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40

(서울 버스 730에서 넘어옴)
서울특별시 7권역 간선버스
700701702703704705706707
710720721740750§751752753
760771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600px

730번으로 운행하던 시절(2007년 5월)의 모습. 위 차량은 2009년에 대차되었다.

파일:Attachment/서울 버스 740/740.jpg
2014년 8월 현재의 모습. 여기가 바로 잠수교다. 출처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0번
기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덕은동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삼성역)
종점행첫차04:00기점행첫차05:05
막차22:40막차23:50
평일배차5~11분주말배차6~11분
운수사명신촌교통인가대수32대
노선덕은동차고지 - 국방대학교 - 월드컵파크9단지 - 월드컵파크10단지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교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희IC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서강대정문 - 대흥역 - 염리동주민센터 - 동도중학교, 서울디자인고교 - 공덕역 - 효창공원앞역 - 용산구보건분소 - 원효로1동주민센터 - 용산등기소 - 삼각지역 - 전쟁기념관 - 녹사평역 - 용산구청 - 한강중학교 - 잠수교 - 서울성모병원 -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중앙지검/대검찰청 - 서초역, 대법원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선릉역 - 삼성역

2 개요

신촌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8.56km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구 772번 좌석버스(덕은동 - 삼성역)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코엑스가 COEX가 아니라 KOEX 또는 무역센터로 더 잘 알려진 건물이었으며 또한 삼성역 사거리로 가는데도, 이 노선은 KOEX도, 삼성역도, 무역센터도 아닌 종합전시장이라는 매우 특이한 행선 표기를 사용하였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내버스 대개편 때 '고속터미널 - 학동로 - 차관아파트 - 삼성역' 구간을 '서울성모병원 - 서초역 - 테헤란로 - 삼성역'으로 바꾸었으며, '삼성역 - 잠실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또한 광역버스가 아닌 간선버스로 전환되었으며, 번호도 730번으로 바뀌었다.
  • 반포한강공원 경유 노선을 만들기 위해 2011년 4월 23일부터 반포대교 대신 잠수교를 경유한다.
  • 테헤란로 상습 정체로 인한 배차간격 유지의 어려움을 이유로 2011년 8월 25일에 '삼성역 - 잠실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도 740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문
  • 2015년 11월 1일에 휘문고등학교까지 가지 않고 바로 삼성역사거리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간선버스란 이래야 한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는 노선이다. 있는 명소도 피해가는 340번과 비교되게, 노선 일대의 지날 수 있는 명소들은 다 지나는 느낌이다. 다만 서초역에서 삼성역까지 2호선과 완벽히 중복되면서, 하필이면 그 구간이 테헤란로를 관통하는 구간이라 차가 심각하게 밀린다는 것이 단점. 버스중앙전용차로도 없다! 굳이 서초/삼성 구간이 아니어도, 공덕오거리 ~ 삼각지 사이 구간을 운행시 경부선 상단으로 올라가는 고가차도를 지나기 때문에 RH 때 헬게이트다.
  • 이런 환상적인 노선도 덕분에 출퇴근 버스로 인기가 높으며, 특히 서초역에서 내려 지하철이 잘 다니지 않고 설령 간다 해도 돌아가는 이태원/용산구청/용산구 보건분소 방향의 수요나 반대로 다리를 타고 서초역/교대역/강남역에 이르는 수요가 압도적. 하지만, 테헤란로의 상습정체 때문에 2011년 8월 25일 부로 삼성역까지 단축되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과 대흥역부터 녹사평역까지 겹쳤으나 강남 방면 연계가 시망이라 개편 이전에 폐선된 773번[2]에 비해 타격이 적었다.
  • 의외로 회사이미지랑 전혀 걸맞지 않게 최근들어 일반차량중에 배차간격과 상관없이 에코를 무시하고 고알피엠변속하는 차량이 종종 보인다. 고참이 많은 덕분인가..

4.1 잠수교 경유

원래는 반포대교를 이용하는 노선인데, 2011년 4월 23일 부터는 잠수교를 이용한다. 양 방향 다. 405번은 도로 구조상 염곡동차고지행만[3] 잠수교를 이용하지만, 이 노선은 '닥치고 직선'이라 그런 거 신경쓸 필요 없기 때문에 양방향 잠수교를 탄다.

따라서 잠수교의 한강 수위가 올라가서 침수가 되면 당연히 반포대교로 올라가며, 잠수교상에 있는 반포한강공원(세빛섬) 정류소도 당연히 이용할 수 없다.

4.2 그 외

한 줄기로 이어지지 않은 채 한강과 수직으로 뻗은 산맥과 계곡이 켜켜이 쌓인 서울 서북권 지형의 험준함과 자비 없음을 몸으로 느낄 수 있는 버스 노선이기도 한데, 이 버스 노선이 지나는 구간은 실제로 인천 상륙작전 당시 북한군의 서울 농성에 요긴하게 쓰여 연합군의 진격을 지연시킬 정도였다.

5 연계 철도역

  1. 그래도 센트럴 시티 쪽은 서울성모병원에서 내려서 조금 걸어가면 갈 수는 있다.
  2. 폐선 전 까지 덕은동에서 가락시장까지 운행했던 노선이며 대흥역에서 한강진역까지 겹치는데다 운행거리에 비해 엄청나게 긴 배차간격으로 6호선 개통 후 수요가 감소하여 2001년 후반 폐선되었다.
  3. 도심 방면의 경우, 잠수교를 이용하면 서빙고역 방면으로 좌회전할 수 없어서 무조건 반포대교로 올라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