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Of Battle : World War II

1 개요

팬저 제너럴과 그 계보를 잇는 팬저 콥스의 후속작. 다만 일정 전투후 개별적으로 보급을 해야하던 전작들과 달리 Unity of Command에서 병참보급선 개념을 도입했고 도하공병 등 일부 시스템이 간소화됬다.

본래는 팬저 제너럴 1의 자매작 중 하나인 퍼시픽 제너럴처럼 태평양 전쟁만 다루는 오더 오브 배틀: 퍼시픽으로 발매되었으나, 중일전쟁미 해병대를 다루는 DLC 이후 겨울전쟁 DLC가 등장하면서 기본 게임은 무료로 풀렸다. 단, 게임 클라이언트만 무료로 풀린 것이고 실제 미션은 대부분 유료로, 무료버전은 각 캠페인의 첫 미션만 맛보기로 실행가능하고 결국 캠페인 맵 자체를 구매해야한다.

영국 본토 항공전을 배경으로 한 공식 모드가 있다. 이때문에 차후 독일군을 배경으로 한 DLC가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겨울전쟁 DLC의 후반부에 독일군이 주적으로 등장하기도 하고 차후 DLC 예고에 전격전이 등장했다.

2 등장 국가

  • 미국
  • 일본
    • 특화능력1
- 반자이 - 보병과 해병이 반자이 돌격 모드로 전환가능하며 더 큰 피해를 감수하고 적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 무사도 - 보급이 끊긴 아군을 공격할때 적이 더 큰 피해를 받는다.
  • 특화능력2
- 강제징용 - 보급이 완전히 끊기고 효율이 0% 상태인 적병을 공격하면 증원 포인트가 추가된다.
- 도쿄 익스프레스 - 접안한 구축함과 잠수함이 아군에게 제공하는 보급품 수량이 1 증가한다.

3 등장 병과

3.1 정찰

한번 이동 후에도 이동거리가 남아있으면 다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적 매복지점으로 예상되는 곳 앞에서 한번 훑고 가는 것으로 적의 매복공격을 예방할 수 있다.

  • 정찰 보병: 1CP. Marines(상륙시 사기 패널티를 적게 받음), Camouflaged(항공정찰이나 먼 거리의 적병에게 들키지 않음), Airborne(수송기에 탑승가능),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Supply Immune(아군 영역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Guerrilla(험지 이동시 패널티 없음), Quick Retreat(적은 데미지를 받을시 바로 후퇴함), No Entrenchment(요새화 불가), Flexible Pathing(한 턴에 2회 이동 가능)
  • 정찰 차량: 1CP. Supply Immune(아군 영역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Quick Retreat(적은 데미지를 받을시 바로 후퇴함), No Entrenchment(요새화 불가), Flexible Pathing(한 턴에 2회 이동 가능)
  • 정찰 장갑차: 2CP. Supply Immune(아군 영역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Quick Retreat(적은 데미지를 받을시 바로 후퇴함), No Entrenchment(요새화 불가), Flexible Pathing(한 턴에 2회 이동 가능)
    • 92식 오사카(일본)
    • 91식 수미다(일본): Rail Setup(유닛을 철로에 부착하여 철로를 통한 기동이 가능해진다.)
    • Sdkfz 222(중공)
    • BA-10(소련)
    • BA-20(소련, 중공)
  • 정찰기: 1CP. Supply Immune(아군 영역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Quick Retreat(적은 데미지를 받을시 바로 후퇴함), Flexible Pathing(한 턴에 2회 이동 가능)
    • Ki-15(일본)
    • 블랙번 리폰(핀란드)
    • 폴리카르포프 R-5(소련)
  • 함상정찰기:
  • 수상기: 1CP. Supply Immune(아군 영역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Quick Retreat(적은 데미지를 받을시 바로 후퇴함), Floatplane(항모나 비행장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Carrier-Based(항모에서 이착함 가능), Catapult-Launched(순양함이나 전함에서 이착함 가능), Flexible Pathing(한 턴에 2회 이동 가능)
  • 비행정: 2CP. Minelayer(지뢰/기뢰 부설가능), Supply Immune(아군 영역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Quick Retreat(적은 데미지를 받을시 바로 후퇴함), Floatplane(항모나 비행장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Flexible Pathing(한 턴에 2회 이동 가능)

3.2 보병

대부분 Concealable 트레잇을 달고 있어서 숲, 시가지와 같은 은폐지점에 숨으면 항공정찰을 피할 수 있다.

