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품사)

數詞
Numeral

언어의 품사
체언명사대명사수사
용언동사조동사형용사
수식언관형사부사관사접속사
관계언 & 독립언조사전치사감탄사

1 개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 순우리말로는 셈씨라고 한다.

숫자를 뜻하는 단어는 어느 나라 말에나 다 있지만, 한국어, 중국어와 같이 수사를 독립적인 품사로 두는 말이 있는가 하면, 영어, 일본어와 같이 따로 분류하지 않고 명사#s-1, 대명사의 일부로 보는 말도 있다.

체언을 수식해주는 용도로 사용할 때에는 수관형사라고 한다.

수사는 숫자를 세는데 쓰는 기수사(序數詞; 양수사, 셈낱씨, 으뜸셈씨)와, 순서를 세는 데 쓰는 서수사(序數詞; 셈매김씨, 차례셈씨)로 나뉜다.

2 각 언어별 수사

2.1 한자 문화권

한자 문화권에서는 십진법을 사용한다.

한자를 차용한 한국과 일본에는 한자어 수사와 고유어 수사가 각각 존재한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기본적으로 죽을 사(死)와 발음이 유사한 4(四)를 기피한다. 중국어에서는 이와 동일한 원리로 6(六-流; 순조롭다), 8(八-发; (돈을)벌다), 9(九-久;오래다, 장수하다)를 선호한다.

2.1.1 한국어

한국어 품사
불변어체언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한국어의 대명사)
(한국어의 인칭대명사)
수사
(한국어의 수사)
수식언관형사부사#s-1
(한국어의 부사)
관계언조사 (한국어의 조사)
독립언감탄사 (한국어의 감탄사)
가변어용언동사
(한국어의 동사)
형용사
(한국어의 형용사)

한국어의 수사는 한자의 음을 그대로 읽은 것과 순우리말로 읽은 것,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뉜다.

아래 표는 아라비아 숫자 - 한자 - 한자어 - 순우리말 - 순우리말 서수사 순이다.[1][2]

한국어의 수사 (0 ~ 9)
0123456789
하나다섯여섯일곱여덟아홉
첫째둘째셋째넷째다섯째여섯째일곱째여덟째아홉째
한국어의 수사 (0 ~ 100)
0102030405060708090100
二十三十四十五十六十七十八十九十
이십삼십사십오십육십칠십팔십구십
스물서른마흔예순일흔여든아흔
열째스물째서른째마흔째쉰째예순째일흔째여든째아흔째백째

백 이후의 숫자 단위는 순우리말의 기능이 사라져 한자어와 동일하다. 이 이후의 단위에 대해서는 큰 수 문서 참조.

또한 분류상 수사는 아니지만 숫자와 관련하여 날수를 나타내는 단어가 따로 있다.

한국어의 날짜 (1 ~ 10, 15)
1234567891015
一日二日三日四日五日六日七日八日九日十日十五日
일일이일삼일사일오일육일칠일팔일구일십일십오일
하루이틀사흘나흘닷새엿새이레여드레아흐레열흘보름

이외에도 (년에 대응)와 (개월에 대응)을 날수의 단위로써 쓰는 경우도 있지만, 각각 지구의 공전주기와 달의 공전주기에 대응하며, 그리고 이 둘을 아우르는 역법에 따라 달라지는 개념이라 정확한 일수로 맞아떨어지지 않는다.[3]

2.1.2 일본어

일본어의 수사는 기수로 쓰일 때 한자를 음독하고, 서수로 쓰일 때 한자를 훈독한다.

아라비아 숫자 - 한자 - 음독 - 음독과 유사한 한국어 발음 - 서수사[4] - 훈독 - 훈독과 유사한 한국어 발음

일본어의 수사 (0 ~ 10)
012345678910
れい/ゼロいちさんし/よんろくしち/ななはちきゅうじゅう
레이/제로이치/로쿠시치/나나하치
一つ二つ三つ四つ五つ六つ七つ八つ九つ
ひとつふたつみっつよっついつつむっつななつやっつここのつとお
히토츠후타츠밋츠욧츠이츠츠뭇츠나나츠얏츠코코노츠토오

무엇을 세는지에 따라 예외가 다양하고 심하면 훈독으로 읽다가 음독으로 바뀌는 등(예시 : 一人(ひとり)-二人(ふたり; 후타리)-三人(さんにん; 산닌)), 일본어/문법을 어렵게 하는 요소 중 하나.

이 외에도 일본어에는 숫자를 읽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를 고로아와세#s-3라고 한다.

2.1.3 표준 중국어

표준 중국어의 수사는 앞선 두 언어와 달리 고유어 표현이 없어(라기보단 한수사 자체가 고유어여서) 훨씬 간단하다.

아라비아 숫자 - 한자 - 병음 표기 - 유사한 한국어 발음

중국어의 수사 (0 ~ 10)
012345678910
língèrsānliùjiǔshí
[5]리우지우[6]

서수사는 그냥 숫자 앞에 第(dì; 띠)를 붙여 주면 된다. 한국어와 일본어도 마찬가지로 한자어 수사 앞에 제(第)/第(だい;다이)를 붙여주면 서수사가 된다.

2.2 서구권 언어의 수사

인도유럽어족의 경우 첫 12까지의 단어가 따로 존재하기도 한다.

2.2.1 영어

영어의 서수사는 first(1st) - second(2nd) - third(3rd) 이후로는 뒤에 접미어 -th를 붙인다. 자리수가 올라가도 마찬가지로 41st, 22nd처럼 표기하지만 예외적으로 11, 12, 13은 th를 붙인다.

아라비아 숫자 - 영어 - 한글 표기[7]

영어의 수사 (0 ~ 19)
0123456789
zeroonetwothreefourfivesixseveneightnine
제로쓰리파이브식스세븐에이트나인
10111213141516171819
teneleventwelvethirteenfourteenfifteensixteenseventeeneighteennineteen
일레븐트웰브썰틴포틴피프틴식스틴세븐틴에이틴나인틴
영어의 수사 (0 ~ 100)
0102030405060708090100
zerotentwentythirtyfortyfiftysixtyseventyeightyninetyone hundred
제로트웬티썰티포티피프티식스티세븐티에이티나인티헌드레드

이후 숫자는 영어/수 단위 문서 참조.

all, both 등 수량을 가리키는 단어를 양화사(quantifier)로 분류한다.

2.2.2 독일어

독일어/문법#s-9 항목 참조.

2.2.3 아이슬란드어

특이하게도 4까지 숫자가 격과 성에 따라 굴절한다. 자세한 것은 아이슬란드어#s-4.4 항목 참조.

2.2.4 페르시아어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페르시아 숫자를 사용한다. 페르시아어/문법#s-5.1.4 항목도 참조.

2.2.5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품사론#s-6 항목 참조.

  1. 한자어 서수사는 아래 중국어 항목 참조.
  2. 관형사로 쓰이는 경우는 수관형사 항목 참조.
  3. 1년이 365일일 때가 있고 366일일 때가 있으며, 1개월의 경우 달력이 태양력이냐 태음력이냐, 태양력이면 몇 월인가에 따라서 28~31일을 오가는 개판 5분 전이다(...).
  4. 완전히 한문투 서수사는 아래 중국어 항목 참조.
  5. 뒤에 어떤 성조의 단어가 오느냐에 따라 성조가 달라진다.
  6. 권설음이라 하여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다. 실제로는 싀와 쉬 사이의 소리가 난다.
  7. 한글 표기상의 문제로 실제 발음과 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