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 지하철 1호선에서 넘어옴)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노선도(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이미지)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운영기관" />?width=75%
영업거리22.74㎞
궤간1,435㎜ 표준궤
역수22
전기직류 1,500V 강체가선
신호ATC/ATO
표정속도30.8 ㎞/h
차량기지판암사업소, 외삼사업소
지상구간없음
개통연혁2006. 03. 16 판암↔정부청사
2007. 04. 17 정부청사↔반석

1 개요

[[파일:jjang153_279606_2[433225].jpg]]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개통식
파일:Pp 7791 1.jpg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전구간 개통식

DaeJeon Express Transit Line 1
대전광역시의 첫번째 도시철도 노선. 지하철 운영 규모나 시스템적 측면에서 광주광역시광주 도시철도 1호선과 비슷하다. 물론 승객 수는 그렇지 않다. 게다가 역 선정은 광주보다 엄청 개념있다.

왜 역선정이 개념있다는지 이걸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참고로 검은선이 노선, 분홍색이 수요처) [1]

다만 대전 도시철도 1호선도 서대전역이나 충남대학교를 근소한 차이로 비껴간다던가, 대전복합터미널과의 연계가 안 되는 등의 단점은 존재한다.

2 차량

P1310462_copy.jpg
차량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서도 같이 사용 중인 한국형 표준 전동차를 사용하며, 4량 1편성에 차량간 문이 없고, 중형이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전동차보다 작다. 때문에 서울특별시에서 온 사람들은 약간의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단, 인천광역시 사람들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중형 전동차라 대전 1호선을 타도 컬쳐쇼크는 없을 듯.근데 열차가 4량인 것에 대한 컬쳐쇼크는 크다.[2] 이것도 이제 옛말인게 2량인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하면서 4량 전철이 그리 놀랍지 않게 보일수도 있다. 맨 끝에서 타던 습관이 있는 사람의 경우 헐레벌떡 뛰어가는 광경도 볼 수 있다. 가만, 서울 지하철 9호선도 같은 모델인데? 거긴 대형이고 여긴 중형이잖아

또한 4량임에도 6량 구조로 설계된 승강장에 전동차가 맨 앞에 정차하여 승강장 맨 뒷편으로 내려올 경우 승강장 앞으로 가야 탈 수 있다. 비슷한 구조인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승강장 앞뒤 2칸을 비워두고 가운데에 정차한다.

경부선통영대전고속도로 판암TG와 마주보고 있는 판암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관할하며, 세종특별자치시 경계 인근의 유성구 외삼동 소재 외삼차량사업소에서는 경검수만 된다. 현재는 21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3 승강장

승강장의 형태는 종점인 판암과 반석이 3선 2섬식, 중앙로를 제외한 구도심 구간인 대동-서대전네거리 구간은 섬식, 둔산신시가지, 노은택지지구를 지나는 구간인 오룡-지족 구간과 신흥역은 상대식, 그리고 구도심은 중심인 중앙로역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외대앞역과 같은 쌍섬 상대식 승강장이다.

4 역사

1991년 도시철도건설계획이 수립되기 시작할 당시만 해도 5호선까지의 계획이 있었으나 수요예측상의 이후로 3호선으로 검토되었다. 이후 1996년 착공했고 연기에 연기를 거듭해[3][4] 2006년 3월 16일에 판암역[5]정부청사역[6] 사이의 구간을 1차로 개통하여 운영, 이후 2007년 4월 17일에는 정부청사역 ~ 반석역[7]까지의 잔여구간을 개통하여 운영하고 있다.

5 기타

참고로 역의 총 개수는 22개다.(어?) 고향의 지하철에서도 까이는 그 분 그리고 충청권 광역철도에 따라 오룡역용문역 사이에 가칭 용두역 또는 유등천역을 추가할 계획이 있다.
개착식 공법으로 공사했기 때문에 역 추가가 가능하다.

대전도시철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

- 선불교통카드 : 티머니 (한꿈이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

- 후불교통카드 : KB국민카드, 롯데카드(MT형, T형), 신한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 우리은행, 현대카드(MT형, T형), BC카드, 삼성카드.


- 역 내에서 충전 가능한 교통카드 : 티머니.

구형 한꿈이카드에서 2011년 신형 한꿈이카드 (티머니) 로 바꾼 후에는 다른 선불 교통카드를 개방하지 않다가 2014년 12월에 코레일레일플러스, 광주광역시한페이를 개방하여 호환 사용을 개시했다. 하지만 캐시비대전광역시에서 아직 사용할 수 없으며, 대전광역시캐시비 사용이 안 되는 유일한 광역시다.[8]

캐시비와 비슷한 롯데계열사인 한페이가 호환되었으니, 캐시비도 조만간 호환되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있지만, 아직까지 호환 예정이 없다. 하나은행롯데와의 협상이 잘 이뤄지지 않은 듯하다. 그러나 한꿈이카드티머니와 똑같은 카드나 다름 없고 티머니가 전국적으로 워낙 잘 돼 있어서 과거 광주광역시 대중교통에 티머니, 캐시비를 사용할 수 없었던 것만큼의 큰 문제점으로 꼽히진 않은 듯하다. (물론 지금은 광주광역시 대중교통에 티머니, 캐시비 모두 가능하다. 올..)

여담으로 대전광역시광주광역시간 호환되는 교통카드가 전혀 없어 대전과 광주를 자주 오가는 시민들이 오랫동안 큰 불편을 겪었다고 한다. 또한 후불교통카드도 일부에선 대전과 광주간 호환 사용할 수 없었다. (T형과 M형으로 구분된 후불카드)

현재는 광주광역시 교통카드인 한페이가 2014년 12월 대전에서 호환되었고, 티머니도 2016년 1월 광주에 호환돼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됐다.[9]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와 무료환승이 가능하며, 하차 후 30분 이내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최대 3회까지 환승이 가능하나, 지하철 - 시내버스 - 지하철은 불가능하다.