  • 징집병: 가격 성능 모두 저렴한 보병. 주로 필리핀군, 중국군 등의 현지군들이 주로 사용한다.
    • 징집병(미국, 필리핀)
    • 빨치산(중국, 중공)
  • 보병: 3CP,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Light Tread(험지 패널티를 적게 받음)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보병.
  • 37년형 보병
  • 41년형 보병
  • 중보병: 4CP,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지상군 보급품을 더 많이 먹으나 화력이 조금 더 강력하고 박격포 지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보병에게 달려있는 Light Tread(험지 패널티 경감)가 없어서 이동력이 떨어지므로 차량화를 통해 보완해야 하는데 그러면 보급품을 전차와 동급으로 퍼먹게 된다. 또한 공격작전보다는 방어작전때 더 유용한데, 미국의 경우 대보병 방어력이 공격력보다 4나 높아서 시가지 등에 자리깔고 참호까지 파면 MG로 공격자를 학살해대기 때문에 공병을 동원해서 뚫는 수밖에 없다. 일본의 경우 동일 연도의 중보병이 미국보다 대보병 방어력이 2나 떨어진다(...)
  • 37년형 중보병
  • 41년형 중보병
  • 해병대: 3CP, Marines(상륙시 사기 패널티를 적게 받음),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Guerrilla(험지 이동시 패널티 없음)
상륙돌격과 험지이동시, 보급선이 끊겼을때 사기 저하가 적고 자체 전투력도 출중해서 자원이 넉넉하다면 코어병력으로 활용하는것도 고려할만하다. 단, 대전차 전투에는 일반 보병보다 약한게 흠.
  • 41년형 해병대
  • 스키 부대: 3CP, Guerrilla(험지 이동시 패널티 없음)
핀란드 전용병과
  • 공수부대: Airborne(수송기에 탑승가능), Demolition(보급고와 교량을 폭파 가능),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Quick Entrenchment(참호를 더 빠르게 팜)
비행장에서 수송기를 이용해 공수강습이 가능해진다. 폭약을 소지하고 있어서 후방교란에 투입이 가능하다.
  • Airborne(미국)
  • Teishin-Dan(일본)
  • Paratrooper(그외)
  • 공병: 2CP. Demolition(보급고와 교량을 폭파 가능), Bridge Builder(가교 설치가능),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Mine-Sweeper(지뢰 제거가능), Mine-Layer(지뢰/기뢰 설치 가능), Digger(이 유닛과 인접한 병력은 참호 파는 속도가 빨라짐), Infrastructual Repair(적에 의해 파손된 보급고를 복구 가능)
요새화 진지 돌파, 전략자산 폭파, 지뢰 설치/제거, 가교 설치 등의 작업을 전담한다. 전작 팬저 콥스에서는 전투공병과 교량공병이 나뉘어 있었지만 이번작에서는 통합된 상태. 대보병 공격력이 참호깔고 틀어박힌 적에게는 더 크게 들어가므로 적 거점을 공략할때 돌격부대로 사용하는데 좋다.
  • 41년형 공병
  • 특공대: Marines(상륙시 사기 패널티를 적게 받음), Camouflaged(항공정찰이나 먼 거리의 적병에게 들키지 않음), Airborne(수송기에 탑승가능),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Supply Immune(아군 영역으로부터 보급품을 소모하지 않음), Guerrilla(험지 이동시 패널티 없음), Quick Retreat(적은 데미지를 받을시 바로 후퇴함), No Entrenchment(요새화 불가), Special Ops(자신의 턴에 공격해도 반격받지 않는다.)

상대편 보병이 인접해야만 볼수 있으며 공수부대보다도 더 폭파공작에 특화되어있다.

  • 해병 특공대(미국)
일본군, 중국, 중공군 전용병과. 보병을 상대로 거의 경전차처럼 운용할 수 있는 병력, 37년 기준으로 일반 보병들보다 대보병 공격력이 높다.

