론자유도 평가에서 10계단 떨어진 70위를 기록했다.

파일:/image/001/2016/04/20/AKR20160420125000009 02 i 99 20160420151710.jpg

10월 12일에는 청와대에서 문화예술계에서 검열해야 할 9,473명의 블랙리스트문체관광부에 내려진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로 시행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송강호를 비롯한 일부는 외압설까지 돌았다. 이제는 연관이 있을거 같다는 예상도 나올 처지다. 예술인 목록

4 유력 외신들의 거센 비판

박근혜 대통령 집권 1년차에 파장을 일으킨 국가정보원, 국군사이버사령부 여론조작 사건, 2년차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에 대한 후속대응, 집권 3년차 추진한 역사교과서 국정화 사태성완종 리스트, 언론통제 등 일련의 한국 정치상황에 대해서 미국 유력 일간지인 뉴욕 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 등 각국 외신으로부터 전례없는 수위로 비판을 받아왔다. 외신들의 한국 정권 비판 보도가 인혁당 사건으로 세계적 지탄을 받은 박정희 정부와 5.18 민주화 운동을 탄압합 전두환 이후 제6공화국에 들어서는 최고조를 이루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에 한국정부가 대사관, 영사관을 통한 압력을 넣으면서 부정적 반응만 양산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보도한 독일언론에 항의 전화 민중총궐기 시위 보도한 더 네이션 관련, 뉴욕 총영사관에 항의 전화 중앙일보 특집, 외신도 검열 Really? 그 중 가장 대표적 사례는 세월호 7시간 의혹을 제기한 조선일보의 기사를 근거로 박 대통령을 비판하는 기사를 실었다가 한국 법정에 서게 된 산케이 신문 지국장일 것이다.

영국 BBC의 경우, 박 대통령이 국정원 부정선거가 논란이 된 이후 해외 순방을 시작한 시기에 '남한 대통령 박근혜의 프로필'이란 특집기사를 실어 부정선거 논란을 보도한 바에 이어 국정교과서 사태가 벌어지자 "한국 정부가 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역사 교과서를 통제하겠다는, 논란 많은 계획을 발표했다", "이 움직임은 야당과 학계에서 맹렬한 비판을 불러 일으켜 왔다", "올바른 역사교과서’라고 불릴 새 교과서는 정부가 지목한 역사 교사들과 역사학자들에 의해 집필될 것", "야당 정치인들과 일부 학자들은 정부가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이에 반대해왔다"라는 서울발 기사를 실었다.

제18대 대선을 앞두고 주류 외신들은 일제히 독재자/군부통치차의 딸이란 표현을 사용하며 박 대통령 관련 보도를 작성했는데, 그중 로스 앤젤레스 타임즈는 박 대통령을 strongman, 사실상 독재자란 표현을 사용하며 비판하는 바람에 새누리당과 現 더민주 간의 설전으로 번졌다.

네덜란드 언론 특파원의 경우 문재인 후보에 비해 박 후보는 제한된 질문만을 받는다고 불평했으며, "아무 영혼없는 연설을 듣고 있다.", "박근혜가 만드는 새 대한민국이 참 기대된다"라는 격앙된 표현을 사용했다. #

뉴욕 타임즈의 경우, 2012년 대선을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을 '독재자의 딸'이라 지칭하면서 우려를 표하면서도 '청결한 이미지' 등 긍정적인 뉘앙스를 실었지만, 2015년에 이르러서는 '한국 정부, 비판자들을 겨냥하다'는 제목의 사설을 실으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적 자유를 퇴행시키려고 골몰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우려스럽다.", "박 대통령은 또한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에서의 비판이나 반대의견을 통제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민주주의적 자유가 산업화에 방해물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던 시기에 대해 미화된 버전을 가르치게 하려고 한다. 이러한 동기 중의 일부는 그의 아버지에 대한 이미지를 복원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라는 강도 높은 표현을 사용했는데, NYT가 일국의 국가원수, 특히 민주국가의 대통령을 이런 식으로 비판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사설 원문보기 해석 전문 국정교과서 사태와 관련해서는 일본의 우경화를 추진하는 아베 총리와 박 대통령을 동일선상에 놓고 평가하면서 아베와 박근혜가 자신들과 관련된 부끄러운 과거사를 감추고자 교과서에 압력을 넣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박 대통령에 대해서는 친일파와 독재정권 시절을 언급하는 것을 꺼린다며 "오늘날 정권의 대다수의 전문직과 고위 공무원들이 조선총독부와 협조했던 집안 출신"이라는 평을 내렸다.

