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日本系美國人. 日系アメリカ人. Japanese American.
말 그대로 혈통은 일본계이지만 미국에서 나고 자란 미국 시민권자를 의미한다.
2 상세
한국계 미국인들이 주로 1960년대 이후[1]에 넘어간데 비해 일본인들은 19세기말부터 미국과 남아메리카 등으로 이주했다. 그때문에 한국계 미국인보다 커뮤니티의 역사가 깊고 4세대, 5세대까지 등장했다. 4세대를 연세대학교욘세이(Yonsei)라고 하는 등 용어도 있다. 숫자는 일본계 혈통만 이어온 사람은 2010년 기준 763,325명이며 부분적으로 일본계 혈통이 있는 미국인은 1,304,286명이다.[2] 1,706,822명인 한국계 미국인보다는 적지만 더 오랜 기간 동안 미국 사회에서 살아왔던 탓에 커뮤니티의 파워는 더 큰 편이다. 그러나 일본 본국이 발전을 거듭함으로써 미국에 새로 유입되는 숫자가 적어졌고 한국계, 중국계보다 동화된 기간이 길기 때문에 두드러지진 않고 있다.
이민 역사가 길어서 뿌리인 일본보다는 현 거주지인 미국에 대한 애착이 더 강하고, 또 과거 미국과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치뤘던 탓에 그 사이에서 고래 싸움에 끼인 새우마냥 많은 수난을 당한적이 있어서 스스로를 일본인이 아닌 미국인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을 많이 한 커뮤니티[3]이기도 하다.
3 일본계 미국인의 특성
3.1 중국계 미국인과의 관계
영 좋지 않다. 물론 본토 중국인과 본토 일본인과의 관계처럼 원수지간으로 지내는 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꽤 좋지 않은 건 사실이다.
다만 일본계 미국인은 중국과 정치적으로 따로 지내는 중국계 미국인과 마찬가지처럼 자기 조국인 일본과 비교적 거리를 두고 있었던 관계로, 제 2차 세계대전 및 중일전쟁 등 과거 중일관계의 역사와는 상대적으로 엮이지 않는 등 더욱이 중국계 미국인과 일본계 미국인 모두가 미국인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관계가 본토인들의 관계와 같이 험악하다고 볼 수 없다.
4 유명 일본계 미국인
4.1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있는 일본계 미국인
- 데본 아오키
- 스티브 아오키
- 아폴로 안톤 오노
- 요나미네 카나메 - 이름이 일본이름이긴 하지만 하와이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2세다.
- 우타다 히카루 - 뉴욕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2세. 미국과 일본의 복수국적이다.
- 트리나 니시무라
- 에릭 신세키 (군인 출신 정치인)
- 조지 타케이
- 제임스 이하
- 마이크 시노다
- 미라이 나가수
- 이와마쓰 마코토 (남성 배우/성우)
- 로라 시기하라
- 해리 해리스
- 엔센 이노우에
- 레이첼 야마가타 (가수)
4.2 그 외 일본계 미국인
- 하야카와 셋슈(早川雪洲): 1889-1973. 일본 치바 출신으로 헐리우드에서 처음으로 인기를 끈 아시아계 배우였다. 1915년에 주급으로 5천 달러를 받을 정도였다. 1920년대에는 연 200만 달러를 벌었으며 찰리 채플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무성영화 스타였던 그는 토키, 즉 유성영화 시대가 도래하고 1930년대 말부터 미국에서 반일이 거세지면서 인기가 떨어지게 된다. 1937년에 요시와라란 영화를 찍으러 프랑스에 갔다가 나치 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하면서 가족과 떨어진 채 프랑스에서 지내게 되었다. 영화 몇 편에 출연하고 주로 수채화를 그려 팔며 생계를 유지했는데 레지스탕스 운동을 지원하고 연합군 비행사를 도왔다고 한다. 일본이 독일의 동맹국인 걸 감안하면 스스로를 미국인이라 생각했던 모양. 아니면 일본의 군국주의에 반대했거나. 할리우드에서 그의 이미지를 새디스틱하며 잔인한 일본인 남성으로 묘사한 경우가 많아, 일본인들은 그의 영화를 보며 모욕적이라 느낀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군국주의가 일본을 휩쓸던 시절에 그가 너무 미국적이라 여기기도 했고. 우라사와 나오키의 빌리 배트에서도 잠깐 그를 언급한다.
