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VHS(video home system) 미디어
자기식 기록매체를 일컫는 통상적인 명칭. 흔히 비디오테이프라고 불린다.
8,90년대 비디오 대여점은 간판에 ○○비디오라는 명칭을 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00년대 초반 비디오 대여업이 대거 몰락하고 DVD와 도서대여가 복합화되는 형태로 변이되면서 과거와 같은 간판은 유물 수준이 되었다. 90년대 중반 기준 평균 대여료는 통상 1500원에서 2000원 선(1박 2일 기준), 신품 매입가는 2만~2만 5천원 정도였는데, 20년간의 물가상승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지금의 DVD와 큰 차이 없다. 당시 비디오 대여점업이 호황이었던 것을 짐작케 하는 부분.
또한 비디오라는 기록매체 특성상 자막이 붙박이 형식인데다 과거에는 검수를 대충 했는지 오역이나 비문 투성이고, 화질도 시간이 지나고 재생횟수가 많아지면 자연스레 열화되는 특징이 있었다. 무엇보다 자기가 입혀진 테이프가 씹혀버리면 가히 충격과 공포. 처럼 단점이 많았기에 2000년을 전후하여 DVD가 본격 보급되면서는 자연히 쇠락한다.
이후 블루레이도 나왔지만 이쪽은 당연히 개인소장을 전제하고 파는 고가의 물건이고 구동 플레이어도 제한적이어서 대여되는 일이 흔치 않은지라 과거 비디오 테이프와 현재 DVD의 대중성을 넘보진 못하는 편. 앞으로 기술이 더 발달하면 블루레이보다 좋은 매체도 등장할 법한데, 그 때가 되면 기본 사양인 DVD는 여전히 기본 스펙과 플레이어 보급, 저렴함을 무기로 살아남겠지만, 이도저도 아닌 어중간한 매체 블루레이는 비디오테이프처럼 몰락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 그 DVD도 미국에서 조차 클라우드 다운로드에 밀릴거라는데?
아무튼 비디오테이프는 이런저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지금 DVD로도 나오지 않은 과거 추억의 자잘한 작품들이 포진해 있고, 당시로서는 안방에서 원하는 영화를 마음껏 볼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가히 센세이셔널한 일이었다.[1] 지금도 유통중인 과거의 비디오 테이프 자켓들을 보면 실로 8~90년대식 아날로그 감성이 무엇인지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쨍한 화질의 DVD와 블루레이 대신 비디오 테이프 특유의 눅눅한 느낌에 오히려 매료된 키치적 감성의 보유자들도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쿠엔틴 타란티노.
참고로 과거 대한민국 꼬꼬마들의 화제를 풍미한 지구방위대 후뢰시맨 같은 추억의 고전 전대물들은 다 이 매체를 통해 전파되었다. 공중파 방영 전력 그딴거 없다. 드래곤볼 애니메이션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2] 그리고 TV로 방영되었더라도 웬만큼 인기를 모은 애니메이션은 시리즈 단위로 비디오 출시되기도 했다. 아직도 그 물건들을 취급중인 일부 대여점이나 중고 비디오 테이프 취급점에 가보면 그 시절 향수를 느낄 수 있다. 옛날 어린이들은이라는 광고는 거의 봤을것이다.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뻔히 보일 때 안 봐도 비디오 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그리고 요즘 시대엔 안 봐도 DVD, 안 봐도 블루레이라는 표현도 쓴다 라디오 스타를 죽인 살인범이기도 하다
아무튼 80년대 초반 당시 그야말로 혜성처럼 출현하여 00년대 중반까지 DVD와 블루레이를 위시한 미디어 매체 혁명 와중에도 꿋꿋이 버텨왔지만, 결국 큰 부피, 떨어지는 음질과 화질,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 아날로그식 재생의 까다로움, 자기테이프 씹힘 문제, 붙박이형 자막, 최대 재생시간 한계 등등 장점은 적고 온통 단점만 많았기 때문에[3] 2006년 일본과 미국에서는 생산라인이 멎게 되었고, 2010년 말 기준으로 코스모신소재라는 회사가 전 세계(!!!) 단독생산하고 있다. 코스모신소재에서도 생산을 그만둔다면, 이 매체로 녹화를 뜨던 것도 이젠 다 추억으로 남게 될 듯 했는데 2015년 코스모 신소재도 생산 중단하면서 이젠 정말 추억으로 남아버렸다. 그러나 30여년의 짧지도 길지도 않은 기간, 특히 최전성기인 90년대에는 전세계에서 정말 눈부시게 활약한 매체였다 할 수 있다. 지금은 영상을 케이블로 직접 전송받아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VOD든 어둠의 루트든), 신매체인 DVD와 블루레이조차 전성기 시절 비디오테이프와 같은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지는 못하고 있다.