'독재자의 딸''한국 정부, 비판자들을 겨냥하다'

12월 민중총궐기 이후 미국 주간지 더 네이션의 팀 쇼락 기자는 독재자의 딸이 한국의 노동자들을 탄압하다란 제목의 기사를 실었는데, 직후 뉴욕 총영사관에 항의 전화가 들어오면서 곤혹을 빚었다. 더 네이션은 박 대통령이 시위대들의 마스크 착용을 금지해야 한다며 IS를 예로 들며 테러리스트들과 동일시했다고 전하며 지난 10월 박근혜의 미국 방문 시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지원에 있어 미국은 “결코 망설이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한 점을 언급했고, 박정희에 이어 유혈쿠데타로 등장한 전두환이 광주 민주화 항쟁을 <미국의 도움으로 진압한 후>라고 지적해 현재 미국 오바마 미 대통령의 박근혜에 대한 지지가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특히 우파적이고 보수적 성향의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박근혜 대통령과의 악연은 흥미로운데, 월스트리트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며칠이 지나 독자들을 상대로 ‘박 대통령이 침몰한 여객선의 선장과 선원의 행동을 “살인과 마찬가지”라고 칭한 것이 옳았나?'란 조사를 실시해 한국인 87%, 영어권 독자 과반이 대통령의 책임 회피성 발언이다라고 응답한 조사결과를 발표하자[15], 한 달 뒤 박 대통령은 해당 언론과 독점 인터뷰를 가졌는데... 2015년 민중총궐기와 관련해 박 대통령이 시위 참가자를 IS에 빗댄다며 우회적으로 조롱하기까지 했다. 대선 정치자금 부정수뢰와 관련한 성완종 리스트 사건 이후에는 정권비리로 실각위기에 처했다는 보도를 했다. 2016년 1월에 박 대통령이 진행한 대국민담화와 관련해서는 기자회견 전 대본이 유출된 상황을 조롱하며 "지겨운 연출", "노무현 때는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었다"라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 ##

2016년 1월에 박 대통령이 진행한 대국민담화의 기자회견 전 대본이 유출된 상황에 대해서 로이터 통신의 James Pearson 은 박 대통령은 미리 승인된 언론의 질문을 모두 기억할 수 있는 자신이 아주 똑똑하다고 말했다며 아주 훌륭한 언론 자유에 관한 농담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 "언론자유를 위협하고 있다", "독재자 아버지를 따라한다"는 비판보도를 한 워싱턴 포스트박 대통령의 기자회견에 배제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5 인권 후퇴

image_readtop_2016_151223_14563989502373279.jpg
2015년 대통령 직속 국민대통합위원회 보고서
"박근혜 정부 2년, 한국 인권상황 후퇴" <국제앰네스티>
국정원, 경력법관 지원자들 상대로 '사상 검증' 논란
관광공사도 면접 때 ‘사상검증’ 논란
‘보위사 직파간첩’ 홍강철 씨 2심서도 무죄
유엔 보고서도 “전교조 탄압 심히 우려”
유엔 인권위원회, 심각한 한국 자유권 실태에 강력한 권고 내려
집회 ‘채증 규정’ 스스로 어기는 경찰
“세월호 유가족 미행·채증 직권남용 소지” 경찰 인권위, 집회대응 개선 의견
박 대통령 "여성 역량 발휘", 밖에선 이대생-경찰 몸싸움
서강대 캠퍼스에 경찰이 진입했다
인권위, '민중총궐기 집회' 경찰 인권침해 직권조사
'세월호 집회' 3일간 최루탄, 지난해 총 살포량의 2.5배 사용
경찰, 장애인의 날에 시위대에 최루탄 투척한 이유
'장애인의 날이 생일이라고'…경찰 발언에 장애인들 반발
DMZ 지뢰부상 곽중사,아직도 정부서 진료비 못받았다
‘경찰 모욕죄’ 처벌 사례 증가 …공권력 남용?
장애학생 인권침해 사례 4년만에 3.7배 급등
"한국 인권 후퇴했다"…美 하버드대 토론회서 지적
대구경북 5대 인권뉴스발표 "전 영역서 인권 후퇴해"
경기도 학생인권·교권 침해사례 매년 증가
손잡은 양대노총 "노동개혁은 위헌"…인권위에 조사 요구
새누리당 100% 몰표 진주갑…선관위 결국 재검표
한국은 '벌레' 먹은 사회…'○○충' 신조어 급속 확산
'가난한 노년' 75세 이상 고용률 OECD 1위
"한국 노동자 권리보장 세계 최하위 등급"<국제노총>
나라별 사회·경제적 차이 고려해도 한국 복지 지출 ‘OECD 꼴찌’
'잠 부족한 한국인'…평균수면 6.3시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하위
교육부 고위간부 “민중은 개·돼지···신분제 공고화해야”
UN이 대한민국 '인권'을 지적한 이유?
파일:/image/022/2016/06/12/20160612001460 0 99 20160612211304.jpg
국방부 검찰단 3년간 기소 '0'…"제식구 감싸기"
독일 언론에 뜬 '한국 경찰', 걱정되는 대한민국

