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방부
1.1 소속기관
- 대전현충원은 국가보훈처 소속이다.
1.2 직할기관
- 국방대학교
- 국방부조사본부
- 고등군사법원
- 국방부보통군사법원
- 국방부검찰단
- 국군의 날 행사단[1]
- 국방부군비검증단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
- 국군간호사관학교
- 합동군사대학 :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2011년 12월 1일 설립된 합동군사대학은 기존 육·해·공군대학을 통합한 국방부 직할기관으로 총장은 소장 계급이 맡는다.
1.3 직할부대
- 국방정보본부
- 국군기무사령부
- 국군기무학교
- 국군의무사령부
- 국방시설본부
- 국방부 근무지원단
- 계룡대 근무지원단
- 국군수송사령부
- 국군체육부대
- 제1경기대
- 제2경기대
- 제3경기대
-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 국군지휘통신사령부
- 국군심리전단
- 국군복지단
- 국군인쇄창
- 국군사이버사령부
- 국군재정관리단
2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의장이 작전지휘·감독하는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작전부대[2]
3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문서 참조.
4 대한민국 육군
- 각 학군단은 육군학생군사학교 문서 참조.
- 육군부사관학교
- 육군훈련소
- 육군훈련소지구병원
- 육군보병학교
- 육군포병학교
- 육군기계화학교
- 육군공병학교
- 육군정보통신학교
- 육군항공학교
- 육군정보학교
- 육군방공학교
- 육군화학학교
- 육군종합군수학교
- 육군종합행정학교
- 육군전투지휘훈련단
-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육군리더십센터
- 육군군수사령부
- 종합보급창
- 종합정비창
- 탄약지원사령부
- 다수의 탄약창
- 육군인사사령부
-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육군복지지원대대 : 전신인 복지근무지원단이 2006년 04월 01일 인사사령부로 예속 변경
- 주한미8군한국군지원단
- 수도방위사령부
- 제52향토보병사단
- 제56향토보병사단
- 제60동원보병사단
- 제71동원보병사단
- 제1방공여단
- 제1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헌병단
- 제21화학대대
- 제22화학대대
- 제35특공대대
- 군수지원대대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공수특전여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전학교
- 제707특수임무대대
- 육군항공작전사령부
- 제1항공여단
- 제2항공여단
- 제11항공단
- 제12항공단
- 제13항공단
- 제15항공단
- 제21항공단
- 본부 직할
- 육군군사법원
- 육군사관학교
- 육군3사관학교
- 육군중앙수사단
-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육군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제1야전군사령부
5 대한민국 해군
- 해군본부
- 해군교육사령부
- 해군군수사령부
- 해군정비창
- 해군보급창
- 해군병기탄약창
- 정보통신전대
- 해군작전사령부
- 부산기지전대
- 제1함대사령부
- 제2함대사령부
-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
- 제27고속정전대
- 제218조기경보대대
- 제2해상전투단
- 제21구축함전대
- 제22초계함전대
- 제23고속정전대
- 제2전비전대
- 제2기지전대
- 제2군수전대
- 제2무기지원대대
- 제208조기경보전대
- 제2함대항공지원대
-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
- 제3함대사령부
- 제3해상전투단
- 제31구축함전대
- 제32초계함전대
- 제33고속정전대
- 제주기지전대
- 제301방어전대
- 제3전비전대
- 제3기지전대
- 제3군수전대
- 제308조기경보전대
- 제318조기경보전대
- 제3함대항공지원대
- 헌병대대
- 제3해상전투단
- 잠수함사령부
- 제91잠수함전대
- 제92잠수함전대
- 제93잠수함전대
- 제95잠수함전대
- 제9군수전대
- 제9기지전대
- 제9전비전대
- 제5성분전단
- 제52기뢰전대
- 제53상륙전대
- 제55군수지원전대
- 해군 해난구조대(SSU)
- 제1구조작전대
- 제2구조작전대
- 제3구조작전대
- 교육훈련대대
- 해군 해난구조대(SSU)
- 제59기동건설전대
- 전비전대
- 제6항공전단
