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시티익스프레스

ICE
Intercity-Express, InterCityExpress
얼음
이체가 아니다. 아이스는 더욱 아니다. 이체'에' 정도가 가장 비슷하다.
요렇게 발음한다.(발음기호 : iːtseːˈʔeː)

30px 독일 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30px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고속열차Intercity-ExpressRailjetThalys
특급열차 Intercity / EuroCityEuroNight / City Night LineDurchgangszug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급행열차Regional-Express / Interregio-Express
보통열차 Regionalbahn
광역철도S-Bahn
Intercity-Express
현용 차량내수형ICE 1 · ICE 2 · ICE T · ICE 3 · ICE 4
수출형지멘스 벨라로(삽산 · AVE S.103 · CRH 3 · e320)
예정 차량NGT
퇴역 차량ICE TD
사건·사고에세데 사고

1 개요

ICE_Network.png

독일 노선. 적색은 300 km/h 급 고속선, 주황색은 250~280 km/h 급 고속선, 청색은 200~230 km/h 급 기존선, 회색은 160km/h 미만의 기존선.

1000px-ICE_Network_Austria.svg.png

오스트리아 노선

독일철도오스트리아 연방 철도고속열차 및 그 시스템.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고, 해외의 철덕후들에게도 좋건 나쁘건 널리 알려져 있다.

독일 및 오스트리아 철도의 최상위 등급으로서, 우리나라의 KTX나 일본의 신칸센에 해당한다. 주요 간선에서의 고속 주행을 목적으로 1991년에 첫 운행을 시작하였다. 선발 주자인 일본프랑스에 비하면 개발 자체가 한참 늦었지만 더러운 독일의 기술력으로 어떻게 개통은 하게 되었다. 하지만 고속 주행 중 이중차륜이 분리되면서 탈선, 객차가 교각을 들이받고 고속철도 사상 최다 사상자를 낸 에세데 사고가 발생하면서 체면을 구기게 되었다. 지금은 대륙의 기상 앞에 콩라인 신세가 됐지만이후 2003년에는 틸팅 기술을 적용한 ICE TD에 대한 안전 문제가 불거지면서 4년간 운휴하기도. 2010년에는 낮 기온이 36도까지 올라가는 무더위에 ICE의 냉방 시스템이 고장나면서 승객들이 실신하고 참다 못해[1] 비상 브레이크를 당기고 창문을 깨는 사건이 발생, 원인이 ICE의 정비 불량이었다는 게 들통나서 신나게 두들겨 맞았다.

ICE 1과 ICE 2는 유체역학이 뭔가여 먹는건가여 우걱우걱을 연상하게 하는 각진 디자인의 차량이었으나, ICE 3은 신칸센 500계를 연상시키는 뱀장어 같은 늘씬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도색은 흰 바탕에 빨간 치트라인, 그리고 ICE 세 글자가 전부다. 자세히 보면 열차 애칭도 회색으로 적혀 있긴 하다.

1.1 이름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체", 혹은 "아이스(...)"라고 잘못 발음하고 있다. "이체"라고 하면 간선급행열차인 IC가 되기 때문에 고속열차 타려다 기존선 열차 타고 빌빌거리며 기어가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ICE의 독일어 발음은 독일어의 모음 e에 해당되는 정확한 한국어 모음이 없기 때문에 발음하기도, 글로 옮기기도 참으로 난감하다.(ㅓ와 ㅔ의 사이 발음이지만, ㅔ에 더 가깝고, 실제로도 편하게 ㅔ로 발음하면 통용된다.) 독일어에 자신이 없으면 차라리 영어식으로 "아이씨이"(이쯤되서 발음땜시 짜증난다고 그냥 아이씨! 까지만 하지말고...아이 썅)라 하거나 약자고 뭐고 없이 "인터시티익스프레스"라고 풀어 말하는 게 속 편하며, 역무원들도 "아, 이 사람 외국인이구나"하고 알아서 처리해 준다.[2] "아이스(ice)"라고 발음 했다간 못 알아들을 확률이 높고, 설령 알아듣는다 해도 얼음(물) 하나(한잔) 받으면서 속으로 실컷 비웃음 당하니 주의.설국열차 타시게요?