임병장, 윤일병 사건 등 군내 병영부조리 문제에 더해 성소수자, 양심적 병역거부자, 장애인, 아동 등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인권 처우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국민 자유권, 정치권의 법적 보장이 오히려 악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언론자유의 심각한 위축과 더불어 검경 등 정보기관, 법 집행기관의 정치적 공세와 탄압이 심해지고 있다.

2015년 초에는 국가인권위원회가 박근혜 대선 캠프 조직본부부장을 맡은 유영하 인권위 상임위원의 지시를 받고 UN제출보고서에 통진당 해산, 세월호 참사, 정부 비판 언론에 대한 고소 증가 같은 민감한 사회 현안을 누락시킨 사실이 폭로되면서 인권위 역시 정권의 꼭두각시 수준으로 전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리덤 하우스는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반대자들에 대한 위협이 계속되고 있으며, 세월호 참사 이후의 행보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이 강력히 탄압됨에 따라 한국의 자유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South Korea received a downward trend arrow due to the increased intimidation of political opponents of President Park Geun-hye and crackdowns on public criticism of her performance following the Sewol ferry accident)"고 박근혜 정부를 비판하였다. 또, "수많은 스마트폰 메신저 사용자들이 박근혜정부의 검열을 두려워하며 국내 유명 메신저(카카오톡 등) 대신 외국계 메신저(텔레그램 등)로 갈아탔다(Hundreds of thousands of smartphone messenger users switched from the most popular domestic provider to an encrypted, foreign alternative due to fears of surveillance)"고 평가하였다.

상술한 언론자유지수부터 시작해서 각종 인권 관련 지수가 MB정권 이후 들어선 박근혜정부에 들어서도 일관되게 하락 내지 폭락하고 있다. 일례로, 유엔에서 발표하는 행복자유지수의 경우 2015년 47위로 작년과 비교했을 때 6계단이나 떨어진 순위다. 그외에 여론조사업체 갤럽에서 147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도 조사에서는 59점(100점 만점 기준), 118위를 기록했다(63점을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점수는 4점이 떨어지고, 순위는 94위에서 24계단이나 추락했다).

이코노미스트에서 매년 발표하는 167개국 대상 국제 민주주의 지수 순위에서는 2013년부터 계속 한 계단씩 떨어지고 있으며(20위 → 21위 → 22위), 결국 2015년에 완전한 민주주의에서 미흡한 민주주의 국가로 강등되었으며, 영국 싱크탱크 레가툼 연구소가 세계 142개 나라를 대상으로 '2015 레가툼 세계 번영 지수' 조사에서 2014년보다 3단계 하락한 28위를 기록하며 간신히 상위권 자리를 지켰다. 특히 경제는 9위에서 17위로 폭락했고, 정부 운영은 30위에서 35위로, 교육은 15위에서 20위, 개인의 자유는 59위에서 66위로 떨어졌다. 사회 공동체 구성원 간의 협조와 네트워크를 일컫는 사회적 자본은 69위에서 85위로 순위가 하락해 하위권에 포함됐다. 관련기사

l_2015110301000389500035671.jpg

대개 외국기관의 조사는 비교적 국내 정보를 입수하기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실질적 파악에 힘이 드는 경우가 있는데 후술한 경제와 인권 지수에서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사회상황이 위기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해석으로 풀이된다.

