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군은 건군기 당시에 장교단의 상당수를 만주군과 일본군 출신들이 담당하였다. 이들은 일본에서 쓰이던 군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2000년대에 이르러서야 한국군은 해당 용어들을 한국식으로 순화하려고 하였다.
그에 비해 자위대는 일본군의 색깔을 지우기 위해 군사용어를 바꿨다. 다만 이는 내수용 성격이 짙은데 영어로 번역할 때는 군사용어를 그대로 썼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용어세탁.
2 합동
육해공 3군 중 2군 이상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을 한국에선 합동이라 하며 일본에선 통합이라고 한다.
한국군 | 자위대 |
합동참모본부의장(合同參謀本部議長) | 통합막료장(統合幕僚長) |
합동참모본부(合同參謀本部) | 통합막료감부(統合幕僚監部) |
합동참모대학(合同參謀大學) | 통합막료학교(統合幕僚學校) |
법무실을 가리키는 표현은 양쪽이 똑같다. 그러나 자위대의 법무실은 군사재판을 하는 곳이 아닌 법무관련 문제를 자문하는 곳으로 일반 회사의 법무팀에 가깝다. 자위대에는 정훈이 없기 때문에 공보기능만이 존재하며 이는 보도관(報道官)이 담당한다.
3 육군
한국군과 자위대가 동일한 곳은 칸을 합쳤다.
한국군 | 자위대 |
보병(步兵) | 보통과(普通科) |
기갑(機甲) | |
포병(砲兵) | 전투특과(戰鬪特科) |
방공포병(防空砲兵) | 고사특과(高射特科) |
항공(航空) | |
공병(工兵) | 시설(施設) |
통신(通信) | |
병기(兵器) | 무기(武器) |
보급(補給) | 수품(需品) |
수송(輸送) | |
화학(化學) | |
헌병(憲兵) | 경무(警務) |
재정(財政) | 회계(會計) |
의무(醫務) | 위생(衛生) |
군악(軍樂) | 음악(音樂) |
정보(情報) |
대한민국 국군/편제, 자위대/편성에서 부대 단위는 아래와 같다.
육군본부(陸軍本部) | 육상막료감부(陸上幕僚監部) |
육군참모총장(陸軍參謀總長) | 육상막료장(陸上幕僚長) |
육군참모차장(陸軍參謀次長) | 육상막료부장(陸上幕僚副長) |
야전군사령부(野戰軍司令部) | - |
군단(軍團) | 방면대(方面隊) |
군단장(軍團長) | 방면대총감(方面隊總監) |
사단, 사단장, 여단, 여단장, 단, 단장, 연대, 연대장, 대대, 대대장, 중대, 중대장, 소대, 소대장, 분대, 분대장, 반, 반장 등의 표현은 같다. 참모장은 막료장이라고 한다.
한국에선 육군교육사령부, 육군군수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육군인사사령부 등 기능별 사령부를 두는데 일본에선 사령부란 말을 최대한 지양하고 집단(集團)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영어로는 똑같이 Command이다. 중앙즉응집단은 Force지만.
4 해군
한국군 | 자위대 |
해군본부(海軍本部) | 해상막료감부(海上幕僚監部) |
해군작전사령부(海軍作戰司令部) | 자위함대(自衛艦隊) |
해군잠수함사령부(海軍潛水艦司令部) | 잠수함대(潛水艦隊) |
해군항공대(海軍航空隊) | 항공집단(航空集團) |
함대(艦隊) | 함대/집단(集團) |
전단(戰團) | 대군(隊群)/군(群) |
전대(戰隊) | 대(隊) |
함정(수상함이나 잠수함) 관련은 일본 해상자위대 호위함 명칭에 대한 논란을 참고할 것.
5 공군
한국군 | 자위대 |
공군본부(空軍本部) | 항공막료감부(航空幕僚監部) |
공군참모총장(空軍參謀總長) | 항공막료장(航空幕僚長) |
공군참모차장(空軍參謀次長) | 항공막료부장(航空幕僚副長) |
공군작전사령부(空軍作戰司令部) | 항공총대(航空總隊) |
공군기능사령부(空軍機能司令部) | 항공방면대(航空方面隊) |
공군교육사령부(空軍敎育司令部) | 항공교육집단(航空敎育集團) |
공군군수사령부(空軍軍需司令部) | 항공지원집단(航空支援集團) |
비행단(飛行團) | 항공단(航空團) |
비행전대(飛行戰隊) | 비행군(飛行群) |
항공정비전대(航空整備戰隊) | 정비보급군(整備補給群) |
기지방호전대(基地防護戰隊) 및 작전지원전대(作戰支援戰隊) | 기지업무군(基地業務群) |
방공포병여단(防空砲兵旅團) | 고사군(高射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