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시·군의장선거(기초지방자치단체장)
1.1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달서구청장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태훈 | 새누리당 | 147,422 | 60.79% | 1 | 당선 |
2 | 이유경 | 더불어민주당 | 64,822 | 26.72% | 2 | |
5 | 이기주 | 무소속 | 30,273 | 12.48% | 3 | |
선거인수 | 483,022 | 투표수 | 249,210 |
무효표수 | 6,682 | 투표율 | |
1.2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동구청장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2 | 홍진태 | 더불어민주당 | 13,526 | 26.01% | 2 | |
3 | 김성환 | 국민의당 | 27,191 | 52.29% | 1 | 당선 |
5 | 양혜령 | 무소속 | 11,274 | 21.68% | 3 | |
선거인수 | 84,088 | 투표수 | 52,746 |
무효표수 | 755 | 투표율 | |
1.3 경기도
경기도 양주시장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정동환 | 새누리당 | 37,817 | 42.67% | 2 | |
2 | 이성호 | 더불어민주당 | 46,009 | 51.91% | 1 | 당선 |
5 | 이항원 | 무소속 | 4,796 | 5.41% | 3 | |
선거인수 | 162,540 | 투표수 | 90,199 |
무효표수 | 1,577 | 투표율 | |
김해시에 가려지긴 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싹쓸이 잭팟이 제대로 터진 곳.
양주시는 국회의원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17, 18, 19대 내리 3선을 하였으나,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한 번도 패배한 적 없는 전형적인 농촌 중심의 여당 텃밭이다. 그 동안은 정 의원이 소속 정당의 지지 열세를 사실 상 개인기로 돌파한 특이한 케이스. 그런데 고읍지구와 옥정신도시가 조성되고 외지 인구가 유입되면서 표심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 첫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성호 후보가 정성호 의원의 보좌관 출신임을 내세워 과반 득표에 성공하여 당선되었다.
경기도 구리시장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백경현 | 새누리당 | 37,490 | 42.86% | 1 | 당선 |
2 | 김점숙 | 더불어민주당 | 27,570 | 31.54% | 2 | |
3 | 백현종 | 국민의당 | 19,123 | 21.87% | 3 | |
5 | 박수천 | 무소속 | 3,221 | 3.68% | 4 | |
선거인수 | 150,784 | 투표수 | 88,625 |
무효표수 | 1,221 | 투표율 | |
반대로 구리시장 재선거는 정당의 지지 우세를 부적합한 공천으로 날린 사례. 더불어민주당이 전임 박영순 시장의 배우자를 시장 후보로 공천한 것.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낙마한 전임 시장이 '알박기'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역풍이 불었고 결국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이 무난하게 재선에 성공한 것과 달리 시장은 새누리당의 백경현 후보가 당선의 영예를 안았다.
1.4 충청북도
충청북도 진천군수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김종필 | 새누리당 | 14,939 | 43.41% | 2 | |
2 | 송기섭 | 더불어민주당 | 18,453 | 53.63% | 1 | 당선 |
5 | 김진옥 | 무소속 | 1,014 | 2.94% | 3 | |
선거인수 | 55,464 | 투표수 | 34,954 |
무효표수 | 548 | 투표율 | |
지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 경선에서 맞붙었던 두 후보가 이번에는 당적을 서로 달리하여 대결을 벌였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한 김종필 후보는 다시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아 출마하였고, 역시 새누리당 후보 경선에 참여하였던 송기섭 전 행복도시건설청장이 이번에는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겨 출마한 것. 여기에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이 묘한 소지역주의를 발동시켰는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기존의 증평군음성군진천군괴산군 선거구가 재획정 결과 괴산군이 보은군옥천군영동군과 합쳐지면서 '증평군음성군진천군' 선거구가 되었고, 여기에 새누리당에서는 괴산군 출신의 현역 의원인 경대수 후보가,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진천군 출신의 임해종 후보가 출마한 것이다. 농산어촌 지역의 선거는 연령에 따른 지지 정당의 차이도 중요한 변수가 되지만, '각 후보가 어느 지역 출신이냐'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즉 자신의 지지 정당 소속이 아니더라도 '출신 지역이 같다면' 한 표를 주는 경향이 있는 것.
