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국

(공작령에서 넘어옴)
군주의 호칭에 따른 국가 분류
제국왕국(여왕국)공국후국백국

公國
Dukedom, Duchy, Fürstentum, Principality

※ 본 문서는 '공국'으로 번역되는, 서양사의 두 정치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1 Grand Duchy/Duchy

1.1 정의

군주의 호칭으로 공작을 사용하는 나라이다. 백국과 후국과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공작령과 공국을 구분하지 않고 그냥 Duchy로 불렀으며, 공국을 가진 공작은 보통 듀크(duke)의 호칭을 사용했다. 군주가 대공(Grand duke)일 경우는 대공국이라고 한다. 공국과 대공국은 번역될 때 혼용되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흔해서 여기서는 항목을 단일화한다.

독립국가인데 왕국이 아닌 공국을 칭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본래 공작이라는 호칭은 군주에게 사용하는 호칭이 아니라 군주에 속해있는 귀족에게 사용하는 호칭이다. 영지를 가진 영주들이 독립하면서 스스로 군주가 될 때, 처음부터 자신을 이라고 칭하고 자신의 영지를 왕국으로 칭할 경우 주변국의 어그로를 끌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런 애매한 호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공국의 경우는 후국과 백국에 비하면 사례가 엄청나게 많다. 그럴 수밖에 없는게, 자신의 영지가 독립국이 될 정도면 이미 왕에 버금가는 세력가이기 때문에 공작의 칭호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후작령과 백작령이 공작령을 거치지 않고 갑자기 독립세력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는 흔치 않았으니...

우리에게는 공국이라는 칭호가 그리 익숙하지는 않으나 중국에서는 공작(公爵)을 받은 제후가 다스리는 나라에 대해서 공국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

양판소 같은 창작품에선 공국이 나올 떄 그 공국의 통치자의 지위를 공왕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공작이라는데도 왕으로 만드는 양판소의 힘 기동전사 건담에서도 공왕이라 하는데?[1]

곰국이 아니다

1.2 실존하거나 실존했던 공국, 대공국

군주의 호칭이 Duke/Grand Duke인 경우. 군주의 호칭이 Prince인 국가들은 후술할 Fürstentum/Principality을 참고.

1.2.1 현존하는 공국, 대공국

1.2.2 과거에 존재했던 공국, 대공국

2 Fürstentum/Principality

2.1 정의

다른 것은 대부분 위와 동일하지만, 군주의 호칭으로 공(公. Prince 혹은 Fürst)을 사용하는 나라이다. 이 작위 역시 상당히 강한 세력을 가진 경우도 많았지만, 현재까지 남은 공국들은 대개 이리저리 소속이 바뀌고 국경선이 다시 그어지며 봉건제도가 무너지면서 주종관계가 격변하는 과정에서 독립되어진 채로 남은 것이다. 말하자면 최후의 봉건 국가들.[7] 독일 제국 문서에서는 공령(公領)이라고 번역했다.

한편,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초소형국민체의 상당수는 공국을 칭하는데, 전술한 Duchy가 아니라 이 Principality를 칭한다.

2.1.1 실존하거나 실존했던 공국

2.1.1.1 현존하는 공국

군주의 호칭이 Prince(Fürst)인 경우

2.1.1.2 과거에 존재했던 공국
2.1.1.3 초소형국민체

3 가상의 공국, 대공국

실제로도 그렇지만, 일반적인 군주(왕, 황제)보다는 권위나 권력이 약하면서도 그들로부터 사실상의 독립을 이룰만한 권위와 권력을 가졌기에, 후국이나 백국 등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보인다.

서양의 창작물에서는 Duchy와 Principality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지만, 동양의 창작물에서는 이를 잘 구분하지 않으므로, 따로 밝히지 않은 이상 단순히 공국(公國)이나 대공국(大公國) 등으로 표기한 경우에는 그것이 Duchy인지 Principality인지 알기 어렵다.

  1. 어쩌면 당연하다고 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것은 번역상, 서양 작위체계를 잘 알지 못하는 일반 대중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자 '공작' 대신에 선택한 것이다. 예컨대 'Monarchy of Monaco'라는 표현을 보자. 모나코는 Prince가 국가원수이지만, 한국에서는 '모나코 국왕'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며, 영어권에서도 'Prince of Monaco' 대신 위 'Monarchy of Monaco(모나코의 군주)'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그 작위 계급과 군주라는 지위를 동시에 표현하기 위해 '공(작) + 왕 = 공왕'이라는 방식으로 어휘를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역시 엄밀하게는 '(군주인) 공작'이라고 번역해야겠지만, 우리사회의 통념상 왕이 곧 군주로 여겨진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2.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리투아니아 지역만 해당된다.
  3. 이쪽은 Grand duchy가 아니라 Archduchy이다. 그 이유와 차이점은 대공 문서의 오스트리아 문단 참고.
  4. 피렌체를 중심으로 처음에는 메디치 가문이, 나중에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스렸다. 1860년 샤르데냐 왕국에 합병되어 사라졌다.
  5. 이쪽은 힘을 키우면서 왕국과 사실상 제국의 테크트리까지 달성했다. 본래는 베를린과 그 주변을 근거지로 한 브란덴부르크 공국이였고, 1615년 폴란드에게 프로이센을 받으며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공국으로 변신. 후일 왕국으로 승격된게 프로이센 부분이기에 그 이후에는 프로이센의 이름이 더 널리 쓰였다. 왕국 시절은 프로이센 왕국. 제국시대에는 프로이센 왕국이 곧 독일 제국이 된 것은 아니었고 제국을 이루는 25개 영방국 중 하나였다만, 당시 전독일 영토의 2/3,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사실상 제국의 주도 세력이었으며 프로이센왕이 제국황제를 겸임했다.
  6. 이들 공국들은 세계사에서 별 존재감은 없지만, 독일 제국의 영방국가들로서 20세기 초반까지 존재했었기 때문에 특별히 언급해둔다.
  7. 단 이 호칭 자체는 독립한 봉신이 아닌 자생적으로 발생한 국가들에서도 흔히 사용된 것이다.
  8. 프랑스 대통령과 스페인의 우르헬 지방 주교가 공동 통치자.
  9. 루마니아의 지방인 '왈라키아'의 원음, 문테니아라고도 부른다. 블라드 가시공이 다스린 나라로 유명.
  10. 세계사에서 별 존재감은 없지만, 독일 제국의 영방국가들로서 20세기 초반까지 존재했었기 때문에 특별히 언급해둔다.
  11. 작중에서나 설정에서나 공국으로 칭하고 있지만 정치체제가 완전히 제정일치이기에 교국으로도 볼 수 있다.
  1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C.95.84.ED.81.AC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