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고속

1 개요

원래는 시외버스로 인가받았지만 나중에 고속버스 면허로 전환된 노선을 부르는 말.

2 왜 면허가 바뀌었나

고속버스국토교통부에서 인허가를 담당하는 노선이고, 한동안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회원사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을 의미했었다.

그런데 1990년대 이후 시외버스 회사에서 운행하는 노선중 고속버스와 유사한 무정차 노선들이 건설교통부의 인가를 받아 고속버스노선으로 운행을 하기 시작했다. 이에 버스 동호인들은 이런 노선을 기존 고속버스와 구분하기 위해 전환고속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정부에서 직접 규정한 공식용어는 아니지만 국토교통부 민원답변이나 버스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이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3 특징

정부에서 노선 인가를 고속버스로 받았기 때문에, 우등할증 및 심야 10% 할증이 가능하다. 그래서 전환고속버스는 일반버스 노선이면 운임인하 효과가, 우등버스노선이면 운임인상 효과가 있다.

반대로 고속버스 노선이 시외버스 노선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다. 이를 가리켜 전환시외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노선이 동부익스프레스중앙고속이 들어가는 서울경부 - 속초(양양) 노선이다. 원래 경부 - 영동 경유였으나 소요시간에서 영서권[1]의 시외버스 업체인 금강고속동서울 - 속초시외 무정차 노선과 경쟁이 되지 않자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홍천IC까지 고속도로로 운행하고 그 이후로는 44번 국도미시령터널 경유로 인가를 바꾸었다. 이에 고속버스 면허 조건을 채우지 못하게 되면서 시외면허로 전환하였다. 동부익스프레스에서 단독 운행하는 동서울 - 속초(양양) 노선도 역시 시외면허로 전환되었다. 이외에 기존 고속버스 인가였던 서울경부-용인도 시외로 면허전환된 상태. 단, 이쪽은 고속버스 노선 규정이 100km 이상으로 바뀌면서 시외로 전환된 케이스.

몇몇 노선은 100km 이상이 넘었는데도 중간 경유지가 없다던지, 같은 도시 내에 중간정류소가 없거나 1개 이하의 중간정류소가 있는 등 전환고속으로의 요건을 갖추었는데도 시외직행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부천부산사상, 동서울밀양 노선 등이 대표적이며, 2015년 7월 15일에 신설된 북부정류장동부정류장해운대 노선도 전환고속 여건에 맞긴 하나 전환고속이 아닌 시외직행으로 신설된다.

시외버스 회사가 가지고 있는 고속버스 노선 중 몇몇 노선은 전환고속 노선이 아니다. 아래 항목 참조.

4 면허 보유사

5 주요 전환고속노선 목록

  • 구미 - 목포(동대구 경유)
  • 구미 - 광주
  • 창원 - 광주[7]
  • 부산사상 - 여수[8]
  • 부산사상 - 광주[9](이상 금호고속)
  • 구미 - 광주
  • 구미 - 목포(동대구 경유)
  • 제천 - 대구중앙(우등고속 한정)
  • 동서울 - 영주(풍기 경유)
  • 동서울 - 춘양(봉화 경유)[10]
  • 동서울 - 구미
  • 성남 - 구미
  • 부천 - 통영
  • 수원 - 통영
  • 안산 - 통영
  • 용인 - 동대구(신갈 경유)
  • 수원 - 동대구
  • 안산 - 동대구
  • 고양 - 동대구
  • 대구한진 - 김해국제공항(이상 경북코치서비스)
  • 대전 - 진주
  • 대구서부 - 진주
  • 대구서부 - 삼천포(사천 경유)(이상 경전고속)
  • 동서울 - 영주(풍기 경유)
  • 동서울 - 춘양(봉화 경유)
  • 동서울 - 구미(이상 경기고속)

5.1 처음부터 고속면허였던 곳

5.1.1 노선 신설에 처음부터 참여

  • 파주 - 강릉
  • 서울경부 - 밀양
  • 서울호남 - 안동[14]
  • -서울호남 - 영주(풍기 경유)-(이상 경기고속)[15]
  • 안동 - 대구중앙
  • 영주 - 대구중앙
  • 서울경부 - 밀양
  • 서울호남 - 영주(풍기 경유)
  • 평택 - 거제고현[16]
  • 세종 - 부산(이상 경북코치서비스)
  • 서울남부 - 거제고현[17]
  • 대전 - 거제고현(우등한정)[18]
  • 대전 - 통영[19]
  • 대구동부 - 거제고현[20]
  • 구미 - 거제고현(이상 경원여객)
  • 파주 - 대전
  • 부천 - 통영
  • 세종 - 부산(이상 대원고속)

