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

(이대부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대한민국의 광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서울특별시
경문고등학교경희고등학교대광고등학교대성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배재고등학교보인고등학교선덕고등학교
세화고등학교세화여자고등학교숭문고등학교신일고등학교
양정고등학교이화여자고등학교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
장훈고등학교중동고등학교중앙고등학교한가람고등학교
한양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현대고등학교휘문고등학교
부산광역시인천광역시
해운대고등학교인천포스코고등학교
대구광역시
경신고등학교경일여자고등학교계성고등학교대건고등학교
대전광역시
대성고등학교대전대신고등학교
광주광역시울산광역시
송원고등학교성신고등학교
경기도충청남도
안산동산고등학교충남삼성고등학교
전라북도
군산중앙고등학교남성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고등학교
가재울고등학교명지고등학교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중앙여자고등학교한성고등학교
한성과학고등학교
300px
교명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1]
영문명Ewha Womans University High School[2]
한문명梨花女子大學校師範大學附屬梨花金蘭高等學校
개교1958년 4월 1일[3][4]
유형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형태사립
교훈진 선 미 이 분이 아니다
학교법인이화학당
종교 개신교 미션스쿨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성산로 560
[1]

1 개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이대부고)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성산로에 위치한 남녀공학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

2 역사

교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고등학교가 2001년 통합하여 탄생한 고등학교이다. 하지만 교표와 교훈 등 학교의 상징물은 이대부속고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학생들 대부분은 현재의 이대부고가 금란고와의 통합을 통해 탄생한 학교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다만 학교의 건물은 금란고등학교의 건물을 사용한다. 2001년 통합 이전까지 이대부고는 현재의 이대부중과 같은 건물을 사용하였다.

2.1 연혁

2.1.1 통합 전 이대부속고등학교의 연혁

1958년 4월 1일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개교, 초대 차재순 교장 취임
1961년2월 14일 제 1회 졸업생 배출, 3월 1일 학급 증설 (각 학년 3학급, 총 9학급)
1965년제 2대 박정례 교장 취임
1967년체육관 및 특별교실 준공(물리,화학,생물,조리,미술,유도,무용,음악실)
1971년4층 증축 공사 준공(도서실, 보통교실 5실, 특별교실 1실)
1972년학급 증설(각 학년 4학급, 전 12학급)
1972년운동장 확장공사 및 담장 공사 준공
1973년제3대 김영숙 교장 취임
1977년제4대 김연옥 교장 취임
1980년제5대 정식영 교장 취임
1982년학급 증설(각 학년 6학급, 전 18학급)
1988년제6대 최윤애 교장 취임
1989년5층 증축공사 준공(도서실, 독서실, 시청각실, 컴퓨터실, 교실 3실)
1993년제7대 이종록 교장 취임
1994년제8대 정세화 교장 취임
1995년제9대 이정환 교장 취임
1997년제10대 김태련 교장 취임

2.1.2 통합 전 금란고등학교의 연혁

1960년개교
1977년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여자고등학교
1999년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고등학교 (통합을 위해 남녀공학으로 전환)

2.1.3 통합 후의 연혁

2001년3월 1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고등학교를 통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로 인가, 9월 1일 제11대 김규한 교장 취임
2005년제12대 강순자 교장[5]취임
2008년제13대 유정문 교장[6]취임
2009년자율형 사립고 지정
2011년제 51회 졸업 (총 졸업생 15,807명)
2012년제14대 이종경 교장[7] 취임
2014년제15대 이영하 교장[8] 취임

3 상징

ZWR1X25ldw==.jpg

4 특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라는 특징 상 이화여대와 관련이 매우 깊다. 우선 격주로 치루는 교내 예배를 이대 대강당에서 한다. 다만 대관료는 이대의 부속고등학교라고 얄짤 없으며 대관료(돈 천 만원이라 생각하면 편하다)를 꼬박꼬박 받는다. 또한 교생실습을 해마다 하게 되는데 90% 이상이 이대 사범대학의 여학생들이 교생으로 온다. 따라서 여자 교생이 대부분이다. 사생대회 등 교내 행사 중 일부를 이대 교정에서 하기도 한다.