3.3 전차

  • 중형전차: 5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중전차: 7CP. Heavy Treading(험지 패널티를 크게 받음),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3.4 대전차포

  • 대전차 견인포: 2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37mm M1(미국): Anti-Air Mode(대공포 전환 가능),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 37mm M3(미국),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같은 가격의 경대전차포이나 M1의 경우 대공포로 전환이 가능하고 M3은 이동거리가 길다.
  • 98식 20mm(일본): Anti-Air Mode(대공포 전환 가능),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 94식 37mm(일본, 중국, 중공):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 88식 75mm(일본): Anti-Air Mode(대공포 전환 가능)
  • 90식 75mm(일본): +1CP, Artillery Mode(곡사포 전환 가능)
  • 37mm Pak 36(중국, 중공):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 45mm M1937(소련, 중국, 중공)
  • 47mm Cannone da 47/32 M35(중국, 중공)
  • 37 PstK/36(핀란드):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 대전차 자주포: 5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M3 75mm GMC(미국): Artillery Mode(곡사포 전환 가능)
야포로써는 거의 박격포 급으로 데미지가 영 좋지 않으나 곡사포-대전차포로 빠른 교환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3.5 곡사포

  • 견인포: 2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M1 75mm(미국):
    • 105mm M2A1(미): +1CP
    • 70mm 92식(일본, 중국, 중공)
    • 75mm 41식(일본)
    • 90식 75mm(일본)
    • 75mm 크루프 M1908(중국, 중공)
    • 76 K/02(핀란드)
    • 76mm M1927(소련)
    • 76.2mm M1939(소련)
  • 자주포: 5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M3 75mm GMC(미국): Anti-Tank Mode(대전차포 전환 가능)
    • 203mm M1931(소련): Heavy Treading(험지 패널티를 크게 받음)
  • 열차포
    • Artillerie-Batterie 701(E)(독일)

3.6 대공포

  • 대공 견인포: 2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37mm M1(미국):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Anti-Tank Mode(대공포 전환 가능)
    • M1A1 90mm(미국)
    • 98식 20mm(일본): Anti-Tank Mode(대공포 전환 가능), Concealable(특정 지형에 숨을 수 있음)
    • 88식 75mm(일본): Anti-Tank Mode(대공포 전환 가능)
    • 75mm 보포스 M1929(중국, 중공)
    • 37mm M1939(소련)
    • 85mm M1939(소련)
    • 2cm Flak 38(독일)

3.7 수송차량

병력이 장거리 이동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단, 전투력은 없는것이나 다를바 없으므로 적군이 접근할수 있는 범위 밖에서 병력을 준비하는 용도로 쓰는것이 좋다. 보병의 경우 없어도 걸어다니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고 특정 병종은 차라리 없는 것이 더 도움될 수도 있는데, 견인포의 경우 못해도 우마차를 써야 할 정도로 포병의 기동성이 극악하다.

  • 마차: 1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견인포병의 이동거리를 보완할 정도로 이동거리가 긴 편이나 보병은 이용할 수 없다.
  • 트럭: 1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스투드베이커 트럭(미국)
    • 94식 트럭(일본)
  • 하프트랙: 1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트럭보다는 적 공격에 잘 버티나 어쨌든 근본이 트럭이니 개돌시키지는 말자.
  • M3 하프트랙(미국)
  • APC: 1CP,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98식 소다(일본)
  • 상륙장갑차: Swimmer, Amphibious, Limited Awareness(은신한 보병이나 지뢰지대를 감지할 수 없다)
  • LVT-1(미국)
  • DWUK(미국)

3.8 전투기

주로 공대공 전투를 전담하는 기체이다.

  • 육상전투기: 3CP
    • F2A 버팔로(미국)
    • P-40 워호크(미국)
    • Ki-10(일본):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Ki-27B(일본)
    • Ki-43 하야부사(일본):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호커 허리케인 Mk.I(영국)
    •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영국)
    • 브리스톨 보파이터(영국)
    • 볼턴 폴 데피안(영국)
    • 매서슈미츠 Bf109E-7(독일)
    • 매서슈미츠 Bf110(독일)
    • 호크III(중국):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폴리카르포프 I-153(소련, 중국):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폴리카르포프 I-16(소련, 중국):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중국):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포커 D.XXI(핀란드):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함상전투기: 3CP, Carrier-Based(항모에 이착함 가능)
    • F3F 와일드캣(미국)
    • F4F 와일드캣(미국)
    • A4N1(일본):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A5M2(일본):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A5M4(일본):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 A6M2 제로(일본): Dogfighter(전투기와 전술폭격기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

3.9 전술폭격기

주로 적 지상/해상 유닛에 대한 직접공격을 담당하는 기체이다.