이에 진천군 유권자들이 '왜 괴산군 출신이 같은 당 후보와 경쟁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다른 지역에 출마하느냐?'는 심리가 발동하면서 국회의원 선거는 임해종 후보에, 진천군수 재선거는 송기섭 후보에 줄투표를 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제로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임해종 후보의 경우 자신의 고향인 진천군에서는 과반 득표에 성공하였다. 또한 진천군 덕산면과 음성군 맹동면에 조성 중인 충북혁신도시에 외지 인구가 조금씩 유입되어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표심이 조금씩 높아진 것도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1.5 전라북도
전라북도 익산시장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최행식 | 새누리당 | 12,306 | 8.5% | 3 | |
2 | 강팔문 | 더불어민주당 | 49,983 | 34.55% | 2 | |
3 | 정헌율 | 국민의당 | 75,383 | 52.10% | 1 | 당선 |
5 | 김은진 | 무소속 | 6,995 | 4.83% | 4 | |
선거인수 | 244,929 | 투표수 | 147,035 |
무효표수 | 2,368 | 투표율 | |
1.6 경상남도
경상남도 김해시장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김성우 | 새누리당 | 95,084 | 40.82% | 2 | |
2 | 허성곤 | 더불어민주당 | 116,932 | 50.20% | 1 | 당선 |
5 | 이영철 | 무소속 | 13,229 | 5.68% | 3 | |
6 | 허점도 | 무소속 | 7,658 | 3.28% | 4 | |
선거인수 | 52,642 | 투표수 | 35,627 |
무효표수 | 896 | 투표율 | |
당초 야권의 후보들이 난립하여 새누리당 김성우 후보의 무난한 승리가 예측되었으나,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중재로 야권 단일화가 이루어지면서 단일 후보로 출마한 허성곤 후보가 과반 득표에 성공하여 당선되었다.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른 바 한 당의 후보에게 표를 몰아 주는 '줄투표'의 영향도 당선에 기여하였다.
경상남도 거창군수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박권범 | 새누리당 | 15,428 | 44.42% | 2 | |
5 | 변현성 | 무소속 | 3,339 | 9.61% | 3 | |
6 | 양동인 | 무소속 | 15,964 | 45.96% | 1 | 당선 |
선거인수 | 52,642 | 투표수 | 35,627 |
무효표수 | 896 | 투표율 | |
2 시·도의회의원선거(광역지방자치의회 의원)
2.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강서구 제2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명재 | 새누리당 | 26,690 | 35.78% | 2 | |
3 | 김경자 | 국민의당 | 27,511 | 38.31% | 1 | 당선 |
4 | 문대영 | 정의당 | 15,233 | 21.21% | 3 | |
5 | 노길호 | 무소속 | 3,363 | 4.68% | 4 | |
선거인수 | 126,765 | 투표수 | 73,268 |
무효표수 | 1,471 | 투표율 | |
전임 김형식 시의원의 피선거권 상실 사유가 워낙 흠좀무하여 더불어민주당이 이 지역에 후보를 공천하지 않기로 하였고 국민의당 김경자 후보가 신승하였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제3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남형 | 새누리당 | 19,675 | 32.87% | 2 | |
2 | 허기회 | 더불어민주당 | 21,094 | 35.24% | 1 | 당선 |
3 | 김상수 | 국민의당 | 17,265 | 28.85% | 3 | |
5 | 김한영 | 민중연합당 | 1,808 | 3.02% | 4 | |
선거인수 | 106,055 | 투표수 | 60,995 |
무효표수 | 1,153 | 투표율 | |