파일:/image/001/2016/06/15/tableImage1 99 20160615053804.png

2016년 3월 유엔이 발표한 세계행복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은 157개국 58위로 작년보다 11계단 낮아졌으며, 5월 1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행복도 추이와 설명요인:유엔세계행복보고서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객관적 수치로 본 행복감은 높은 수준이지만 실제로 국민이 평가하는 행복감은 낮은 편으로 드러났다.

1인당 GDP는 OECD 평균보다 낮았으나, 세계평균보다 높았고 건강기대수명은 73.1세로 세계평균(62.3세), OECD 평균(70.4세)보다 높았다. 반면 사회적 지지 항목에서는 0.778점을 받아 OECD평균은 물론 세계평균보다 낮았는데, 어떤 사람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타인에게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 물었을 때 그렇다고 대답한 비율이 전체의 77.8%이란 뜻이다.

마찬가지로 자유로운 삶의 선택 항목에서도 0.637로 OECD 평균은 물론 세계평균보다도 낮았다. 하고 싶은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에 대한 만족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63.7%만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경제 수준과 비교했을 때 나눔의 행복을 느끼는 정도도 세계나 OECD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어서, 한국의 양극화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는 주장의 근거가 되고 있다.

1인당 GDP 대비 기부 실천 정도를 산출한 관대성 항목에선 -0.063점을 기록해 세계 평균,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반면 부패가 만연하고 있다는 인식은 OECD나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돌았는데, '정부·기업 영역에서 부패의 만연 여부'를 묻는 말에 한국인의 81.7%가 그렇다고 답해 세계 평균, OECD 평균보다 훨씬 높았다. 부패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에는 마이너스가 된다.

정 부연구위원은 "한국은 객관적 요인이 양호해졌음에도 국민이 삶에서 여유는 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민 삶의 질 제고에서 양적 발전이 아닌 질적 발전을 도모해야 행복도가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여, 국가발전의 혜택이 국민이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5.1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2016년 10월에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가 폭로되며 예술의 자유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세월호 정부 시행령 폐기촉구 선언", "세월호 시국선언", "문재인 후보지지 선언", "박원순 후보지지 선언" 중에서 하나 이상의 행위를 한 연예인 및 예술인들의 명단이 적힌 블랙리스트로, 청와대에서 문체부로 내린 리스트이다. 정부의 블랙리스트는 이전에도 암암리에 존재해 왔지만 그것은 소수 종북주의자나 국가테러세력에 한했던 반면, 이번 블랙리스트는 그와는 전혀 상관없는, 단순히 상대편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선언을 했다는 이유만으로도 명단에 오른다는 점에서 명백한 정치적 보복 목적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당연히 주요언론들은 이에 대해 응 아니야식의 보도 하나만 내놓고 신기하리만큼 침묵 중이며 네이버 메인에는 절대로 올라오지 않고 있다. 자세한 내용 및 블랙리스트 명단 확인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항목 참조.

5.2 아동권리 보장 실패

18president-promise-p256-normal.gif
박 대통령은 집권 초기 2013년 3월 29일, 총리실 산하에 아동 인권보호 전담조직을 만들겠다면서 아동학대 방지 및 아동인권 보호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아동인권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으며, 어린이집 및 가정에서 아동 학대사건이 계속 일어나자 # #2 2016년 1월 19일 "아동학대 발견에서 사후 보고까지 근본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공언하였다.

그러나 2월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사망사건, 3월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 사건이 일어나는 등 정부의 아동권리 보호정책이 총체적 실패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파일:/image/001/2016/05/02/GYH2016050200110004400 P2 99 20160502180908.jpg
5월 2일 2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염유식 교수팀이 발표한 '2016 제8차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어린이와 청소년의 행복도는 OECD 회원국에서 꼴찌로 여전히 인권 보장에 진척이 없음을 나타냈다.