결국 16년 07월, 마지막으로 남은 일본의 생산 업체가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2014년 3월 27일 방영분에서 애니메이션 비디오를 수집하는 쌍둥이 형제가 나왔다. 추억 돋는 비디오부터 정말 구하기 어려운 레어 비디오까지 다양하게 모아서 방으로 가득 채웠다.
비디오테이프 아니메/특촬 더빙 중단으로 인해, 속편의 일본 아니메/특촬 더빙은 케이블 단독더빙이 되었다....
비디오회사의 경고텔롭이 보고싶다면 [1].
80~90년대 매체를 보면 비디오가 동영상 녹화 소재라 그런지 자주 나왔는데 무려 1500여년 뒤 미래를 그린 은하영웅전설에서까지 비디오로 녹화하는 설정이 나와 2010년대에 본다면 웃음이 나올 듯 하다.(데그스비를 약물로 타락시킨 루퍼트 케셀링크가 녹화한 비디오 테이프를 보여주는 게 나온다.) 그밖에 7도시 이야기에서도 달 문명이 정체불명 바이러스로 전멸한 2136년(!?)에 이걸 녹화한 비디오 테이프를 지구로 보낸다...
1.1 비디오판만 더빙한 TV 아니메/특촬
※ 無印 : 일본작, ☆ : OVA, ★ : 일본작 이외의 해외작, ◎ : 극장판
- [[레슬러 군단 <은하편> 성전사 로빈 Jr.]]
- 쟝켄맨
- 슈퍼전대 시리즈 - 대전대 고글파이브, 초전자 바이오맨, 전격전대 체인지맨, 초신성 플래쉬맨, 광전대 마스크맨, 초수전대 라이브맨, 고속전대 터보레인저
- 형제권 바이크롯서
- 메탈히어로 시리즈 - 거수특수 쟈스피온, 시공전사 스필반
- 울트라맨 시리즈 - 울트라맨 타로, 울트라맨 80, 울트라맨 스토리, 극장판 슈퍼 에이트, 울트라맨 그레이트, 울트라맨 파워드
- 기타 특촬 - 슈퍼휴먼 사무라이 사이버스쿼드★, VR 트루퍼★, 슈퍼 인프라맨★, 무적천뢰매★, 황금동자 소야★, 쾌걸보이 아지★, 메가 보이저☆, 태공전사☆
- 나가하마 낭만 로봇 시리즈(달타니아스 제외)
- 은하선풍 브라이거
- 전국마신 고쇼군
- 초수기신 단쿠가
- 아기곰 미샤
- 슈퍼 빅쿠리맨
- 도미니온☆
- 명왕계획 제오라이마☆
- 환몽전기 레다☆
- 꿈차원 헌터 판도라☆
- 철권 친미
- 이스☆
- 타임보칸
- 황금전사 골드라이탄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기억하고 있읍니까◎
- 근육맨◎
- 허리케인 폴리마
- 프라레스 산시로
- 세인트 세이야
- 기동전사 SD 건담시리즈☆
- 버블검 크라이시스, 버블검 크래쉬(이상☆)
- 타이거 마스크 2세
- 초인전대 바라타크
- 신세기 에반게리온
- 파라솔 헨베에
- 우주대제 갓시그마
- 처음난 인간 갸톨즈
- 넥스트 전기 EHRGEIZ
- 은아 - 유성 긴
- 우주마신 다이켄고
- 마그네로보 가 킨
- 광속전신 알베가스
- 성서 아니메 3부작(아니메 친자극장, 톤데라하우스의 대모험, 퍼소컴트라벨 탐정단)
- 캡틴 츠바사
- 특장기병 돌북
- 글라스의 가면
- NG나이트 라무네40
- KO비스트 삼수세기
- 감바의 모험
- 캡틴 퓨쳐
- 겟타로보 → 겟타로보G
- 겐지통신 아케다마
- 긴급발진 세이버키즈
- 마그마대사☆
- 윈다리아
- 더티페아
- 아랑전설
- 미라클 쟈이안츠 도무군
1.2 지상파/케이블 더빙 전 비디오판 먼저(혹은 더빙 후 비디오판 나중)더빙한 TV 아니메/특촬