2 이용

주요 노선에서는 한시간 간격으로 다니지만 복합열차로 다니는 구간에서는 배차 간격이 두 시간 이상으로 벌어질 수도 있으니 시간표 확인은 필수이다. 요금은 KTX의 2배 정도로 책정돼 있지만, 그만큼 할인도 화끈하게 해 준다. 표는 정직하게 할인 티켓부터 팔기 때문에, 미리미리 예매를 해 두면 제법 싸게 탈 수도 있다. KTX의 서울-동대구 구간과 비슷한 거리인 베를린-하노버 구간의 요금은 2015년 8월 기준 29유로(약 38,200원)에서 68유로(약 89,800원)로 책정돼 있다. 부지런하게 예약만 잘 하면 43,600원인 서울-동대구 KTX보다 싸게 탈 수 있는 셈.[3]

유레일 패스나 인터레일 패스, 반카드100이 있으면 그냥 타면 된다. 단, 정차역이 엄청나게 적은 편성인 ICE-Sprinter는 제외.열도모 회사못된 만 닮았다 다행히도 ICE-Sprinter는 매우 드물게 있는 편성이라 그리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표를 사서 타더라도 좌석 지정을 할 경우에만 예약하면 된다. 자주 만석이 뜨는 열차는 시각표에 꼭 좌석 지정하라고 표시가 되어 있다. 참고로 ICE는 기본적으로 좌석지정이 되지 않으며, 좌석을 지정할 경우 2016년 기준 4.5유로를 표값과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ICE 국제 열차는 독일-오스트리아 간은 물론 네덜란드, 벨기에, 스위스, 프랑스로도 운행 중이다. 네덜란드 행 ICE는 주로 NS 소유의 ICE 3 차량으로 운행 중이라 차량 내외부의 마킹이 모두 NS Hispeed로 되어 있다. 독일-오스트리아 간은 독일과 오스트리아 철도 소유의 ICE T로 운행 중.

좌석이 꽤 편하므로, 굳이 특실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헤드 레스트에 베개가 달린 형태인데 생각보다 푹신한 편이다. 판매 승무원이 돌아다니며 공짜인 것처럼 커피를 권하는데, 절대 공짜가 아니니 주의할 것. 식당차도 있지만 음식의 양이나 질을 고려하면 좀 비싼 편이다. 열차 내에 티모바일 와이파이가 설치되어있어 해당 통신사를 이용하는 사람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1등석의 경우 와이파이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1등석의 경우 2-1 좌석배치로 좌석의 폭과 앞뒤 간격이 넓고 재질도 2등석과 다르다. 기종에 따라 개인 LCD가 설치되어있는 곳도 있지만 비행기의 그것을 생각하면 안된다.[4] 1등석은 작은 스낵 등과 신문, 잡지를 무료로 제공하고, 승무원을 좌석으로 호출할 수 있고 음식을 주문(유료)하면 좌석까지 가져다 준다. 확실히 1등석은 2등석보다 많이 널널하고 사람도 적어서 조용하고 쾌적한 편이다. 또한 독일의 대도시 중앙역 및 주요 역들엔 라운지들이 설치되어있어,[5] 1등석 승객들은 DB라운지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라운지는 커피와 차, 탄산음료(무한리필), 신문 등이 무료다. 표를 몇개월 전에 미리 구입하게 되 1등석이 특가로 나와 2등석과 큰 차이가 없다면 1등석을 고르는 것을 추천. 그 외에는 굳이 1등석을 타도 3~4시간이 넘어가는 장거리가 아닌 이상 큰 금전적 이익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6] 열차배치도 1등석을 기차 앞부분 또는 역 출입구에 가까운 쪽에 배치하고 있다. 프랑크푸르트나 뮌헨처럼 두단식 승강장에선 1등석이 역 출입구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 서게 배치한다.

2.1 노선

ICEtracks.png

2.1.1 ICE-Sprinter

라이너 영업을 ICE가 뛴다고 생각하면 된다. 추가 요금이 필요했으나 2015년 12월부터 Sparpreis에 포함되어 가격 부담이 줄어들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운행하지 않는다.