  • 육상폭격기: 3CP
    • B-25G 미첼(미국)
    • Ki-3(일본)
    • Ki-30(일본)
    • Ki-48(일본)
    • Ki-51(일본)
    • 융커스 Ju 87 슈투카(독일)
    • 융커스 Ju 88(독일)
    • 벌티 V-11(중국)
    • 포커 C.X(핀란드)
  • 함상폭격기: 3CP, Carrier-Based(항모에 이착함 가능)
    • TBD 데버스테이터(B)(미국): Torpedo Capacity(뇌장으로 전환 가능)
    • TBF-1 어벤저(B)(미국): Torpedo Capacity(뇌장으로 전환 가능)
    • SBD 돈틀리스(B)(미국)
    • D1A(일본)
    • D2A(일본)
    • B5N2 칸코(B)(일본): Torpedo Capacity(뇌장으로 전환 가능)
    • D3A 칸바쿠(B)(일본)
  • 함상공격기: 3CP, Carrier-Based(항모에 이착함 가능), Torpedo Launcher(3턴마다 뇌격 가능)
    • TBD 데버스테이터(T)(미국): Bomb Racks(폭장으로 전환 가능)
    • TBF-1 어벤저(T)(미국): Bomb Racks(폭장으로 전환 가능)
    • B5N2 칸코(T)(일본): Bomb Racks(폭장으로 전환 가능)

3.10 전략폭격기

적 유닛에 대한 공격력은 떨어지나 사기충격이 뛰어나고 폭격지점이 적 보급고일 경우 적 병참능력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적은 수의 보급고만 가지고 고립된 적에게 유효한 편.

  • 전략폭격기: 3CP
    • B-17E 플라잉 포트리스(미국): Mine-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 B-25B 미첼(미국): Mine-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 B-25C 미첼(미국): Mine-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 B-26A 머라우더(미국): Mine-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 A-20C 하복(미국): Mine-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 G3M 릿코(일본): Mine-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 G4M1 하마키(일본): Mine-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 브리스톨 블렌헤임 Mk.I(영국, 핀란드)
    • 빅커스 웰링턴(영국)
    • 하인켈 He 111(독일)
    • 하인켈 He 111A(독일, 중국)
    • 도르니에 Do 17
    • 투폴레프 SB 2(소련, 중국)
    • 일류신 DB-3(소련, 중국)

3.11 구축함

자체 전투력은 떨어지나 연안에 들어갈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을 이용해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함대의 일꾼. 일정 턴마다 어뢰를 발사가능하다. 또한 아군끼리 인접해있으면 대공사격을 하지만 자체적으로 적기를 공격할 수는 없다.

  • 고속정: 2CP, Concealable(특정 지형에서 은폐 가능), Planing Hull(뇌격당하지 않는다)
    • PT 보트(미국), Torpedo-Launcher(일정 턴마다 뇌격 가능)
    • MO-2 경비정(소련), Sonar(적 잠수함 발견 가능)

3.12 순양함

주력함급이나 전함보다는 약간 모자라는 성능을 가격과 물량, 속도로 상회하는 함급이다.

  • 지원함: 3CP, Mine-Sweeper(지뢰/기뢰 제거 가능), Mine Layer(지뢰/기뢰 부설 가능), Healer(자신과 같은 계통의 유닛을 치료/수리 가능)

3.13 전함

가장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주력함으로 함대함 수상전에서만큼은 누구보다 강력하지만 그만큼 느리고 약점이 많아 호위할 함선이 확실히 일해야 한다.

3.14 항공모함

함재기의 수납이 가능한 함선으로 자체적인 공격능력은 구축함 미만 수준이고 느려터졌지만 함재기를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공격 반경은 가장 좋다. 물론 그만큼 몸값도 많이 먹는 편.

3.15 잠수함

수중에 숨어다닐수 있으나,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연안을 이동할때는 부상하게 되므로 발각당할 위험이 커진다. 구축함의 소나를 제외하면 사실상 천적이 없긴 하지만 어뢰의 쿨타임이 기므로 조심하는게 좋다.