- 제61해상초계기전대
- 제611비행대대
- 제613비행대대
- 제615비행대대
- 제62해상작전헬기전대
- 제620기지대대
- 제625정비대대
- 제627비행대대
- 제629비행대대
- 제63상륙기동헬기전대
- 제631비행대대
- 제633비행대대
- 제65군수전대
- 제66기지전대
- 제609교육훈련전대
- 비행교육대대
- 해상생환훈련대
- 제61해상초계기전대
- 제7기동전단
- 제71기동전대
- 제72기동전대
- 제73기동전대
- 제8전투훈련단
-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
- 해양전술정보단
- 헌병전대
- 해병대사령부
- 본부 직할
5.1 대한민국 해병대
6 대한민국 공군
- 공군본부
- 공군작전사령부
- 작전사령부근무지원단
- 공군작전정보통신단
- 공군전술항공통제단
- 제37전술정보전대
- 공중기동정찰사령부
- 제3훈련비행단
- 제213비행교육대대
- 제215비행교육대대
- 제217비행교육대대
- 제236비행교육대대
- 제5공중기동비행단
- 제15특수임무비행단
- 제255특수작전비행대대
- 제256전술공수비행대대
- 제296비행대대
- 제6탐색구조비행전대(SART)
- 제233탐색구조비행대대
- 제235탐색구조비행대대
- 제39전술정찰비행전대
-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 제271항공통제비행대대
- 제3훈련비행단
- 공중전투사령부
- 제1전투비행단
- 제189비행교육대대
- 제206전투비행대대
- 제216비행교육대대
- 제8전투비행단
- 제103전투비행대대
- 제203전투비행대대
- 제237전술통제비행대대
- 제10전투비행단
- 제101전투비행대대
- 제201전투비행대대
- 제207전투비행대대
- 제11전투비행단
- 제102전투비행대대
- 제110전투비행대대
- 제122전투비행대대
- 제16전투비행단
- 제115전투비행대대
- 제202전투비행대대
- 제17전투비행단
- 제152전투비행대대
- 제153전투비행대대
- 제18전투비행단
- 제105전투비행대대
- 제112전투비행대대
-
제205전투비행대대(2015년 해편)
- 제19전투비행단
- 제155전투비행대대
- 제159전술정찰비행대대
- 제161전투비행대대
- 제162전투비행대대
- 제20전투비행단
- 제120전투비행대대
- 제121전투비행대대
- 제123전투비행대대
- 제157전투비행대대
-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 제191전술훈련비행대대
- 제192전술훈련비행대대
- 제38전투비행전대
- 제111전투비행대대
- 제1전투비행단
-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
- 제1방공유도탄여단
- 제2방공유도탄여단
- 제3방공유도탄여단
- 공군방공관제사령부
- 제31방공통제전대
- 제32방공통제전대
- 제33방공관제전대
- 제34방공관제전대
- 공군군수사령부
- 항공자원관리단
- 공군 군수전산소
- 항공소프트웨어지원소
- 제60수송전대
- 제81항공정비창
- 제82항공정비창
- 제83정보통신정비창
- 제85정밀표준창
- 제86항공전자정비창
- 공군교육사령부
- 공군사관학교
- 제55교육비행전대
- 제212비행교육대대
- 제55교육비행전대
- 본부 직할
- 공군작전사령부
7 통폐합 또는 해체된 부대
국방개혁이나 기타 부대 개편으로 인해 사라진 부대를 정리하는 문단. 없어진 부대 중 육군 동원사단이 대다수인데, 이는 국방개혁 2020을 추진하던 당시 부대 개편의 일환으로 동원사단을 4개로 줄였다가 전시에 재편하기 위해 이렇게 한 것이다.
7.1 국직부대
- 국군논산병원
- 2009년에 육군본부 직할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2011년 1월 1일부로 예속이 육군훈련소로 변경되어 해체되고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창설되었다. 이에 맞춰 위치도 연무읍 내에서(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근처에 있었다) 육군훈련소 안쪽으로 이동했다.
- 국군진해병원
- 2000년에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의무대, 해양의학적성훈련원과 통합되어 해군해양의료원으로 재창설,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 국군포항병원
- 2000년에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7.2 대한민국 육군
- 군관구사령부
- 제4연대
- 여순사건에 연루되어 해체. 주둔지는 광주. 제14연대가 제4연대 예하의 대대를 모체로 창설되었기 때문에 반란군에 심적으로 동조하는 자가 많았고 반란이 터지고 나서 우선 급히 파견된 1개 중대가 반란군에 합류하는 등 문제가 있는 부대였다.
