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1 강원도태백산맥 동쪽 지역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의 지역구분
경기호서호남영남
관동*해서관서관북


嶺東

태백산맥(대관령)을 기준으로 서쪽은 영서 지방, 동쪽은 영동 지방으로 분류된다. 쉽게 말해 강원도에서 동해 바다와 접한 지역을 말한다.

지금은 북한 치하에 속한 통천군, 고성군(북한)에서부터 군사분계선 건너 고성군 - 속초시 - 양양군 - 강릉시 - 동해시 - 삼척시 - 태백시 - - 울진군[1]. 가장 큰 도시는 강릉이다. 그 외에 태백산맥 서쪽에 있어 영서로 분류되는 지역 중에서도 영동과 인접한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은 영동 강원도 방언을 쓰는 등 동질적인 부분이 있으나 이 지역들 역시 영동 지방으로 분류한다. 그 중에서도 영동 남부권이라고도 하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의 영향을 받아 교류가 상당히 많은 편이라 언어나 생활권, 문화권 역시 대체로 동일하다. 역사적으로는 국사 수업시간 초반에 배우는 원삼국시대동예가 여기 있었다가 이후 고구려신라가 번갈아 차지했다.

지금은 영서와 같은 강원도이지만 통일신라, 고려까지는 지금의 영서 지역과는 서로 다른 도에 속했다.[2] 조선대에 강원도로 묶였지만 도로가 제대로 나 있지 않았던 당시에는 태백산맥을 넘는 것이 상당한 모험이었던 터라, 심지어 해방 직후[3]에도 강릉시에서 서울특별시을 가려면 부산광역시(...)까지 배를 타고 간 다음에 경부선 열차를 타고 서울까지 가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다 군사정권 시절때는 상황이 많이 좋아져서 경북 포항시(...)까지 배를 타고 간 다음에 그곳에서 서울까지 기차타고 갔다고 한다. 1950년대에는 영동선이 개통하여 철도교통만 이용하여 가는것이 가능해졌으며 1970년대 들어서야 영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도로로도 더욱 빠르게 접근이 가능해졌다. 2010년대에는 경강선이라는 철도도 개통 예정이어서 날로 교통은 좋아진다. 영서와는 문화, 생활권, 방언도 다를 뿐만 아니라 사람들 성격도 영동 지역 사람들은 매우 거칠고 자기 주장이 강한 편.

또한 영동 지역에서는 영서 지역 및 서울특별시사람들을 대체적으로 싫어하는 편이라서 텃세가 심한데, 그 이유는 영서 지역은 서울특별시와 가깝고 문화도 많이 교류되는 편인 반면, 영동 지역에는 태백산맥을 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서울로 가려면 최소한 하룻밤을 자거나 12시간 이상 걸렸기 때문에 문화적 교류가 상당히 적은 편이었기 때문이다.

높은 산맥으로 가로막혀 있어 기후가 다른 곳과는 특이하다. 겨울에는 북서-북동풍이 동해의 습기를 머금고 태백산맥에 부딪히며 눈을 내리므로 매년 1월쯤 되면 항상 강릉이나 속초 어딘가에 1m정도의 폭설이 내려서 뉴스를 탄다. 4월말에서 6월 초에 걸쳐서는 높새바람 때문에 영서지방이 30도를 오르내리는 데 비해 기온이 크게 오르지 않아 비가 많이 오고 서늘하다. [4] 산간지방이라 한여름에는 비가 많이 내리기 때문에 눈과 비가 극단적으로 많이 오는 강릉의 기후를 빗대어 소돔강릉이라고도 한다...

원래 영서와 비교하면 교통도 불편한 감이 있고 인구도 적지만 영동고속도로가 확장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해진 현대에 와서도 이 상황이 지속되어 영서에 대한 박탈감과 지역감정이 조금 있다고 한다. 강원도 3대 도시 중 원주와 춘천 다음이 강릉이긴 한데 수도권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하는 강릉으로서는 성장 가능성이 원주와 춘천보다 적은 것이 사실이고 관광산업 부분에서도 거리가 먼 만큼 영서보다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어려운 면이 있다. 하지만 동해바다와 접하고 있고 러시아일본으로 가는 배편이 동해항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매력적인 관광지로서 여전히 인기가 많은 지역이다.

관동팔경은 이 지역의 경치 좋은 곳들을 조선시대에 꼽았던 것인데 원래는 이름대로 8군데이지만 지금은 그 중 두 곳 혹은 세 곳이 북한 강원도에, 한 곳 혹은 두 곳이 경상북도에 넘어갔다.