  • 잠수함: 3CP, Submerged(수중에 숨을 수 있다), Limited Awareness(지뢰나 숨은 적을 발견할 수 없다), Torpedo Launcher(몇턴에 한번씩 어뢰를 발사가능)
    • 탬버급(미국)
    • KD 6(일본)
    • 갑표적(일본)

4 전략전술 및 팁

주로 유럽전선이 배경이었던 전작과 달리 여기서는 주요 전장이 아시아 및 태평양이 되었는데다가 병참라인 관리에 전작과 다른 시스템을 사용했으므로 대규모 기동전보다는 병참관리와 보급선 확보의 중요성이 더 중요한 편이다. 특히 이번작에서는 병참라인이 사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보급망에 크게 의존하는 기간병력들은 보급선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돌파를 위한 제대는 기동이나 차단, 연속적인 전투에 의한 효율 저하가 적은 정예병들을 동원하는 것이 좋다.

병참라인은 한 지역에 연결된 VP에 설치된 보급창이 제공하는 숫자의 합에서 현재 병력이 가지고 있는 커맨드 포인트(CP)만큼의 숫자를 소모한다. 따라서 포위기동으로 인해 보급창간 연결이 끊기거나 전략폭격에 의해 보급창의 기능이 감소하면 연결된 병력들의 보급효율이 감소하고 이는 전투력의 감소로 이어진다.

병력의 사기는 해당 병력이 정글, 산지같은 험지를 통과할때, 상륙할때, 전투할 때 등에 소모되며, 사기가 심각하게 소모된 병력은 아무리 지시를 내려도 제대로 공격하지 않는다. 이런 병력들은 병참라인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1턴간 공격받지 않고 움직이지도 않으면 완전히 회복하므로 상황에 따라 소모된 병력을 후방으로 빼줄 필요가 있다.

5 캠페인

5.1 부트 캠프

"유럽에서 새로운 대전쟁이 발발한 이후, 미국은 중립으로 남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그와는 별개로 지금은 육군, 해군, 공군과 해병대의 인적 자원이 무엇보다도 중요해졌다. 이에 어느 외딴 군도에서 강도높은 워게임과 군사훈련을 개시하기로 결정되었다.

기본적인 튜토리얼 성격의 캠페인. 미군 기반의 가상적을 상대한다.

  • Boot Camp Island
    • 주요 목표
주요 VP를 장악하라
25턴 이전에 목표를 완수하라
  • 보조 목표
적부대를 8부대 격파하라
(적부대 격파시 증원 포인트가 제공됨)

가장 기본적인 조작과 전술 등을 배우는 임무.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적병들을 전멸시키고 모든 VP를 장악하면 된다. 이 게임은 단순히 적을 포위하는게 좋은게 아니라 보급선으로부터 차단된 병력들이 심각한 패널티를 받으므로 무리해서 단순한 포위망을 만들다가 역포위 당하는것보다는 적 보급망을 끊는 쪽에 치중하는것이 좋다.

  • Island Hopping
    • 주요 목표
주요 VP를 장악하라.
  • 보조 목표
레드팀 경순양함을 격침하라
(다음 훈련에 레드팀에 경순양함이 등장하지 않음)
레드팀 공수부대 비행장을 점령하라
(적 공수강습이 중단된다)
(공수부대 두 부대가 다음 훈련에 참가함)
모든 VP를 점령하라
(VP 점령시 추가 증원포인트가 제공됨)

공병이 해금되며 해군을 처음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미션은 상륙전과 도하작전이 주가 되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배치된 코어 보병들을 해병으로 업그레이드해두는 것이 좋다. 주로 해병대는 상륙하자마자 선봉 돌격용으로, 공병은 요새화된 진지를 공략하는데 사용하게 되고 제공되는 중보병은 중요한 길목에 참호를 파고 아군이 또한 레드 팀은 아군의 보급창을 점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공수부대를 보내므로 공수부대가 낙하한 것이 확인되면 근처 보급고에 대기중이던 코어유닛을 배치해둘 필요가 있다. 또한 상륙거점에는 반드시 보급함을 배치하고 충분한 수의 보급고를 점령할때까지 보급함이 해안에 대기해야 한다.