학교 건물이 산 중턱에 위치하여 구조가 심히 괴랄하다. 교문 초입부터 급한 경사로가 있으며, 학교 건물 또한 지하 2층 - 지상 6층에 달하는 높이로 학생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운동장에 우레탄 트랙과 인조잔디 구장, 농구 코트가 있지만 산을 깎아 만들었기 때문에 운동장의 크기는 매우 작다. 표준 규격 축구장의 4분의 1 정도라고 보면 되며, 트랙 또한 1바퀴가 170m로 짧은 편이다. 운동장 뒷편으로 관중석(스탠드)이 있다.

2011년 자사고 지정 이후로 학교 시설을 새로 만들거나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하고 있다. 2012년에는 적벽돌과 콘크리트로 덮여 있던 외장에 화강암 타일과 베이지색 회칠을 하였으며, 교문 입구에 학교의 캐치프레이즈를 새긴 일명 진 선 미 타워 노출 콘크리트 장식물과 조명을 설치했다. 5천만원이 들었다 카더라 2013년엔 노후화된 화장실을 수세식 변기가 갖춰진 현대식 화장실로 개수하였다. 2014년에는 학생회장 박 모군의 공약인 본관과 신관 사이의 빗물막이 공사를 진행하였다. 20년 가까이 묵은 방송 장비를 현대화하였지만 2학기 초반에 스피커들이 잇따라 터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CCTV 설치 포함 약 1억 원이 들었다.) 2015년 8월 현재 교내 박물관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용도는 아무도 모른다. 알고보니 진 상설동아리 프레임의 전시장이었다 카더라. 2015년 겨울방학 기간동안(맞나? 건망증 와서) 신관의 모든 화장실이 리모델링 되었다. 그러니까 본관도 해주세연.

2012 ~ 2014년 교육부 지정 건강증진모델학교로 지정되었다.

5 학교 시설

5.1 본관

  • 지하 2층 기사실, 창고,풍물놀이실(거의 매일 청소해야하고... 벽에 약간의 금이간 폐허..라 카더라)
  • 지하 1층 가사실, 무용실, 체력단련실, 사진실, 등사실, 당직실, 멘토링실
  • 1층 행정실, 교장실, 교무회의실, 도서관, 보건실, 보건교육실, 체육교사 휴게실, 교무서고, 전산실, 박물관
  • 2층 1학년 교실(12학급), 1학년 교무실, 생활건강부, 지구과학실, 상담실
  • 3층 2학년 교실(12학급), 2학년 교무실, 방송실, 생물실, 화학실
  • 4층 3학년 교실(9학급), 3학년 교무실, 제 1교무실, 자습실, 미술실
  • 5층 3학년 교실(3학급), 교과교실, 입시전략상담실, 교목실
  • 6층 시청각실, 음악실

5.2 신관

  • 1층 급식실, 구내식당
  • 2층 교과교실, 대회의실, 자습실, 토론실
  • 3층 종교교양실, 휴게실, 자습실
  • 4층 체육관, 탈의실, 세면실

5.3 매점

학교 건물과 독립된 가건물 형태로 존재한다.

6 교통

6.1 궤도교통

이대부고에서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지하철, 광역전철 노선은 없다. 이화여자대학교 정문 방면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지하), 이대역이 인근에 위치하며, 독립문, 사직단 방면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경복궁역이 있다.

6.2 버스

이대부고 (13-120) - 독립문, 사직단 방면, 당 정류소 종착
간선서울 버스 272, 서울 버스 606, 서울 버스 672, 서울 버스 673, 서울 버스 751
지선서울 버스 6714, 서울 버스 7017, 서울 버스 7024, 서울 버스 7737
이대부고 (13-121) - 이대후문, 연대앞 방면
간선서울 버스 272, 서울 버스 606
지선서울 버스 7737

7 주변 시설

이화여자대학교의 부속 고등학교인만큼 이대부속고등학교의 인근에는 이화여자대학교가 있다. 다만 이대후문에서 이대 공과대학 가는 길에 위치하여 이대정문에서는 접근하기 어렵다. 또한 성산로 건너에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이 위치한다.