- 제6연대
- 제14연대
- 유도탄사령부
- 정확히는 해체가 아니라 육군미사일사령부로 확대개편되었다.
- 방공포병사령부
- 1991년에 공군으로 전군하여 공군방공포병사령부로 바뀌었으며, 2013년에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제7군단(舊 동해안경비사령부)
-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로 창설. 1982년 8월 제7군단으로 개편. 1983년 제7기동군단으로 개편.
- 제9군단
- 충렬부대. 구 제2야전군사령부의 군단으로 31사단, 32사단, 35사단, 37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제11군단
- 충무부대. 9군단과 마찬가지인 2군사 예하 군단으로 39사단, 50사단, 53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제29보병사단
- 태권도부대. 그래서 경례 구호도 '태권'이었다. 1953년에 창설되어 59년에 20사단과 통, 폐합되어 해체된 부대. 사단 마크는 번개 모양이 2, 주먹 모양이 9를 의미하였으며 이 휘장의 주먹은 초대 사단장인 최홍희[8] 소장의 오른손을 그의 부인이 그린 것이었다고 한다. 이때문에 주먹 부대로 불리기도 했으며 그 외에 초대 사단장이 신익희를 기린다는 의미로 익크 부대라는 별명을 지어주기도 하였다.
- 제33보병사단
- 17사단으로 개편되었으니 엄밀히 말하자면 해체된 부대는 아니지만, 부대이름과 마크는 사라졌다.
- 제57보병사단
- 용마부대. 수방사 예하 향토사단이었으나 2011년 12월에 56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62동원보병사단
- 충용부대. 2작사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1일 32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67동원보병사단
- 용진부대. 충용부대와 마찬가지로 2작사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05년 12월 1일에 37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68동원보병사단
- 제69동원보병사단
- 태풍부대. 무적태풍부대와는 헷갈리지 말자. 62사단, 67사단에 이은 후방 동원사단이었으나 39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70보병사단
- 충효부대. 후방 동원사단으로 2008년 12월 1일에 50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76보병사단
- 진격부대. 경례구호는 진격. 홍천(사단 직할대(본부대, 수색대, 정비대, 보수대, 전차중대, 공병대,헌병대, 화학대, 통신대, 의무대) 사자연대)과 인제(비호연대 황룡연대 포병연대)에 주둔했던 부대.1군 예하의 2군단 소속 동원사단이었다. 구 38사단으로 향토사단 역할을 수행하다 76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2011년 11월에 해체되었다. 주둔지는 타부대가 인계 받아 관리중이고 동원훈련도 홍천 주둔지에서 계속 진행중이다.
- 76사단가 (1절만 기재 2절은 아는사람 추가바람.)
- 불타는 우국충정 가슴에 안고 조국의 통일과 평화를 위해 겨례의 부름받아 총칼을 들고 우리는 모였다 진격의 사단 진격에 앞장서는 용사가 되자.
- 항목 참조
- 제103보병여단
- 미추홀부대. 1994년에 17사단에서 분리되어 나간 수도군단 예하의 독립여단으로, 제507보병여단으로 개편되어 제17보병사단 예하부대로 흡수(사실상 재편입)된다.
- 백호부대. 2작사 예하의 특공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로 해체되었다.
- 특전사 여군 중대
- 사령부 예하 부대로 육군특수전사령부의 여군들은 공수특전여단이나 707 특임대가 아닌 이 곳으로 배치되었었다. 2014년 당시 사령관 전인범 장군의 지시로 해체되고 여군들은 다른 남군들처럼 공수특전여단 같은 곳으로 배치되도록 바뀌었다.
- 제1공수특전단(舊 제1전투단)
- 1958년 4월 1일 창설된 육군본부 직할 제1전투단을 모체로 1959년 10월 1일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10월 1일 제1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 제1유격여단
- 1969년 1월 27일 동해안경비사령부 예하에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9월 10일 제3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 제5특수임무단(舊 제2유격여단, 제5공수특전여단)
- 1969년 2월 17일 제2유격여단으로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9월 10일 제5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2000년 6월 1일 제5특수임무단으로 개편, 2010년 7월 1일 국제평화지원단으로 개편.