  • Fleet Command
    • 주요 목표
적 전함을 격침하라
주요 VP를 점령하라
  • 보조 목표
아군 항공모함을 보호하라
(다음 훈련에 항공모함이 참가한다.)
적 항공모함을 모두 격침하라
(PBY 카탈리나가 코어 유닛으로 추가된다.)
적 해안포대를 파괴하라
(각 포대가 파괴될때마다 추가 증원포인트가 제공됨)

해전이 주가 되는 임무이다. 시작하자마자 레드팀 구축함들이 아군 순양함에 어뢰를 쏘려고 다가오니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명중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구축함들을 전멸시키고 나면 우선은 해안포대 하나를 파괴하여 전방수리거점을 확보하고서 군도 너머에 있는 첫 항모와 연안에 있는 두번째 항모를 제거할 경우 PBY가 제공되면서 시야확보가 굉장히 편해진다. 레이더 거점과 수리기지 및 비행장을 확보하고 나면 적 소형함들을 상대하는 동안 함재기들이 전함에 달라붙어 일점사하면 승리할 수 있다.

  • War Games
    • 주요 목표
주요 VP를 점령하라
  • 보조 목표
10턴안에 보급고 2곳을 점령하라
(지상군 CP가 5 증가한다.)
비행장 2곳을 점령하라
(B-17 플라잉 포트리스 2기가 증원군으로 합류한다.)

대규모 상륙작전과 기동전이 주가 되는 임무이다. 보조 목표가 10턴의 시간제한이 있으므로 섬의 서북쪽에 대규모로 상륙을 감행한 뒤 위아래의 보급고를 목표로 잡고 공격한 뒤, 보급고의 점령이 끝나면 가운데에 대거 포진해있는 적 진지를 포위섬멸하면서 비행장의 점령을 진행할 수 있다. 2번째 미션에서 공수부대 비행장을 점령할 경우 그린 팀에 공수부대 두 부대가 추가되므로 섬 맨 아래의 보급고를 공수강습으로 점령하는 것으로 더 쉽게 진행이 가능하다.

적들은 전반적으로 요새화가 잘 된 상태이므로 이쪽도 가급적 코어 유닛으로 해병대와 공병, 전함이나 전술폭격기 등을 가능한 많이 보유해두면 더 유리해진다. 마지막 VP를 점령할 경우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했다는 소식과 함께 튜토리얼이 끝난다.

5.2 The Rising Sun

"일본 제국해군은 진주만에 정박한 미 태평양함대를 공격할 준비가 되었다. 일본군의 공세에 미국이 개입하는 것을 늦추기 위한 이 공격은 총력전의 첫 단추일 뿐이다."
18턴 동안 오아후 섬을 집중공격하라
  • 보조 목표
적기 8기를 격추하라
(일본군 항공전력에 전투기 에이스가 합류한다)
연료 보급고 3곳을 파괴하라
(한동안 차후 미국의 해상전력이 약화된다)
전함 3척을 격침하라
(한동안 미국의 전함이 행동을 개시할 수 없다)
아군 항공기를 한기보다 많이 손실하지 마라
(차후 일본 해군의 보조 파일럿 전력의 숙련도 손실이 벌어지지 않는다)
미군 정찰기의 탈출을 막아라
(미군이 일본 기동부대를 발견할 경우 반격이 개시될 것이다)

적의 비행장은 6시의 진주만 항구와 3시, 9시 방향에 있으며 이곳에서 종종 전투기와 보조 목표중 하나인 수상기가 이륙하므로 제로센 한기씩을 3시와 9시에 감시목적으로 두는게 좋다. 뇌격기를 진주만에 포진한 전함 바로 앞에 두면 어뢰를 발사할 수 있으며 두번의 뇌격으로 전함은 빈사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죽지 않았다면 급폭기로 마무리하는편이 유리하며, 진주만에 갑표적이 침투해오긴 하는데 딱히 전함에 그리 강력하진 않고(...) 한번에 두칸씩 움직이면서 진주만을 빠져나오려 하는 전함의 움직임을 봉쇄하여 뇌격기의 쿨타임을 벌 수 있다.

6시에 집중공격을 마치고 나면 남은 폭격기들은 전부 3시방향의 적 연료보급창을 폭파하고 상황이 허락한다면 주기된 적 항공기까지 폭격으로 폭파하면 격추수에 가산된다.