2.1.2 일반 고속열차

  • 10번대: 베를린 동역 출발 노선.
    • ICE 10: 베를린 동역 - 하노버 - (도르트문트 - 뒤셀도르프)/(하겐 - 쾰른)
    • ICE 11: 베를린 동역 - 카셀-빌헬름쇼흐 - 프랑크푸르트 - 슈투트가르트 - 뮌헨
    • ICE 12: 베를린 동역 - 카셀-빌헬름쇼흐 - 프랑크푸르트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20번대: 함부르크 알토나 역 출발 노선. 일부는 킬이나 뤼벡에서도 출발한다.
    • ICE 20: 함부르크 알토나 - 하노버 - 카셀-빌헬름쇼흐 - 프랑크푸르트 - (마인츠 - 비스바덴)/(만하임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ICE 22: 함부르크/브레멘 - 하노버 - 카셀-빌헬름쇼흐 - 프랑크푸르트 - 슈투트가르트
    • ICE 25: 함부르크/브레멘 - 하노버 - 카셀-빌헬름쇼흐 -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잉골슈타트)/아우구스부르크 - 뮌헨
    • ICE 28: 함부르크/베를린 게준트브루넨 - 베를린 - 라이프치히 - (뉘른베르크 - 잉골슈타트 - 뮌헨)/(아우구스부르크 - 뮌헨 - 파싱)
  • 30번대: 지렁이 기어가듯이 기존선 고속선 바꿔가며 복잡하게 운행한다(...)
    • ICE 31: 킬 - 함부르크 - 브레멘 - 뮌스터 - 도르트문트 - (보훔 - 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하겐 - 부퍼탈) - 쾰른 - 본 - 코블렌츠 -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 (뷔르츠부르크 - 뉘른베르크 - 레겐스부르크)/(만하임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바젤 바트 - 바젤 SBB)
  • 40번대: 쾰른 중앙역 또는 도르트문트 중앙역 출발 노선. 전부 ICE 3만 투입된다.
    • ICE 41: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메세/도이츠 - 프랑크푸르트 - 뷔르츠부르크 - 뮌헨
    • ICE 42: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 지크부르크/본 - 프랑크푸르트 FH - 만하임 - 슈투트가르트 - 아우구스부르크 - 뮌헨
    • ICE 43: (하노버 - 도르트문트 - 부퍼탈)/(암스테르담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 지크부르크/본 - 프랑크푸르트 FH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ICE 45: 쾰른 - 쾰른공항 - 비스바덴 - 마인츠 - 하이델베르크 - 슈투트가르트
    • ICE 49: 쾰른 - 지크부르크/본 - 프랑크푸르트 FH - 프랑크푸르트
  • 90번대: 오스트리아 빈 서역 출발 노선. 고속 전용선이 없는 오스트리아 철도 특성 상 30번대와 마찬가지로 기존선 고속선 바꿔가며 복잡하게 운행한다. 대부분 ICE T로 운행하지만, 일부 노선은 오스트리아의 고속철도인 레일젯 차량이 투입되기도 한다.
    • ICE 90: 부다페스트 - 빈 서역 - 린츠 - 잘츠부르크 - 뮌헨 - 슈투트가르트 - 프랑크푸르트 - (비스바덴)
    • ICE 91: 빈 서역 - 린츠 - 하노버 - 함부르크 / 빈 서역 - 린츠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본 - 쾰른 - 뒤셀도르프 - 도르트문트

2.2 고속 신선

독일에만 고속 전용선이 있고, 오스트리아에는 별도 고속선이 없다.

이하는 고속 신선 목록.

3 해외 진출

해외 진출 경험이 적다는 것이 ICE의 단점. KTX 차량 선정 때에도 응모를 하긴 했지만, 제안 차량은 ICE 2의 개발형이었고 그나마도 프랑스처럼 파격적인 차관 지원 약속이 없어서 떨어졌다. 중국에 수출하긴 했는데, CRH는 펜돌리노도[7] 신칸센도 모두 진출에 성공한 기술 빼먹기용 사업이기 때문에 이쪽은 별 의미가 없다. 차라리 러시아스페인에 팔린 지멘스 벨라로가 더 의미 있다.