학교 건물 바로 옆으로 신촌에서 독립문을 연결하는 금화터널이 있으며 성산로와 금화터널 입구를 접속하는 봉원고가도로가 있다. 금화터널을 통해 빠르게 독립문 방면으로 접근할 수 있다. 안산 자락에 위치한 봉원사가 인근에 위치한다.

8 출신 인물

  • 윤석화 - 연극배우. 금란여고 출신.[9]
  • 이미례 - 영화감독. 금란여고 출신.
  • 최영아 - 서울역 노숙인 다시서기 진료소 원장. 금란여고 출신.

9 트리비아

서울사대부고[10]가 전국 최초의 남녀공학(분반) 고등학교이고, 이대부고가 서울 최초의 남녀합반 고등학교이다. 전국 최초 남녀합반 고교인지는 확인바람.
  • 대한민국 고등학교 중 교명이 가장 긴(21자) 학교이다.
  • 상설동아리 32개를 비롯해 자율동아리 70여개가 있는데 동아리 축제때 좋은 교실을 차지하려고 때아닌 쟁탈전병림픽이 벌어진다안습
  • 산자락에 위치한 학교라 각종 동물의 서식지가 되는데 특히 모기비둘기가 무지하게 많다. 모기는 특히 흰줄숲모기라서 물리면 무지하게 간지러우며 붓는 정도도 일반 모기와는 차원이 다르다. 특히 더 산하고 가까운 신관 야자실에서 자습을 하면 어느 새 모기의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먹이가 되어 있는 자신의 팔다리를 볼 수 있게 된다. 비둘기 또한 미친 존재감을 뽐내며 교내를 활보하는데, 구내식당 가는 길목에 거처를 잡았는지 언제나 목격되어 점심시간마다 학생들의 머리 위를 지켜보며 학생들에게 짜릿한 스릴공포감을 선사한다. 그래서 그런지 수업떄 수위 아저씨들이 새총들고 우리 비둘기 닭둘기 아님 한테 저격한다. 물론 맞추지는 않는다.
  • 2008년경 일본어과의 한교실은 따뜻한 햇살아래 수업을 진행하던 중 열려진 창문 사이로 비둘기 한마리가 대차게 날아들었고 수업을 진행하던 화학교사는 혼비백산, 학생이 선생님을 진정시키는 사건이 있었다 카더라
  • 2012년에는 한창 배식중인 식당(?!)에 비둘기가 난입하는 사건이 있었다. 비둘기 한 마리 덕분에 식당 안은 그야말로 혼비백산. 다행히 동원 푸드 관계자가 식당 쟁반을 휘두르는 기지를 발휘한 덕에 비둘기는 5분 만에 빠져나갔다.
  • 2016년 5월 중순에 비둘기가 학생식당 뒷문 옆쪽 식수대와 창문 사이에 끼이는 일이 발생했다......웰컴투 비둘기 월드...창문 밖에서는 그 진귀한 광경 볼라고 그야말로 문전성시
  1.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고등학교 이름이다.
  2. 2009년 이전까지 Demonstration Ewha-Keum-Ran High School,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란 영문명을 사용하였다.
  3. 금란고등학교는 1960년 개교
  4. 2001년 이대부속고와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고등학교 통합
  5.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현재 명예교수
  6.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기상학 교수
  7.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서양사 교수
  8.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교육과 통계학 교수
  9. 오랫동안 이화여대 미대 생활미술학과 중퇴로 알려져 왔으나, 학력위조로 밝혀졌다.
  10. 1946년 서로 다른 두 개의 부설 학교가 합쳐저 공학이 되면서 남녀가 유별하다며 자퇴하는 여학생도 있었다고 1회 졸업생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