#발명가가 되고 싶으나 섬에 살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어린이에게 전국에 17개밖에 없는 창조경제혁신센터로 가라고 해서 논란이 됐다.

5.3 간첩조작과 불법사찰, 소송남발

박근혜정부 치하의 국정원의 명예가 크게 실추되었다.실추될 명예가 있긴했었나? 과거 명예가 땅바닥 위에 굴러다닐 정도면 지금은 외핵까지 떨어졌다 국정원과 검찰 등 한국의 사법, 정보기관은 제18대 대선과정에 총체적으로 나서 개입한 것을 시작으로, 2012년 벌어진 탈북자 공무원 간첩 사건 수사 과정에서 갖은 방해와 왜곡을 일삼았다. 특히, 국정원은 중국의 공문서를 위조하면서 중국과의 외교분쟁이 빚어졌다. 또한 간첩 조작 사실이 드러나자 국정원 협력자가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일이 일어났다.

당사자인 검찰과 국가정보원 직원들뿐만 아니라, 정홍원 국무총리황교안 법무부장관까지 나서서 피해자가 간첩이 맞다고 주장하였지만 대법원에서 무죄판결이 났다. 최종적으로 국정원은 유우성이 북한에 탈북자 정보를 제공했다고 주장했고 검찰은 이에 따라 유우성 씨를 기소하였으나, 진술이 강압에 의해 위조된 것이 드러났고 증거로 제출된 출입국 기록마저 조작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서울고등법원은 무죄를 선고했고, 증거조작에 관여한 대공수사국 과장 등은 전원 유죄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럼에도 2014년에 탈북자 브로커를 간첩으로 조작하는 등 국가기관의 문제점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2013년 대선 개입 사건 당시 시국선언 대학을 사찰하거나 국정원 비판자들에 대한 고소, 고발을 남용하다가 사법부의 국가기관은 명예훼손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판결로 패소하였다.

참고로 국정원의 선거개입, 간첩조작과 같은 부정 행위는 나중에 테러방지법이 강한 반발과 비판에 직면하게 되는 원인을 초래했다. 테러방지법에서 행동의 주축이 되는 국정원을 전혀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게 드러났기 때문. 메카시즘이 이후 미국의 대간첩 전략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초래해 오히려 대간첩 전략을 위축시킨 전례가 있음을 생각하면 국정원의 반론할 여지조차 없는 명백한 잘못. 특히 국정원 예산이 입법기관인 국회등의 감사를 받지도 않고 운영되는등 지나치게 초법적이라는 반발[16]이 극심한 만큼 절대적인 신뢰와 공정성, 믿음이 뒷바침 되어야 함에도 국정원에선 이를 스스로 이를 걷어차 버렸다.

6 관제데모

MB정부 시절부터 국가기관이나 특정 정당이 인터넷 알바를 동원해 여론전을 펼쳤다는 사실은 공공연히 알려진 사실이었다. 그러나, 박근혜정부 들어 국가기관이 실제로 대대적인 여론전을 자행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2016년 4월에는 종북몰이로 유명한 극우 성향의 친정부단체 어버이연합의 배후에 청와대의 지시와 전경련의 자금 지원이 있었단 사실이 시사저널, JTBC 등의 언론 취재 결과 폭로되면서 사건이 일파만파 확대되었으며, 얼마 뒤, 어버이연합 사무총장인 추선희가 청와대 행정관의 지시를 받았음을 시인하여 사실로 드러났다.

자신들은 지시를 받은게 아닌 협의를 했다고 주장하지만 일개 시민단체와 국정의 최고 수행기관의 급이 다르다는 걸 생각하면 말장난에 불과하다. 또 문제의 청와대 행정관들이 과거에 활동한 극우단체 시대정신청와대가 거금의 정부보조금을 지원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이 단체는 제18대 대선 때 대학생들을 동원하여 친정부 여론전을 펼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초창기 동안 정체불명의 21억원을 입금받아 배후에 정부가 있는 게 아니냐는 논란도 휩싸였다.# 박근혜 행정부 3년 간 경찰이 어버이연합의 집회를 단 한 건도 불허한 적이 없다는 사실도 새롭게 드러났다. 청와대, 전경련이 개입한 어버이연합 관제시위에 대해서 시민단체 등이 고발한 지 1달이 지났는데도 검찰이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으면서 대통령의 눈치보기란 의심도 사고 있다. 자세한 것은 어버이연합 게이트 문서 참조.