2 충청북도 영동군

永同 Young Dong[5][6]
충청북도의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을 남부 3군이라 부른다. 세군이 하나의 선거구를 이룬다 이게다 인구가 없어서다[7]
1번 항목의 영동과 발음이 똑같기 때문에, '영동에서 왔어요'라고 하면 '강원도 영동?'이라는 대답을 들을 수 있다. 심지어 같은 충북에서도 반응이 똑같다(...)

3 강남의 이칭(異稱)

永東
East of Yeongdeungpo

서울특별시의 지역 구분
강북
영등포영동
강서강남강동

예전에 서울특별시 영등포 동쪽 지역이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을 때, 해당 지역을 일컫던 말이다. 1963년 시흥군 신동면[8]광주군 언주면[9] 등 여러 면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는데, 아직까지 대부분 시골이라서 이들을 통칭할 별다른 지명이 없다 보니 당시 시가지로 발전되어 있었던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것.[10] 서울 편입 당시 시흥군 신동면은 영등포구로, 광주군 언주면 등은 성동구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 현 서초구 일대[11]가 영등포구에서 성동구로 이관되고, 1975년 성동구의 한강 이남 전역이 강남구로 분구되었다.

영동고속도로, 영동군 등의 명칭과 혼동되며 지역이 발전함에 따라 강남이라는 이름이 점점 커지게 되면서 차츰 사어(死語)가 되어 1990년대 이후부터는 잘 쓰지 않는 명칭이 되었으나, 그 흔적은 아직도 강남구와 서초구(송파구, 강동구에도 일부 남아 있다.) 곳곳에 남아있다. 주로 역사가 깊은 기관이나 시설 등에 많이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영동대교, 영동대로, 영동중학교, 학동에 위치한 서울 영동우체국, 강남구 유일의 전통시장인 논현동 일대의 영동시장 등등 많다. 다음이나 네이버 지도에서 '영동지점'을 검색하면 강남구 쪽에 점이 빼곡하게 찍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노래 중에는 '비내리는 영동교', '사랑의 거리' 등에서 영동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분당선한티역도 공사 당시 가칭이 '영동역'이었다. 또한 강남 세브란스병원도 원래 이름은 '영동 세브란스병원'이었다. 서울 지하철 7호선논현역 사거리(강남대로, 신반포로, 학동로가 교차) 역시 과거 '영동사거리'로 불렸으며, 2015년 말까지 이 일대의 버스정류장 이름으로 남아 있었다.

4 榮洞

전형적인 일본식 지명으로, 일제 강점기 때의 이름은 '영정', 일본어로 하면 '사카에마치'(榮町)였다. 전부 다 구도심에 있다는 게 특징. 또한 일본인들이 주소를 붙일 때 도로를 따라서 주소를 설정했기 때문에 대부분 코딱지만하고 길쭉하다.
  1. 지금은 경상북도 소속으로 바뀌었지만 조선 시대부터 1963년 이전에는 강원도였다. 항목 참조.
  2. 신라 때는 삭주명주, 고려 때는 동계교주도.
  3. 분단 이전에는 좀 더 가까운 원산시에서 경원선을 이용했다.
  4. 간혹 바람 방향이 반대편이면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나긴 하지만 대개는 영동이 서늘하고 영서가 덥다.
  5. Dong은 영어에서 남성의 성기를 뜻하는 속어이다. Young은 어리다, 젊다라는 뜻이니...
  6. 영미권 국가에 진출해 있는 한국계 들이 영동을 이용해 현지인들을 충공깽에 빠트리고 있다. 링크는 스모쉬 홈페이지.영동에 살면서 저런가게는 본적이 없는데.. 영어주의
  7. 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와서는 그래도 인구가 부족해서 지역적 교류가 거의 없는 괴산을 보은과 살짝 닿아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억지로 끌어다 붙이는 바람에 괴산에서 엄청나게 반발하기도 할 정도다.
  8. 서초구 중 내곡·신원·염곡동을 제외한 전역 및 동작구 사당동, 관악구 남현동에 해당된다.
  9. 강남구 중 세곡·수서·율현·일원·자곡동을 제외한 전역 및 서초구 내곡·신원·염곡동에 해당된다.
  10. 1970년대 현 강남·서초구 일대의 개발사업 명칭도 '영동 1,2지구 개발사업'이었다.
  11. 단, 방배동은 영등포구에서 분리된 관악구에 속했다가, 1980년에 동작구가 분리되면서 강남구로 이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