5.1.2 타회사 노선 인수

  1. 인제, 홍천 일대.(농어촌버스도 운행 중) 본사는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다.
  2. 예전에 전환고속이 있었으나 모두 호남고속으로 매각했다. 그래서 고속노선이 없는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성남-익산 우등은 우등고속 운임을 받고 고속으로 인가되어있으므로 고속노선이 존재한다.
  3. 고속버스 회사이지만 2팀(직행부)에서 전환고속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산사상 ~ 광주, 부산사상 ~ 여천 ~ 여수, 전주 ~ 광주 노선 등이 해당되며, 이들은 1팀(고속부) 소속이 아닌 2팀(직행부) 소속이다. 이들 노선은 오리지널 고속노선과는 달리 평길에서도 110 ~ 120km/h요, 내리막길에서 140 ~ 150km/h의 속도를 자랑한다. 반면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는 부산(노포동)~ 광주 노선은 고속부 소속이며 티머니 E-pass 사용 가능한 노선이다.
  4. 이 회사가 보유한 동대구-부산 일반고속 노선은 고속도로상 정류장에 정차하는 특이한 노선이다. 예전에는 천일고속이 운영하던 엄연한 고속버스 노선이었으나 시외버스 회사가 인수한 이후 시외직행형으로 전환하였다. 여전히 고속 노선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이 노선은 소위 말하는 전환시외 노선이다. 서류상으로는 수원-울산 노선이 있으나 운행을 하지 않는다.
  5. 서울남부-북청주 노선도 고속으로 인가되어있다. 다만 일부 운행시간은 직행형으로 운행한다. 하지만 요금은 우등요금이 아니라 그보다 저렴하게 받는다는것
  6. 시외버스 노선은 행선지판이 하얀색이고, 전환고속 노선은 행선지판이 노란색이다. 육안으로 전환고속을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사례. 최근에는 일부 차량은 고속버스 회사마냥 LED 행선판을 설치했다. 제품은 Magicolor제. 한양고속에서 운행하는 전환고속선에도 일부 차량에 한해 설치되어 있다.
  7. 마산고속버스터미널 경유. 우등형은 1팀에서 운행하며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일반고속형은 2팀에서 운행하며 티머니 E-Pass를 사용할 수 없다.
  8. 2010년 여름에 고속노선으로 전환하였다.
  9. 2008년 초에 고속노선으로 전환하였다.
  10. 원래 영주, 봉화 노선도 KD 운송그룹이랑 경북코치서비스가 전환고속으로 전환시킬려고 했으나 더 멀리가는 안동 노선보다 요금이 비싸진다는 이유로 영주 시민들이 강력히 반대하는 바람에 포기. 사실 두 회사가 영주 노선을 전환하려고 한 것은 당시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서 지시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KD 운송그룹이 기존에 영주 노선에 FX212를 투입 했었는데 언제부터인지 FX120으로 차량이 격하되었다. 이 때문인지 몰라도 KD 운송그룹 차량은 대부분 반 정도 채우고 출발. 반면에 공생관계라 쓰고 경쟁업체라고 읽는다인 경북코치서비스는 FX212를 투입하는데 매 출말마다 만차라고 카더라. 하지만 이것도 옛날 이야기
  11. 1998년에 고속버스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12. 이 쪽은 서울-김해-장유행과 달리 1997년에 고속노선으로 전환하였다.
  13. 이 업체는 다른 전환고속과 달리 티머니 E-pass이용이 가능하다.
  14. 원래 노선 신설에 처음부터 참여하여서 운행중인 노선이었지만 2013년 8월 1일부터 시외직행으로 전환되었다.
  15. 이 노선도 언제부턴가 시외직행으로 전환되었다.
  16. 세종시 경유로 바뀌면서 시외직행으로 전환되었다. 이 때문에 경원여객과 공동으로 배차.
  17. 장승포 ~ 서울남부 노선은 고현노선과는 달리 시외직행 노선이며, 통영, 고성을 경유하며, 고현을 경유하지 않는다.
  18. 일반차량은 사천, 고성, 통영, 고현을 경유하여 장승포까지 간다.
  19. 직통노선 한정이며, 직행차량은 고성, 사천을 경유한다.
  20. 대구동부-구미-거제고현 경로로 바뀌면서 시외직행으로 전환되었다.
  21. 정확히 말하자면 부산사상-순천 시외노선이 존재하였으며 지금도 광양을 경유하는 노선, 순천을 경유한 뒤 전라남도 다른 지역으로 가는 노선이 절찬리에 운행되고 있다. 여기에 고속노선이 1일 10회 추가되었으며, 시외 시간표가 일부 조정되었으므로 금호고속 직행부가 처음부터 고속노선 신설에 참여한 것에 가깝다.
  22. 대구동부-구미-거제고현 경로로 바뀌면서 시외직행으로 전환되었다.
  23. 정확히 말하면 동양고속과 중앙고속이 공동배차로 운행을 했으며 동양고속이 먼저 철수하게 된다. 이후 중앙고속이 운행을 중단한 이후 다시 노선을 재개해 운행하다가 나중에 중앙고속마저 경전여객에 운행분을 넘기면서 경전여객에 모든 권한이 돌아갔다. 그런데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경전고속도 90년대 말에 시외직행을 고속으로 전환하였으나 직행요금으로 저렴하게 우등을 운행하여 고속이라는 것을 우리가 인지하지 못했을 뿐이다.
  24. 덕택에 춘천고속버스터미널에서 분명 고속버스터미널인데 승차홈에 가보니 시외버스 회사의 차량으로 도배된 모습도 종종 볼 수가 있다. 다만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당초 노선 자체가 대구행과 광주행 뿐이라서 이런 일이 가능한 것.
  25. 정확히 말하면 동부고속 운행분을 인수하여 한동안 속리산고속과 공동배차 하다가 나중에 속리산고속마저 대원고속에 운행분을 넘기면서 대원고속에 모든 권한이 돌아갔다.
  26. 일반형은 시외면허이며, 경유지도 다르다. 즉, 원래 중부고속은 수원 - 대전 노선을 경유지가 있는 일반형 시외버스로 운행하고 있었는데, 거기에 추가로 우등형 고속버스 노선(영통입구 경유)을 인수한 것. 해당 노선은 2015년 4월 23일 폐선되어 수원 - 오산 - 대전 노선만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