2.2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수성구 제1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배재훈 | 새누리당 | 36,806 | 59.12% | 1 | 당선 |
5 | 김태은 | 무소속 | 11,712 | 18.81% | 3 | |
6 | 노상석 | 무소속 | 13,730 | 22.75% | 2 | |
선거인수 | 99,279 | 투표수 | 66,278 |
무효표수 | 4,030 | 투표율 | |
대구광역시 달서구 제5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신원섭 | 새누리당 | 17,577 | 52.02% | 1 | 당선 |
2 | 정정남 | 더불어민주당 | 7,447 | 22.04% | 2 | |
5 | 지용성 | 무소속 | 6,139 | 18.17% | 3 | |
6 | 이관석 | 무소속 | 2,623 | 7.76% | 4 | |
선거인수 | 70,804 | 투표수 | 34,992 |
무효표수 | 1,206 | 투표율 | |
2.3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계양구 제1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한양진 | 새누리당 | 11,271 | 38.42% | 2 | |
2 | 홍정화 | 더불어민주당 | 12,024 | 40.98% | 1 | 당선 |
3 | 정주영 | 국민의당 | 6,041 | 20.59% | 3 | |
선거인수 | 52,935 | 투표수 | 29,862 |
무효표수 | 526 | 투표율 | |
2.4 경기도
경기도 수원시 제5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최중성 | 새누리당 | 19,272 | 40.59% | 1 | 당선 |
2 | 이완모 | 더불어민주당 | 18,793 | 39.58% | 2 | |
3 | 김형태 | 국민의당 | 9,410 | 19.82% | 3 | |
선거인수 | 93,955 | 투표수 | 48,718 |
무효표수 | 1,243 | 투표율 | |
경기도 성남시 제4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임동본 | 새누리당 | 17,731 | 36.64% | 1 | 당선 |
2 | 김광현 | 더불어민주당 | 16,860 | 34.84% | 2 | |
3 | 강복섭 | 국민의당 | 9,975 | 20.61% | 3 | |
5 | 김현경 | 민중연합당 | 3,314 | 6.84% | 4 | |
6 | 백성진 | 통일한국당 | 510 | 1.05% | 5 | |
선거인수 | 93,986 | 투표수 | 50,218 |
무효표수 | 1,828 | 투표율 | |
경기도 성남시 제7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강효석 | 새누리당 | 23,868 | 38.53% | 2 | |
2 | 이나영 | 더불어민주당 | 24,731 | 39.92% | 1 | 당선 |
3 | 서학선 | 국민의당 | 10,315 | 16.65% | 3 | |
5 | 김창균 | 무소속 | 3,027 | 4.88% | 4 | |
선거인수 | 97,948 | 투표수 | 62,978 |
무효표수 | 1,037 | 투표율 | |
재보궐선거에 광역의회의원을 뽑는 선거라 이슈가 되지는 않았지만 이변이 일어난 사례. 경기도의회 성남시 제7선거구는 정자동, 정자1동, 정자2동, 금곡동, 구미1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지역은 성남시 전체에서 새누리당 지지 성향이 가장 강한 곳들로 꼽힌다. 과거 성남시가 새누리당의 아성일 수 있었던 이유도 이들 지역에서 몰표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이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아닌 다른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는 것은 가능성이 극히 낮은 일이다. 성남시장 선거는 분당구의 다른 지역과 수정구, 중원구에서 열세를 극복하면 되고, 분당구(갑), 분당구(을) 국회의원 선거는 역시 분당구 내의 다른 동에서 열세를 극복하면 되지만 도의원 선거는 온전히 이 지역들에서만 승부를 겨뤄야 하기 때문에 새누리당이 아닌 다른 정당의 후보는 당선의 난이도가 매우 높은 것. 그러나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나영 후보가 약 900여 표 차이로 신승하였다.