1990년대 암트랙은 Northeast Corridor(북동 간선)에서 운행할 고속 열차를 찾고 있었는데 이때 독일제 ICE와 스웨덴제 X2000 틸팅 열차가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한동안 북동 간선에서 시험하더니[8] 갑자기 사라졌다. 그런데 암트랙은 알스톰 손잡더니 TGV를 베이스로 한 Acela Express를 도입했다. 망했어요 ICE...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세인트 판크라스 역에 ICE 3이 등장하더니 독일철도가 프랑크푸르트-런던간 국제 열차를 운행하기로 하면서 차세대 유로스타 차량에 지멘스 벨라로가 선정되었다. 경사로세 경사로세.

4 차량

모델은 다음과 같다. 별도로 독일철도 소유의 탈리스 차량이 409번대를 받고 있다.

  • ICE-V: 410형 0번대. ICE 1 개발을 위한 시험차. 2000년에 폐차 되었다.
  • ICE 1: 401/801형. 최초의 ICE 차량.
  • ICE 2: 402/802형. ICE 1에 비해 짧고 가볍고 힘이 좋아졌다.
  • ICE S: 410형 1, 2번대. ICE 2, 3 개발용 시험차.
  • ICE T: 411(7량)/417(5량)형. 알스톰 펜돌리노의 틸팅 기술을 가져다가 만든 틸팅열차. 오스트리아 철도 소유 차량은 ÖBB 4011형이고 7량 1편성.
    • ICE TD: 605형. 디젤 동차 버전의 ICE T. ICE 1이 아직도 살아 있는데 이놈은 더 빨리 퇴역할 가능성이 있다.
  • ICE 3: 403형. 디자인 일신! 짜리몽땅한 신칸센 500계처럼 보인다.
  • ICE 4 : ICE 1/2와 노후된 인터시티 차량 대차분으로 2020년경까지 도입 예정이다. 그러니까 ICE 1과 2를 이때까지 우려먹겠다고 ICx 프로젝트로 시작해서 2015년에 ICE 4로 명명되었다. 2016년 1월 베를린에서 시제차 출고식이 열렸다.
  1. 차내 온도가 50도까지 올라갔다던데 그걸 참고 그냥 간 독일 사람들도 대단하다... 세계 최악의 서비스를 자랑하는 독일철도답게 아무리 에어컨이 멀쩡해도 에어컨 같은 건 죽어도 틀어줄 생각을 하지 않으며 승무원한테 덥다고 하면 무슨 환자한테 빨간약 주는것 마냥 생수를 준다고 한다. 그것도 아주 미지근한 걸로(...) 게다가 가끔 물을 다 썼다며 단수되기도..
  2. 어차피 영어로도 인터시티익스프레스라 안내되므로 다 알아 듣는다.
  3. 인터넷이나 DB 자판기에서 Sparpreis를 검색하면 편도 요금은 독일 전구간(뮌헨 - 함브루크 알토나 구간(약 650km) 등) 최저 19유로도 있으니 잘 찾아보도록 하자. 다만 19유로는 드물고 29유로 정도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DB 네비게이터 앱을 사용하면 더욱 편리
  4. 그냥 독일철도청에서 보내는 TV같은 것.
  5. 베를린, 뮌헨, 하노버, 함부르크, 쾰른,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역 등등
  6. 물론 반카드가 있다면 보너스를 적립할 수 있겠지만. 반카드 보너스가 많다면 1등석 업그레이드 쿠폰을 받아 2등석에서 무료 업그레이드 할 수도 있다.
  7. 이 부분에서 짚고 넘어갈 것이 있는데, 알스톰이 중국에 제공한 기술은 TGV기반이 아닌 틸팅 열차인 펜돌리노 기반 기술이다. 물론 최신형 모델인 뉴 펜돌리노를 제공했다.
  8. 유튜브에서 Amtrak ICE 라고 치면 영상들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