판암역에서 세천공원으로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이왕 하는 김에 동쪽 경부선 선로로 더 빼서 옥천군으로 연장 콜? 근데 이 기사 나온지 벌써 5년이 지났다.

세종특별자치시행정중심복합도시 주민들은 지지부진한 도시 교통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이 노선을 유성구 반석역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까지 연장해달라고 하고 있으나, 도시철도 2호선으로도 버거운 대전광역시 입장에서는 1호선 연장은 무리. 가능성이 거의 없다. 2016년에 세종시장과 대전시장에 따르면 연장 계획이 있다고는 밝혔다.

사족으로 수도권 전철역명과 겹치는 역명이 4군데이다(신흥, 시청, 용문, 월드컵경기장). 또한 시청역은 부산 도시철도와, 구암역은 대구와 중복.

참고로 대전도시철도 안내방송을 담당하고 있는 도로시 남은 한때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일부역[10]의 안내방송을 담당했었으나, 개정되면서 물러나 버렸다. 그 후 한국어 담당인 은영선 성우는 그 개정으로 인하여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전구간 안내방송을 담당하게 되었다.

원래는 멜로디가 아닌 그냥 띠리리리리리리리 소리나는 효과음을 썼었으나 나중에 멜로디로 바꿨는데 열차 진입 멜로디는 반석 방면은 사계 가을 1악장을 쓰고있지만, 반대 방면 판암 방면은 동요 옹달샘[11]을 사용하고 있다.

2013년부터 안내방송 톤이 약간 올라갔다. 광주는 구동음 톤 올리고 대전은 안내방송 톤을 올리다니... 기발한데?

2010년 서대전네거리역에서 한 지체장애인이 엘리베이터 문을 3번 들이받고 떨어져 죽고 다윈상을, 그것도 1등상을 수상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반석역에서 정부세종청사까지 13.6km를 연장할 계획에 있으며 수도권에 이어, 부산, 대구와 함께 광역철도 노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6 역 목록

역번역명승강장소재지환승
형태횡단
1010.00판 암(대전대)板 岩(大田大)│■│■│동구
1020.94신 흥新 興■││■
1032.16대 동(우송대)大 洞(又松大)│■│2호선
1043.17대 전大 田│■│
1054.00중앙로中央路│■│■중구
1064.70중구청中區廳│■│
1075.54서대전네거리西大田네거리│■│2호선
1086.32오 룡五 龍■││■
용 두龍 頭광역철도
1097.82용 문龍 汶■││■서구
1109.02탄 방炭 坊■││■
1119.77시 청市 廳■││■
11210.76정부청사政府廳舍■││■2호선
11311.51갈 마葛 馬■││■
11412.26월 평(한국과학기술원)月 坪(韓國科學技術院)■││■
11513.30갑 천甲 川■││■
11614.59유성온천(충남대·목원대)儒城溫泉(忠南大·牧園大)■││■유성구2호선
11715.63구 암九 岩■││■
11816.47현충원(한밭대)顯忠院(한밭大)■││■
11917.53월드컵경기장(노은도매시장)월드컵競技場(老隱都賣市場)■││■
12018.34노 은老 隱■││■
12119.49지 족(침신대)智 足(浸神大)■││■
12220.47반 석盤 石(七星臺)│■│■│
  1. 대전역, 중앙로역 인근의 으능정이 문화거리, 둔산신도시, 유성온천, 대전월드컵경기장 등 주요 수요처는 거쳐주기 때문에 적어도 기본만큼은 해준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광주의 핵심 중 하나인 유스퀘어(고속터미널)를 경유하지 않는 광주와는 비교가 불가능한 정도.(...)그 전에 광주에 있는 노선은 수요가 될 만한 곳은 거의 다 피해간다.
  2.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8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3. 외환위기가 터지는 바람에 연기된 것이다 아니면 코레일 타임과 IMF의 크로스오버
  4. 사실 건설 초기에만 해도 "지하철 타고 2002 한일 월드컵 보러 가자!"가 캐치프라이즈였으나... 결국 2002 월드컵은 커녕 완전개통일 기준으로도 지하철 타고 2006 월드컵 응원하러 가지도 못했다. 2022년 월드컵이 대한민국에서 개최되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는 것인가. 하지만 망했어요. 그럼 이거라도...
  5.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6.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7. 대전광역시 유성구 반석동
  8. 캐시비 뿐만 아니라 롯데에서 개발한 교통카드 (마이비카드, 이비카드, 하나로카드) 는 모두 이용이 불가능하다. 물론 이들 카드가 캐시비로 합병된 거나 다름 없기 때문에 이제와서 호환돼도 큰 의미는 없겠지만 대전 주변의 충청남북도와 전라북도는 마이비카드를 거쳐 캐시비까지 호환되고 있고 충청권에서 사용하는 캐시비마이비카드로 대전에서는 안 되니 분명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물론 대전에서 사용하는 한꿈이카드면 대전과 인근 세종/충청/전북 다 되니 "충청권에서도 한꿈이카드 쓰세요~" 인 듯..
  9. 2011년 이전에 구입한 구형 한꿈이카드는 광주광역시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빛고을 마이비카드로도 대전광역시에서 사용할 수 없다. 대전이나 광주나 2011년 이후에 출시된 신형 교통카드로 이용해야 한다.
  10.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상봉역, 김포공항역
  11. 반주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