- 엘리슨 오니즈카: 1946-1986. 아시아계 최초 우주 비행사. 하와이 출신으로 1986년 2월 28일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 사고으로 순직했다.
- 벤 쿠로키: 1917년 5월 16일 ~ 2015년 9월 5일. 네브래스카 출신으로 태평양 전쟁 당시에 미국 육군 항공대로 참전했다. 1941년 진주만 공습이 일어나자 벤의 아버지 쿠로키 쇼스케는 아들 프레드와 벤에게 미군에 입대하라고 했다. 벤과 프레드는 그랜드아일랜드의 모병소에서 지원했지만 거절당했고 노스플랫으로 가 다시 지원했는데, 쿠로키란 성이 폴란드식 이름이라 생각한 모병관은 그냥 질문 없이 그를 통과시켰다. 사실 이는 농담으로 하는 말이고 모병관이 1명을 모병할 때마다 2달러를 받기 때문에 혈통 따윈 연연하지 않았다고 한다. 형제인 빌 쿠로키와 헨리 쿠로키도 같은 해에 입대했다. 1942년에 텍사스의 셰퍼드필드에서 벤과 프레드는 훈련을 받았는데 일본계 미국인들은 해외로 배치되지 않을 거란 얘길 들었다. 쿠로키는 장교에게 부탁해 영국에 주둔한 미 공군 8군에 행정병으로 갔다. 당시 항공기 사수의 수요가 높았던 탓에 그는 지원했고 2주 동안 교육을 받은 뒤에 B-24 포탑상부 사수로 활약했다. 스페인령 모로코에서 갔다가 기체 문제로 착륙했다가 프랑코의 스페인 독재정부에 3개월 동안 붙잡혔다. 그의 동료들과 그는 미국 국무부의 신원 보장으로 풀려나고 다시 영국으로 돌아와 복무했다. 그 후 주요 폭격작전에 참여했고 태평양 전쟁에 참전시켜 줄 것을 요구했다. 거절당했지만 전쟁장관[4]인 헨리 스팀슨이 그를 보장하면서 일본계 미국인으론 유일하게 태평양 전쟁에 참전해 28회 출격하여 일본군을
개박살냈다. 1946년까지 복무한 뒤 주로 기자로 일했으며 1984년 은퇴했다. 2015년 9월 5일에 98세의 나이로 임종을 맞으셨다.
- 노먼 미네타: 1931년생. 미국 최초의 아시아계 장관으로 민주당 하원의원, 캘리포니아주 산호세 시장, 상무부 장관,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하원의원 시절에는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계 미국인 강제수용에 대한 미국 정부의 공식 사과와 보상 법안을 발의해 통과시키기도 했다. 2000년 빌 클린턴 정부에서 교통부 장관으로 지명됐는데 이듬해 정권을 교체한 조지 W 부시 정부에서도 그대로 유임되었고, 2006년까지 재직해서 역대 교통부 장관 중 최장기 임기를 기록했다. 9.11 테러 당시 미국 역사상 최초로 전체 북미 지역(캐나다 포함) 항공 차단 명령을 발동시켰으며 사태 수습에 일조했다. 이때를 기념해 산호세시는 2001년부터 산호세 국제공항을 노먼 미네타 국제공항으로 개칭하고 있다.