- 슬램덩크
- 절대무적 라이징오
- 드래곤볼, 드래곤볼 Z, 드래곤볼 GT
- 꿈의 별 버튼노우즈
- 꽃의 마법사 마리벨
- 크레용 신쨩
- 사이코아머 고바리안
- 백수왕 고라이온
- Dr. 슬럼프 아라레쨩
- 베르사이유의 장미
- 김전일 소년의 사건부
- 스푼 아줌마
- 육신합체 갓마즈
- 신조인간 캐산
- 아스트로 강가
- 마징가 Z, 그레이트 마징가
- 마법의 엔젤 스위트 민트
- 불꽃의 투구아 돗지 단페이
- 란마 1/2 → 란마 1/2 열투편
- 만화 세계 옛날이야기
- 울트라맨 키즈
- 초시공세기 오거스
- 붉은 광탄 질리온
- 레이디 죠지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 오자마녀 도레미
1.3 비디오 수입예정이지만 불발로 끝내 홍보만 했던 TV 아니메/특촬
2 비디오회사
- 대원홈비디오 → 챔프영상
- 영흥미디어
- 유니콘비디오
- 럭키상사
- 환타지랜드
-
토에이동영미디아 - 광영물산 - 욱일기 또는 낙일기 로고가 특의
- 산일무비
- 우일비디오
- 서진통상
- 동양비디오 + 삼원비디오 + 서원비디오 → D&S → 비드콤 → 시네콤
- 삼부비디오
- 백록비디오
- 신한프로덕션
- 뉴비디오프로덕션
- 오아시스비디오 → 고려프로덕션
- 라이프프로덕션
- 벧엘프로그램
- 한양비디오
- 세경문화영상 (89년에 옛날 어린이들은을 먼저 틀어준 회사)
- 남도영상산업
- 아주비디오
- 한영비디오
- 삼화비디오 (엔딩 번안곡이 특징, 대표작 : 타이거 마스크시리즈, 초인전대 바라타크, 마그네로보 가킨)
- 화인프로덕션
- 한국미디어주식회사
- 대하비디오프로덕션 (대표작 :
흑역사돈 드라큐라) - 대영팬더
- 영성프로덕션
- 일진프로덕션
- 혜천교육센타 / 제일비디오
- 유호프로덕션 / 만리장성
- 동아수출공사
- 드림박스
- 스타맥스
- 시네마트 (대표작 : 프라레스 산시로, 영화 크레용 신짱 93년, 94년, 96년작
제대로 95년작을 해줬다믄 8부가 되었을텐데... 이유는 반일...) - 삼진엔터프라이즈 (대표작 : 꽃의 마법사 마리벨)
- SKC (대표작 : 파라솔 헨베에(아기천사 두두), 처음으로 한국에서 후지코 후지오 아니메를 수입한 회사)
- 미디아트
- 금성 프로 테이프
- 서울미디어
- 미디어뱅크
- 새한 미디어
- 올림피아 비디오 프로덕션 (대표작 : 쟝켄맨, 스푼 아줌마, 절대무적 라이징오 등)
- CIC VIDEO
2.1 종류
2.1.1 비디오 시스템에 따른 분류
아날로그 비디오
디지털 비디오
- 디지털 베타캠
- HDCAM
- 디지털 VHS
- PRO HD
2.1.2 헤드 수에 따른 분류
- 2헤드 : 2개의 영상 헤드만으로 구성된 방식.[4] 비디오의 경우 음성은 테이프의 가장자리에 오디오 테이프와 같은 방법으로 모노로 녹음하는 경우(이런 경우는 음성용 기록장치를 헤드 갯수로 세지 않는다)와 영상과 동일한 방법인 헬리컬 스캔으로 Hi-Fi 스테레오로 녹음하는 방식[5]이 있는데 전자의 방식으로 음성을 녹음하는 기기가 2헤드이다. 1980년대 보급된 국산 비디오는 거의 대부분 이 방식이며 1990년대에는 4헤드의 보편화로 주로 싸구려 저가형 비디오에 많이 적용된 방식이다.