7 시위탄압

상술했듯이 시위대에 대한 과잉진압이 논란이 되고 있다. 2015년 4월 3일간 진행된 세월호 1주기 시위 당시 경찰이 사용한 최루액은 작년 대비 2.5배였으며, 11월 열린 민중총궐기 시위 당시에는 작년 대비 45배에 달하는 물대포 사용량을 기록하며 도마에 올랐다.

일각에서는 시위대의 폭력행동 때문에 경찰관의 안전을 이유로 물대포를 사용하였다 주장하나, 시위대가 물대포와 최루액을 수 배~수십 배씩 사용해야 할 만큼 과거보다 폭력적인 행동을 자행하였던 것이 확실한지, 경찰의 대응이 과잉방위가 아니었는지는 논란이 분분한 문제다. 세월호 시위대가 경찰을 폭행했다는 기사 중에는 그저 오보에 불과한 것도 있었다 채널A ‘세월호 폭력집회’ 부각하려…사진 조작 ‘들통’. 국제엠네스티에서는 세월호 시위를 두고 "경찰력 사용이 끔찍한 수준이었다"며 공권력 자제를 촉구한 바 있다.#

2015043001_02.jpg

특히, 시위 참가자들에 대한 사상검증마구잡이 채증, 시위 참가자에 대한 DNA 채취가 문제가 되고 있다. 수사에서 시위에 참가한 학생에게 인생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니 참석하지 말라고 협박하거나, NL(자주파)이냐 PD(평등파)냐, 대한민국을 전복하려는 목적이냐고 물어보는 등 민주국가에선 해서는 안 될 상식이하의 행동을 보이고 있다. 그밖에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가 광화문에서 진행한 홀로그램 시위에 집시법을 적용하여서 조롱을 샀다[17].

2016년 1월 말에 한국을 방문한 마이나 키아이 유엔 특별보고관은 6월 보고서에서 "한국 경찰이 집회 금지 때 적용하는 교통방해, 소음, 동일시간 신고 등의 규정이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이어서 "북한과 대치 중이라는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국가안보를 이유로 인권이 희생돼선 안 된다", "미신고 집회를 불법으로 간주해선 안 된다. 국제법은 긴급집회를 보장한다", "청와대 등 주요 건물 인근 100m 내 옥외집회 금지 역시 장소나 시간에 제한을 둬 시민의 권리를 특권으로 만들어버린다"고 적어 한국 정부의 시위 억압적인 태도를 고칠 것을 요구하였다. 국제규약 제21조의 내용을 언급하며 "모든 집회는 평화적일 것이라 간주해야 하며, 일부 참가자들의 행동이 평화롭지 않더라도 나머지 참석자들의 권리를 부정할 순 없다"고 적기도 했다.

경찰의 물대포 사용에 대해서는, 2015년 11월 민중총궐기 당시 경찰이 살수한 물대포를 맞고 쓰러져 의식불명에 빠진 백남기의 사례를 직접 언급하며 "한국 정부의 물대포 사용은 무차별적", "물대포는 집회 참가자들에게 심각한 위해를 가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세월호 참사와 노란리본과 관련해선 "책임 규명과 투명성을 요구하는 것을 정부 약화 의도와 동일시하는 것은 민주주의에서는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리고 9월 25일 백남기가 끝내 숨져서 과잉 진압/시위 탄압 논란이 더욱 증폭되었다.