- 대니얼 이노우에: 1924-2012. 하와이 호놀룰루 태생. 하와이 초대 연방 하원의원이자 6년 주기 선거에서 9번 연속으로 당선되어 49년간 연방 상원의원을 지낸 민주당의 거물. 진주만 공습 당시에 의료봉사자였다. 1943년부터 미국은 일본계 미국인의 입대를 거부하지만 이노우에는 하와이 대학 의대를 포기하고 입대 신청을 하고 승인된다. 전원 일본계[5] 2세로 구성된 442보병연대(442nd Regimental Combat Team)에 들어갔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 이탈리아 전선에서 소대장으로 참여해 독일군 기관총 진지를 무력화하는 과정에서 팔을 한 쪽 잃었고 2000년 들어서 이 공로를 인정 받아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의회에서는 주로 외교, 상공, 국방 부문에서 활동하면서 워터게이트 사건, 이란-콘트라 사건 등 굵직한 사건을 맡아 정치적 입지를 키웠고 2009년에는 최고 원로 상원의원으로 상원의장 대행인이 되어 미국 대통령 승계서열 3위까지 올랐다. 미국 의원으로서 역사상 2번째로 최장기 임기 기록을 세웠다. 아래 마이크 혼다 의원과는 달리 미국과 일본 정계를 잇는 가교 노릇을 해왔고, 미국-이스라엘 외교 관계를 정립하기도 해서 친이스라엘 의원으로도 알려져 있다. 사후 미국은 그를 기려 알레이버크급 DDG-118을 대니얼 이노우에함으로 명명했고, 이스라엘도 애로우 미사일 통제 기지 명칭으로 그의 이름을 따왔다.##
- 마이크 혼다: 1941년생. 미 연방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이다. 12년동안이나 해당 지역의 하원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이 사람의 지역구가 바로 실리콘 밸리 지역이라서 그쪽 관련 법안에 굉장히 영향력이 큰 사람이다. 일본계임에도 불구하고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며 일본 정부에게 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요구한 전력도 있다.
상원의원으로 선서하는 히로노. 옆의 남자는 남편 레이튼 오시마이고 앞에 선 사람은 상원의장인 조 바이든이다.
- 매지 히로노(Mazie Hirono): 1947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태어났지만 어머니가 미국인이라 미국 국적자다. 2013년에 하와이 연방상원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소속 정당은 민주당. 최초의 여성 아시아계 상원의원이다. 그리고 최초의 불교 신자 상원의원이자 일본 태생 상원의원이기도 하다. 대니얼 이노우에는 하와이 태생이다. 남편은 일본계 미국인인 레이튼 킴 오시마(Leighton Kim Oshima)이다. 인터뷰에 따르면 남편인 레이튼은 한국계이기도 하다.
- 크리스티 야마구치(Kristi Yamaguchi): 피겨 스케이터. 1971년생. 캘리포니아 출신의 일본계 4세. 크리스티가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두각을 나타내자, 일본 언론은 그녀를 집중 조명하며 일본과 연관지으려고 했다. 그러나 크리스티는 "나는 일본인이 아니라 미국인"이라 했다고.
- 타카하시 마리코: 1984년생. 모델 겸 배우. 아버지는 미국인이고 어머니는 일본인이며,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다. 8세 때부터 모델로 활동했고, 드라마 어텐션 플리즈에 조연으로 출연하기도 했다.[6] 죠치대학 외국어학부를 졸업했다.
- 프랜시스 후쿠야마 : 정치학자로, 냉전의 종결되고 소련에 대한 미국의 승리가 확정된 1990년대 초반에 '자유민주주의가 이데올로기 경쟁에서 최종승리했다'는 요지의 <역사의 종말>이라는 논문으로 학계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7]
- 맷 히피 : 메탈코어 밴드 트리비움의 보컬 겸 기타. 어머니가 일본계고 아버지는 아일랜드 쪽이라 한다.
- 그랜트 이마하라 : 디스커버리 채널의 인기 프로그램인 MythBusters의 고정 출연자이자, 특수효과 전문가로 일본식 이름은 이마하라 마사루.
- 트래비스 이시카와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의 야구선수
- ↑ 하와이에는 대한제국 시절부터 갔지만 대규모 이민이 이뤄진 것은 이때부터이다.
- ↑ 아시아계끼리 통혼이 조금씩 이뤄지는 편이라 한국 혈통도 섞이고 있다.
미국에서 벌어지는 내선일체 - ↑ 심지어 한국계나 중국계와는 달리 일본어조차도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을 정도이다.
- ↑ 당시엔 국방장관이 없었다
- ↑ 당시 한국계는 본국이 일본의 식민지라 일본계로 간주되었다.
- ↑ 일설에는 마리코가 어텐션 플리즈에서 중도 하차하게 된 이유를, 주연배우 우에토 아야의 괴롭힘 때문이라고도 한다.
- ↑ 하지만 그 뒤로 발생한 여러 역사적 사건들을 보고 자신이 너무 성급한 결론을 내렸었다고 인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