- 1972년 폐교.
- 제306보충대대
- 육군중앙경리단
-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 개편되었다. (국군재정관리단의 모체가 됨)
- 육군교도소
- 국직부대인 국군교도소로 개편되었다.
- 제800(809)·801·802·803·805·806정찰대대
- 각각 수도·제1·2·3·5·6군단 직할 정찰대였으나 수색대, 특공대와 임무가 중복된다는 이유로 1990년대 ~ 2000년대 초반에 기계화보병사단 직할 정찰대를 제외하고는 전부 해체되었다.
- 한국전 당시에 심리전 등을 이유로 HID에 소속됐던 화교들의 부대이다.
7.3 대한민국 해군
- 한국함대
- 제1·2전단
- 한국함대의 예하 전단으로, 1전단은 호송·경비작전을, 2전단은 상륙작전을 전담했다.
- 제1·2·3전투전단
- 각각 제1·2·3함대 예하, 구축함/초계함/고속정전대의 상위급 부대인 전단이었으나 지휘구조 간략화 개혁에 의해 해체되고 함대사령부가 바로 각 전대를 지휘하도록 개편되었으며, 옛 전단장들의 권한은 함대 부사령관에게 주어졌다. 그런데, 2015년 2월에 각 함대별로 해상전투단이 창설되며 사실상 부활했다.
- 제51기동전대(舊 제11전대, 제51대잠전대)
- 1960년 한국함대 제1전단 예하 제11전대로 창설. 1986년 해군 작전사령부 예하 제5성분전단 예하 제51대잠전대로 개편, 2007년 제51기동전대로 개칭. 구축함전대로, 2010년 1월 31일부로 해체되고 소속 함정은 2010년 2월 1일부로 창설된 제7기동전단에 배치되었다.
이로 인해 5전단이 해군 최정예 전단에서 쩌리부대로 전락했다.
- 목포해역방어사령부
- 제9잠수함전단(舊 제57잠수함전대)
- 해군기초군사학교
- 2009년부터 해군기초군사교육단으로 승격되었다.
- 해군기술병과학교
- 해군행정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 해군행정학교
- 해군기술병과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 1983년 폐교되었다.
- 2015년 폐교되어 해군전투병과학교 예하 분과로 들어갔다.
- 해병대학
-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진해교육기지사령부
-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군중앙경리단
-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 2015년 12월 1일 해체되고 해군병력은 제주기지전대로, 해병병력은 제9해병여단으로 배속되었다.
7.4 대한민국 공군
- 1984년 폐교되었다.
- 제30방공관제단
- 2013년에 공군방공관제사령부로 승격되었다.
- 방공포병사령부
- 2013년에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개선되었다.
- 공군중앙관리단
-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 해당 문서 참조.
- 공군남부전투사령부
- 공중전투사령부로 개편.
- 공군북부전투사령부
- 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
-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
- 공군전술항공통제단로 개선되었다
-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
- 1976년 1월 15일 해체되어 예하 인력·장비 등이 해군 항공대에 이관되었다.
- 제131전술정찰비행대대
- 제39전술정찰비행전대 예하 비행대대. 2014년 해편.
- 제73기상전대
- 2012년 전국에 흩어져있던 예하 부대의 대부분이 파견되어 있던 곳(사령부, 비행단 등)으로 이관되고, 남은 중앙부서 및 일부 파견대가 공군기상단으로 승격되었다.
8 기타
- ↑ 2013년 8월 1일 창설
- ↑ 군대를 야전부대와 지원부대로 이등분하자면 야전부대에 속하는 부대들
- ↑ 기존의 학교별로 관리하던 교육생들을 일괄 관리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이다.
- ↑ 서북도서방위사령부령 제1조(설치) 해군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를 둔다.
- ↑ 해병대사령관이 서방사령관을 겸직하며, 사령부도 해병대사령부와 함께 있다. 필요시 육군과 공군 인원을 휘하에 둘 수 있기 때문에, 국직부대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 ↑ 제1해병사단장이 사령관을 겸직한다.
- ↑ 2014년 1월부터 학군단은 이곳 예하대가 되었다.
- ↑ 태권도의 창시자이며 ITF의 창설자인 그사람 맞다.
- ↑ 현재의 제1함대와는 다른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