- 4헤드 : 2개의 영상 헤드와 2개의 음성 헤드로 이루어진 방식. 가장 기본적인 비디오 헤드 구성이지만 하이파이화가 되어 있지 않는 1980년대에는 수입품 외에는 찾기 어려웠다. 1990년대부터 대부분의 보급형 기종들이 이 방식으로 되어 있었다.
- 5헤드 : 위의 4헤드에 1개의 편집용 헤드가 추가된 방식. 4헤드의 경우, 이미 녹화된 부분에 다른 영상을 이어서 녹화할 때 녹화를 시작한 지점부터 1~3초간 잔상이 나오기 마련인데, 편집용 헤드가 추가된 5헤드는 이러한 잔상 없이 녹화할 수 있다. 주로 홈 비디오 편집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반용으로 판매된 경우는 희소하다.
- 6헤드 : 위의 4헤드에 2개의 정지/저속화면 전용 헤드가 추가된 방식으로 진짜로 정지된 화면이나 느린 화면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아날로그 매체인 비디오는 테이프 감기가 정지하면 화면이 아예 꺼지지 디지털 매체처럼 정지된 화면이 나오는게 아니여서 정지화면을 보려면 테이프 감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헤드드럼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일반 재생용 헤드 가지고는 정지화면에 노이즈가 많이 생긴다.[6] 제조비용이 비싸서 국내에서는 1990년대 중반에서야 대중화되었다.[7][8]
- 7헤드 : 위의 6헤드에 1개의 편집용 헤드가 추가된 방식.
- 8헤드 : 위의 6헤드에 2개의 3배 전용 재생 헤드가 추가된 방식.
- 9헤드 이상 : 전문가용, 방송 제작용으로 사용되는 특수한 방식.
3 동영상을 일컫는 원래의 영단어
그러나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대체로 1번 의미로 쓰인다.
- ↑ 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원하는 영화를 원하는 시간에 안방에서 볼 방법이 없었다. 그땐 컬러TV조차도 (한국에선) 사치품목이던 시절이었으니. 추가적으로 이렇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수 있던 건 인터넷과 PC 보급이 열악한 그 시절에도 맘편히
야동포르노를 집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 - ↑ 투니버스와 SBS에서 방영해주기 전까지는 비디오가 유일한 시청 방법이었다.
- ↑ 굳이 장점을 찾자면 이미 녹화된 테이프라 해도 어느 정도 재녹화에 써먹을 수 있고(그러나 상태는 그에 비례해 열화된다) 플라스틱 커버 때문에 디스크 매체보다 아머는 더 우월하다(…). 허나 그만큼 중량이 있기 때문에 DVD나 블루레이같은 디스크는 사람 키 정도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큰 탈 없지만 비디오는 충격으로 금가고 작살이 나는 수가 있다.
- ↑ 비디오의 헤드는 짝수 개로 존재해야 한다.
- ↑ 물론 이 경우에도 호환성을 위해 기존 방식으로도 동시에 저장한다.
- ↑ 화면의 절반 정도가 흑백에 흰 선이 많이 가는 상태여서 제대로 된 정지화면이라고 볼 수 없다. 물론 2~4헤드 비디오도 노이즈가 생기는 것을 감수하고 정지화면 기능이 되기는 된다.
- ↑ 그 전에도 제조하긴 했으나 가격이 매우 비쌌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비디오 초창기부터 6헤드 제품들이 대거 출시되었었다.
이유가 뭔지는 각자 생각해보라. - ↑ 전용 헤드가 있더라도 정지화면은 테이프에 무리가 많이 가는 행동이라서 제조사에서는 권장하지 않았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정지화면이 자동으로 풀리게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