경기도 안양시 제2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재선 | 새누리당 | 28,744 | 44.08% | 2 | |
2 | 김종찬 | 더불어민주당 | 36,460 | 55.91% | 1 | 당선 |
선거인수 | 111,196 | 투표수 | 66,977 |
무효표수 | 1,773 | 투표율 | |
경기도 양주시 제2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정창범 | 새누리당 | 22,265 | 46.69% | 2 | |
2 | 박재만 | 더불어민주당 | 25,412 | 53.30% | 1 | 당선 |
선거인수 | 87,456 | 투표수 | 48,867 |
무효표수 | 1,190 | 투표율 | |
김해시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의 싹쓸이 승리에 마침표를 찍은 곳.
경기도의원 양주시 제2선거구는 농촌지역이 대부분인 백석읍, 광적면, 장흥면을 포함하는 선거구로, 지난 6회 지방선거 때 새누리당 홍범표 후보가 56.6%로 압승할 정도로 동쪽의 1선거구보다 보수성향이 더 강한 편이다. 양주시 동부지역과 달리 서부지역은 인구유입도 적은 편이어서 선거지형 면에서는 야당이 불리한 편이었다.
그런데, 홍범표 의원이 양주시장 재보궐선거 출마를 이유로 도의원직을 사퇴하자, 이는 현삼식 시장의 시장직 상실과 더불어 새누리당에게 악재로 작용했으며, 박재만 후보는 정성호 국회의원의 보좌관 경력과 지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양주시장 후보로 출마한 경험을 바탕으로 준비된 일꾼이라는 점을 어필한 것이 승리 요인으로 보인다.
박 후보는 양주2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모두 근소한 격차로 패했지만, 관외사전투표에서 900여표를 앞섰고, 특히 양주2동에서 정창범 후보보다 4400여표를 더 받는 몰표를 받아 양주시에서의 더민주 완승에 방점을 찍었다.
이로써 의정부 이북지역에서 유일한 야당 도의원이 탄생했다.
경기도 화성시 제3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안재호 | 새누리당 | 23,950 | 38.53% | 2 | |
2 | 이은주 | 더불어민주당 | 38,203 | 61.46% | 1 | 당선 |
선거인수 | 116,114 | 투표수 | 64,005 |
무효표수 | 1,852 | 투표율 | |
경기도 군포시 제1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길호 | 새누리당 | 24,824 | 37,43% | 2 | |
2 | 정희시 | 더불어민주당 | 25,912 | 39.07% | 1 | 당선 |
3 | 김용철 | 국민의당 | 15,572 | 23.48% | 3 | |
선거인수 | 97,948 | 투표수 | 62,978 |
무효표수 | 1,037 | 투표율 | |
2.5 전라북도
전라북도 전주시 제2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2 | 최주만 | 더불어민주당 | 17,910 | 46.67% | 2 | |
3 | 이도영 | 국민의당 | 20,465 | 53.32% | 1 | 당선 |
선거인수 | 62,954 | 투표수 | 39,446 |
무효표수 | 1,071 | 투표율 | |
전라북도 익산시 제4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2 | 최영규 | 더불어민주당 | 19,372 | 52.73% | 1 | 당선 |
3 | 박종열 | 국민의당 | 17,365 | 47.26% | 2 | |
선거인수 | 65,076 | 투표수 | 38,071 |
무효표수 | 1,334 | 투표율 | |
2.6 경상북도
경상북도 구미시 제3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김지식 | 새누리당 | - | - | 1 | 무투표 당선 |
선거인수 | | 투표수 | |
무효표수 | | 투표율 | |
2.7 경상남도
경상남도 양산시 제3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태춘 | 새누리당 | 20,583 | 52.96% | 1 | 당선 |
2 | 임재춘 | 더불어민주당 | 18,275 | 47.03% | 2 | |
선거인수 | 74,994 | 투표수 | 39,849 |
무효표수 | 991 | 투표율 | |
2.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제22선거구 (서귀포시 소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백성식 | 새누리당 | 5,004 | 47.44% | 2 | |