8 바지 대통령

최순실 게이트 항목 참조. 사실상 절차적 민주주의를 뿌리채 부정한 사건으로서 이 항목의 끝판왕격이라고 봐도 좋을 듯하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근혜/평가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대구 북구 침산2동 제1투표구, 개표 개시시각 16시 43분, 개표 종료시각 16시 57분. 경기도 이천시 증포동 제5투표구, 개표 개시시각 17시 35분, 개표 종료시각 17시 43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투표 종료시각이 18시인데 그 전에 개표가 진행된 지역이 있다는 것.
  2. 경북 안동시 강남동 제1투표구, 투표 참관인 참관종료시각 18시 30분인데 개표 개시시각이 18시 16분, 개표 종료시각이 18시 21분이다. 쉽게 말하자면, 투표함 뚜껑이 최종적으로 닫혀서 개표 장소로 이동하기도 전에 개표 결과가 나왔다는 것.
  3. 제주시 용담1동 제1투표구, 개표 개시시각 18시 29분, 개표 종료시각 18시 36분. 투표관리관 투표함관리 종료시각 18시 25분. 쉽게 말하자면, 투표함이 봉인된 지 불과 4분만에 개표 장소로 도착하여 개표가 진행되었다는 뜻이다.
  4.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제8투표구, 개표 개시시각 19시 31분, 개표 종료시각 20시 51분, 개표결과 공표시각 21시 41분인데 개표결과 언론사 제공 시각이 20시 26분으로, 개표가 끝나기도 전에 언론사에 최종개표결과가 제공되었다.
  5. 서울 영등포구 대림3동 제7투표구, 투표결과 언론사 제공 시각은 22시 35분이다. 그런데, 개표를 시작한 시각이 23시 16분이다. 개표가 시작되기 41분 전에 이미 언론사에 개표결과가 제공된 것이다. 또, 춘천시 동내면 제1투표구에서는 개표 시작 시간이 21시 14분인데, 1시간 전인 19시 40분에 이미 언론사에 개표 결과가 제공되었다. 쉽게 말하자면, 투표함 뚜껑도 안 열렸는데 최종개표결과가 언론사에 제공되어 TV에 방송된 것.
  6. 충청남도 전체에서 총 투표 참여자의 수보다 박근혜 후보의 득표수가 59,420표 더 많았다.
  7.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발언은 바로 이틀 후, 10월 15일에도 다시 나왔다. 영상에서 보면 알겠지만 역사교과서(국정화) 가이드라인에 정확하게 나와 있는 내용임에도 정확한 확인도 없이 무조건 눈 감고 귀 닫고 부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8. 노무현 대통령 재임 중 최하위
  9. 이명박 대통령 재임 중 최하위
  10. 역대 최하위.
  11. 그런데 프리덤 하우스 문서를 참고하면 알겠지만, MB정부 시절 순위가 71위로 가장 낮았다(2012년)
  12. Threats to press freedom in South Korea under President Park Geun-hye continued in 2014. At the center of the concerns was the increased reliance by the Park administration on the National Security Law, which had a chilling effect on working journalists
  13. Relations have been very tense between the media and the authorities under President Park Geun-hye. The government has displayed a growing inability to tolerate criticism and its meddling in the already polarized media threatens their independence. A defamation law providing for sentences of up to seven years in prison is the main reason for self-censorship in the media. The public debate about relations with North Korea, one of the main national issues, is hampered by a national security law under which any article or broadcast “favourable” to North Korea is punishable by imprisonment. This is one of the main grounds for online censorship
  14. KBS 길환영 사장, 김시곤 보도국장이 관여하였으며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인 이정현이 해경 비판 보도를 하지 말라고 압박한 녹취록이 6월 30일 폭로되었다.
  15. 그 와중에 일간베스트 이용자들이 난입해 소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16. 세계 최강의 정보력을 자랑하는 미국의 정보기관들도 의회에 예산안을 제출해서 감사를 받는다. 물론 미국에서는 현명하게 인건비 항목에서 직급은 표시하지 않고 ‘총인원×평균임금’ 식으로 표기하는등 정보기관의 정보 보호에 각발하게 주의한다. 하지만 정보기관의 예산사용처와 비용에 대해 깐깐하게 따진다. 실제로도 회계연도별로 의회가 정보 예산을 법으로 확정하고, 회계연도가 끝나면 남은 예산은 반드시 돌려받는다. 예산이 일단 들어가면 그걸로 끝인 국정원과는 저언혀 딴판
  17. 집시법에서 다루고 있는 집회 및 시위가 성립하려면 2인 이상의 사람이 한 가지 목적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 이걸 피하기 위해서 1인 시위가 나온 것이다. 그런데 시위 참여자 수가 0명인 홀로그램 시위를 집회로 보는 것은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