  • Road to Manila
    • 주요 목표
모든 주요 VP를 점령하라.
  • 보조 목표
35턴 안에 주요 목표를 완료하라
(바탄반도의 초기 방어가 약해진다.)
12턴 안에 클라크 비행장을 무력화하라
(적 항공전력이 크게 약해진다)
10턴안에 주요도로를 잇는 교량 두곳을 점거하라

보조목표의 시간이 굉장히 촉박하기 때문에 보조목표인 교량을 점거하러 가는 병력과 주요목표인 VP를 점거하러 가는 병력의 배치를 나눌 필요가 있다. VP는 주로 제대로 참호를 파놓은 중보병이 시가지에 틀어박혀서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가급적 적의 요새화 레벨을 깍을 수 있는 공병과 함께 해군 육전대나 공정단, 적의 모랄을 깍는 포병 정도가 필요하며 교량의 경우 거의 미군 진영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급적 벙커들을 밀어버린뒤 적의 저항을 최소한도로 돌파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경전차나 차량화된 보병+공병 위주의 별동대를 쓰는 쪽이 추천된다. 비행장의 경우 체력은 그리 높지 않지만 중간에 적의 대공포병을 만나 피해를 볼 가능성도 있으므로 코어 병력에 정찰기를 추가하는것도 나쁜 선택이 아니다.

문제는 이걸 고급 병력으로 도배하면 증원 포인트의 부족이 체감되기 때문에 소수의 공정단이 길가에 난 풀을 뜯어먹으며 진격해야 하는(...) 참사로 이어질 수 있으니 초기에는 별동대에 투자를 더 해주고 도시 점령은 알보병으로 하는 쪽이 나을 수도 있다. 교량의 점령이 완료되면 주요목표 네개 중 둘은 일본군에게 포위되는 형국이 되고 나머지는 강을 뒤에 끼고 배수진을 치는 형태가 되므로 다시 공병을 통해 중보병 진지를 돌아서 적 대전차/대공포를 직접 타격할수 있게 만들면 이후는 꽤 여유롭게 클리어할 수 있다.

  • Battle of Bataan
    • 주요 목표
모든 주요 VP를 점령하라
  • 보조 목표
Mariveles를 30턴 안에 점령하라
(사령부에 추가 자원이 배정된다)
코레히도르섬을 점령하라
(자바섬 전투에서 지상군 CP가 늘어난다)
요새 포대를 보병으로 파괴하라
(미군의 요새 포대를 점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임무 종료시까지 수송선은 최소 2척 이상 살아남아야 한다.
적함을 전부 격멸하거나 패퇴시켜라
  • 보조 목표
모든 적함을 격침시켜라
(다음 자바 섬 침공 미션에 적 해군이 적게 등장한다.)
모든 수송선과 보급함을 보호하라
(다음 자바 섬 침공 미션에 지상군 CP가 더 많이 배정된다)
발리 침공부대를 잃지 마라
(공군 CP 추가됨)
ABDA 함대 기함 드 로이터를 격침하라
(제국해군에 증원 자원이 추가됨)
  • Java
    • 주요 목표
수송트럭 10기를 파괴하라
바타비아를 점령하라
Kalidjati 비행장을 점령하라
  • 보조 목표
30턴 안에 주요 목표를 완수하라
(지휘부에 자원이 더 많이 배정된다)
10턴안에 바타비아를 점령하라
(바타비아 교외에서 적 장비를 노획할 수 있다.)
25턴 안에 Kalidjati 비행장을 점령하라.
(작동하는 연합군 항공기가 노획되어 아군 코어 부대에 합류한다)
부서진 다리를 전부 복구하라
(엘리트 공병이 코어 부대에 추가된다)

5.3 U.S Pacific

"일본군의 집중된 기습공격을 연합군은 제대로 된 준비 없이 맞이했다. 이 혼란을 수습하고 승리로 가는 머나먼 여정에 참여하라."

5.4 Battle of Britain

영국 본토항공전 75주년 기념 시나리오

5.5 The Morning Sun

"천연자원, 식량, 노동력을 얻기 위해 수십여년 이상 지속된 일본의 아시아에 대한 공격적 확장정책은 결국 1937년 중화민국과의 전면전에 이르게 된다."

중일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라이징 선 캠페인의 프리퀄. 블릿츠크리그 DLC 발매예고와 함께 라이징 선과 부분 통합이 예고되어 있다.

5.6 U.S Marines

"산호해와 미드웨이에서의 해전 이후 미국은 태평양의 주도권을 다시 가지게 되었다. 원정군의 핵심으로써 해병대가 선봉에 설 것이다."

5.7 Winter Wars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지 3개월, 소비에트 연방은 중립국 핀란드에 전쟁을 선포한다. 레닌그라드 방위를 위한 영토 변화를 노리는 가운데 붉은 군대는 무장상태가 열악한 핀란드군을 상대로 빠른 승리를 거두리라 장담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