2 | 윤춘광 | 더불어민주당 | 5,542 | 52.55% | 1 | 당선 |
선거인수 | 17,051 | 투표수 | 10,838 |
무효표수 | 292 | 투표율 | |
3 구·시·군의회의원선거(기초지방자치의회 의원)
3.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중구가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박영한 | 새누리당 | 5,661 | 42.56% | 1 | 당선 |
2 | 송희 | 더불어민주당 | 3,641 | 27.37% | 2 | |
3 | 김용만 | 국민의당 | 3,997 | 30.05% | 3 | |
선거인수 | 24,947 | 투표수 | 13,517 |
무효표수 | 218 | 투표율 |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마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남궁역 | 새누리당 | 6,243 | 42.42% | 2 | |
2 | 김정수 | 더불어민주당 | 8,474 | 57.57% | 1 | 당선 |
선거인수 | 26,410 | 투표수 | 15,121 |
무효표수 | 404 | 투표율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마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김창민 | 새누리당 | 15,063 | 32.25% | 3 | |
3 | 김용일 | 국민의당 | 16,530 | 35.39% | 1 | 당선 |
4 | 임한솔 | 정의당 | 15,103 | 32.34% | 2 | |
선거인수 | 78,680 | 투표수 | 48,032 |
무효표수 | 1,336 | 투표율 | |
서울특별시 관악구나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김금희 | 새누리당 | 5,347 | 23.71% | 3 | |
2 | 김영석 | 더불어민주당 | 10,874 | 48.22% | 1 | 당선 |
3 | 조명환 | 국민의당 | 6,329 | 28.06% | 2 | |
선거인수 | 26,410 | 투표수 | 15,121 |
무효표수 | 404 | 투표율 | |
서울특별시 강남구아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송영모 | 새누리당 | 28,805 | 45.77% | 2 | |
2 | 강대후 | 더불어민주당 | 34,124 | 54.22% | 1 | 당선 |
선거인수 | 103,493 | 투표수 | 65,129 |
무효표수 | 2,200 | 투표율 | |
강남구 을에서의 돌풍에 이은 돌풍
3.2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가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김정욱 | 새누리당 | 24,762 | 58.98% | 1 | 당선 |
5 | 박현군 | 무소속 | 11,341 | 27.01% | 2 | |
6 | 백태현 | 무소속 | 5,875 | 13.99% | 3 | |
선거인수 | 86,770 | 투표수 | 45,002 |
무효표수 | 3,024 | 투표율 | |
부산광역시 사하구라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복조 | 새누리당 | 9,516 | 53.93% | 1 | 당선 |
2 | 유동철 | 더불어민주당 | 6,054 | 34.31% | 2 | |
5 | 조영철 | 무소속 | 2,073 | 11,74% | 3 | |
선거인수 | 34,736 | 투표수 | 18,132 |
무효표수 | 489 | 투표율 | |
부산광역시 연제구다선거구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박기홍 | 새누리당 | 8,421 | 42.02% | 1 | 당선 |
2 | 박종욱 | 더불어민주당 | 6,369 | 31.78% | 2 | |
5 | 차백진 | 무소속 | 5,246 | 26.18% | 3 | |
선거인수 | 36,735 | 투표수 | 20,645 |
무효표수 | 609 | 투표율 | |
3.3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동구다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공산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하중호 | 새누리당 | 7,748 | 37.35% | 1 | 당선 |
5 | 박정우 | 무소속 | 4,765 | 22.97% | 3 | |
6 | 김인자 | 무소속 | 1,665 | 8.02% | 4 | |
7 | 정용 | 무소속 | 6,562 | 31.63% | 2 | |
선거인수 | 37,883 | 투표수 | 21,807 |
무효표수 | 1,067 | 투표율 | |
3.4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남동구 라선거구 간석3동, 만수2동, 만수3동, 만수5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우일 | 새누리당 | 19,181 | 47.98% | 2 | |
4 | 최승원 | 정의당 | 20,794 | 52.01% | 1 | 당선 |
선거인수 | 80,413 | 투표수 | 41,656 |
무효표수 | 1,681 | 투표율 | |
3.5 경기도
경기도 고양시 나선거구 주교동, 성사1동, 성사2동, 화정1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오영숙 | 새누리당 | 19,247 | 41.56% | 2 | |
2 | 김경태 | 더불어민주당 | 21,316 | 46.03% | 1 | 당선 |
5 | 한명섭 | 무소속 | 5,741 | 12.39% | 3 | |
선거인수 | 80,418 | 투표수 | 48,046 |
무효표수 | 1,742 | 투표율 | |
경기도 부천시 바선거구 심곡본1동, 심곡본동, 송내1동, 송내2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남미경 | 새누리당 | 13,282 | 31.65% | 2 | |
2 | 강병일 | 더불어민주당 | 16,729 | 39.86% | 1 | 당선 |
3 | 김영규 | 국민의당 | 11,952 | 28.48% | 3 | |
선거인수 | 76,551 | 투표수 | 42,824 |
무효표수 | 861 | 투표율 | |
경기도 김포시 라선거구 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황순호 | 새누리당 | 19,266 | 59.11% | 1 | 당선 |
2 | 배강민 | 더불어민주당 | 13,324 | 40.88% | 2 | |
선거인수 | 93,955 | 투표수 | 48,718 |
무효표수 | 1,243 | 투표율 | |
경기도 이천시 가선거구 신둔면, 백사면, 증포동, 관고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박명서 | 새누리당 | 13,518 | 44.61% | 2 | |
2 | 임영길 | 더불어민주당 | 16,782 | 55.38% | 1 | 당선 |
선거인수 | 58,500 | 투표수 | 31,272 |
무효표수 | 972 | 투표율 | |
3.6 충청북도
충청북도 옥천군 가선거구 옥천읍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황의설 | 새누리당 | 6,412 | 43.78% | 2 | |
2 | 조동주 | 더불어민주당 | 7,155 | 48.85% | 1 | 당선 |
5 | 박인수 | 무소속 | 1,077 | 7.35% | 3 | |
선거인수 | 23,908 | 투표수 | 15,133 |
무효표수 | 489 | 투표율 | |
3.7 충청남도
충청남도 아산시 나선거구 온양1동, 온양2동, 온양3동, 온양4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여운영 | 새누리당 | 13,884 | 51.01% | 1 | 당선 |
2 | 윤신군 | 더불어민주당 | 13,333 | 48.98% | 2 | |
선거인수 | 52,683 | 투표수 | 27,882 |
무효표수 | 665 | 투표율 | |
충청남도 논산시 라선거구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가야곡면, 은진면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상구 | 새누리당 | 5,406 | 43.95% | 2 | |
2 | 김만중 | 더불어민주당 | 6,893 | 56.04% | 1 | 당선 |
선거인수 | 21,655 | 투표수 | 12,832 |
무효표수 | 533 | 투표율 | |
충청남도 당진시 가선거구 당진1동, 당진2동, 당진3동, 대호지면, 정미면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서영훈 | 새누리당 | 10.628 | 36.64% | 2 | |
2 | 홍기후 | 더불어민주당 | 12,201 | 42.06% | 1 | 당선 |
3 | 이태용 | 국민의당 | 6,175 | 21.29% | 3 | |
선거인수 | 52,823 | 투표수 | 29,516 |
무효표수 | 512 | 투표율 | |
3.8 전라북도
전라북도 전주시 라선거구 평화2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2 | 전석진 | 더불어민주당 | 9,532 | 42.46% | 2 | |
3 | 김주년 | 국민의당 | 12,916 | 57.53% | 1 | 당선 |
선거인수 | 35,158 | 투표수 | 23,022 |
무효표수 | 574 | 투표율 | |
3.9 전라남도
전라남도 여수시 라선거구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2 | 강현태 | 더불어민주당 | 5,289 | 35.14% | 2 | |
3 | 원용규 | 국민의당 | 6,145 | 40.83% | 1 | 당선 |
5 | 김춘식 | 무소속 | 1,168 | 7.76% | 4 | |
6 | 김순종 | 무소속 | 2,448 | 16.26% | 3 | |
선거인수 | 26,377 | 투표수 | 15,376 |
무효표수 | 326 | 투표율 | |
전라남도 고흥군 나선거구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2 | 박철수 | 더불어민주당 | 2,488 | 32.39% | 2 | |
3 | 송인숙 | 국민의당 | 2,920 | 38.01% | 1 | 당선 |
5 | 설승용 | 무소속 | 391 | 5.09% | 4 | |
6 | 장준환 | 무소속 | 236 | 3.07% | 5 | |
7 | 정귀식 | 무소속 | 1,646 | 21.42% | 3 | |
선거인수 | 11,089 | 투표수 | 7,993 |
무효표수 | 312 | 투표율 | |
3.10 경상북도
경상북도 성주군 가선거구 성주읍, 선남면, 월항면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5 | 노광희 | 무소속 | 4,966 | 41.56% | 1 | 당선 |
6 | 허주식 | 무소속 | 3,063 | 25.63% | 3 | |
7 | 김성우 | 무소속 | 3,918 | 32.79% | 2 | |
선거인수 | 20,503 | 투표수 | 12,503 |
무효표수 | 556 | 투표율 | |
3.11 경상남도
경상남도 창원시 너선거구 진해구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서병훈 | 새누리당 | 13,041 | 46.89% | 2 | |
5 | 김태웅 | 무소속 | 14,767 | 53.10% | 1 | 당선 |
선거인수 | 48,458 | 투표수 | 28,555 |
무효표수 | 747 | 투표율 | |
경상남도 진주시 다선거구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이현동, 판문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박성도 | 새누리당 | 11,060 | 53.38% | 1 | 당선 |
5 | 최충경 | 무소속 | 9,656 | 46.61% | 2 | |
선거인수 | 35,550 | 투표수 | 21,389 |
무효표수 | 673 | 투표율 | |
경상남도 김해시 라선거구 진영읍,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배종도 | 새누리당 | 11,993 | 41.65% | 2 | |
2 | 김종근 | 더불어민주당 | 16,797 | 58.34% | 1 | 당선 |
선거인수 | 53,219 | 투표수 | 29,478 |
무효표수 | 688 | 투표율 | |
김해시 선거 더불어민주당 싹쓸이의 화룡점정.
갑, 을 두 명의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김해시장 재선거, 김해시의원 재선거가 패키지로 묶인 선거의 결과는 압도적이었다.
통상 기초의회의원 선거 같은 소규모 선거는 반드시 정당의 지지만을 따라간다기 보다 후보자 개인의 이력과 각 후보 진영의 조직력이 영향을 끼치는데, 이 정도의 득표율 차이는 반 새누리 성향의 유권자들이 정말 작정하고 투표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낙동강 벨트 중심의 민심 이반이 나타난 결과. 특히 김해시 라 선거구에는 진영읍이 포함되어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와 묘역이 있는 바로 그 곳.
경상남도 양산시 가선거구 물금읍, 원동면, 강서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김영철 | 새누리당 | 19,040 | 49.14% | 2 | |
2 | 심경숙 | 더불어민주당 | 19.705 | 50.85% | 1 | 당선 |
선거인수 | 66,089 | 투표수 | 39,654 |
무효표수 | 909 | 투표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