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가 진행중입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急行버스/Rapid Bus
목차
1 개요
말 그대로 급행으로 운행되는 버스. 여러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버스보다 빠르게 다니며, 따라서 도시의 도심과 근교 지역 등 상대적으로 먼 지역들을 연결하는 데에 유리하다.
이 급행버스는 도시 대중교통 구축에 대단히 중요한데, 도시철도는 설사 경전철일지라도 초기비용이 많이 드는 탓에 수요가 완전히 보장되지 않는 이상 깔기가 힘들고, 그렇다고 모두 일반버스로 때운다면 목적지까지 가는데 시간이 너무많이 걸려서 모두가 차를 끌고 나와서 그리 크지 않은 도시인데도 출퇴근길에 헬게이트가 열리는 참사가 벌어질수있기 때문이다.물론 대도시들은 아무리 대중교통이 좋아도 헬게이트가 열린다 이렇게 중요한 교통수단인지라 대개 수요가 많다.
이 급행버스를 교통체증에 취약하지 않도록 더 강화시킨 시스템이 BRT이다.
2 목록
2.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현재 서울 시내버스 노선중에서는 급행버스 형태의 개념을 가진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에 8300번 등 급행버스가 신설되었으나 모두 폐선되었으며, 광역버스는 9714번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급행버스와는 거리가 멀다. 그나마 급행의 기능을 가진 노선들은 9401번, 9404번, 9711A번 정도이며,[1] 나머지 9403번, 9701번, 9703번, 9709번 등은 좌석형 버스일뿐 모든 정류장에 정차를 하도록 인가받은 노선이다. 단, 요금이 비싸 단거리 구간은 타는 사람이 적은 편이라서 동일 구간에서 일반버스보다 조금은 빠르다.
그리고 2008년 즈음에 8000번대 맞춤버스를 활용해서 출퇴근시간대 위주로 운행하는 이른바 '맞춤급행버스'라는 것을 운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반 시내버스와 같은 차량에 요금도 일반 시내버스와 같으면서[2] 급행버스 특성상 장거리 승객들 위주로 이용하고 승객 회전률(속칭 물갈이)이 낮다보니까 수익성 악화 문제로 전부 폐선되었다.[3] 당시 어떤 노선을 운영했었는지는 8300번, 폐선목록 문서를 참조.
그 외에 8663번이 노들길을 경유해서 급행버스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한계가 있는게 출근시간 여의도방향으로만 운행하며 정체로 인해 공기수송과 함께 9호선은 여전히 터져나간다.[4][5]
2.2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2008년 12월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원내동과 구도심(대전역)을 연결하는 '급행 1번', 신탄진 지역과 구도심(대전역)을 연결하는 '급행 2번' 2개 노선이 신설되었다.그후 2011년에 서남부권(도안지구)과 둔산지역을 연결하는 '급행 3번'이 신설되면서, 2013년 2월 현재 3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모든 정류장을 정차하는 일반버스 노선과 달리 2~3개의 정류장을 건너뛰어서 정차하는 형태이다.[6] (예 : 급행2번의 신탄진한일병원 ~ 신대주공APT : 선바위,산막,들말 정차 X , 신대주공APT ~ 읍내동현대아파트 : 와동초등학교,성우동산,대한통운 정차X)[7]
버스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으며, 일반버스와 동일하게 차량은 대형 아니면 저상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요금은 일반버스와 동일하다. 단, 대전(계룡) 버스 2002번은 성인 카드기준 1700원(현금1800원)을 받는다. 그리고 2002번은 주황색 도색을 적용했다.
2.2.1 노선 목록
- 급행1번(경익운수) : 원내동공영차고지 ~ 원내동 ~ 관저동 ~ 가수원동 ~ 정림동 ~ 도마4 ~ 서대전네거리역 ~ 중구청역 ~중앙로역 ~ 대전역동광장(종점)(※ 대전역동광장 ~ 대동5 ~ 원동4 : 원내동행만 편도운행)
- 급행2번(협진운수) : 봉산동 ~ 송강동 ~ 대덕경찰서 ~ 신탄진역 ~ 와동 ~ 중리동 ~ 복합터미널 ~ 대전역 ~ 한밭운동장 ~ 옥계동(종점)(※ 은어송초등학교 : 옥계동행만 편도운행)
- 급행3번(경익운수) : 원내동공영차고지 ~ 관저동 ~ 가수원동 ~ 도안동 ~ 목원대입구 ~ 만년교 ~ 대전일보사 ~ 갤러리아타임월드 ~ 정부청사역
- 2002번 (경익버스) : 계룡복지센터 ~ 용남고 ~ 신도안면사무소 ~ 계룡시청 ~ 계룡역 ~ 두계삼거리 ~ 서대전IC ~ 도마시장 ~ 대전충남병무청 ~ 대전역
2.3 청주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2.4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급행 문서를 참조. 급행버스를 최초로 도입한 곳이자, 전국 좌석버스 운영의 모범사례.
2.5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급행 문서를 참조.
2.6 울산광역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 ||||
5001 | 5002 | 5003 | 5004 | 5005 |
정식 명칭은 리무진(급행). 위의 신경주역 급행과 마찬가지로, 이름은 울산이지만 정작 저 멀리 언양에 있는 KTX 울산역을 기점으로 해서 구/군별로 수요가 나오겠다 싶은 지점에만 정차한다. 초기에는 비싼 요금[8]에 급행 개념도 생소하고 현대시답게 사람들이 자가용을 끌고와서 월 수백만원의 적자를 보았으나, 현재는 조건부 폐업상태인 5003번과 도저히 수요가 안 나오는 5005번을 빼면 그럭저럭 정착한듯.
2.7 안동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2.8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2006년 12월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부도심과 도심, 혹은 부도심 간을 빠르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는 빨간색과 노란색으로 도색되어 있다. 예전에 고급좌석버스로 쓰던 도색. 차량은 대형 아니면 저상차량을 쓴다. 예전에는 2001~02년식 고급좌석버스 차량도 있었다. 번호는 (지역명)+0X 형태.
처음에는 5개 노선이 있었으나, 지하철 1호선 2단계 연장 전 대체노선으로 만든 상무02번(상무역-평동역)이 50일도 못 버티고 좌석02번(월남동-혁신도시)이 변경되면서 5개 노선으로 줄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요금은 일반버스와 동일하다. 단 좌석 02번은 말 그대로 직행좌석형 급행버스이므로 요금이 비싸다. 성인 카드기준 1700원(현금 1800원)
2.8.1 노선 목록
- 광주 버스 순환01 : 상무지구 - 풍암동 - 대남로 - 남광주역 - 조선대학교 - 경신여고 - 상무지구
- 광주 버스 풍암06 : 매월동 - 금호동 - 월드컵경기장 - 까치고개 - 금남로4가역 - 말바우시장 - 장등동
- 광주 버스 진월07 : 송암공단 - 진월동 - 금남로 - 광주역 - 전대후문 - 일곡지구 - 살레시오
- 광주 버스 첨단09 : 첨단종점 - 신창지구 - 광천터미널 - 문화전당역 - 남광주역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광주 버스 좌석02 : 혁신로 - 도산역 - 광주송정역 - 공항역 - 김대중컨벤션센터 - 광주시청 - 유스퀘어 - 광주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월남동
3 외국의 급행버스
미국에는 이 시스템을 갖출 여력이 충분히 되는데도 교통국이 무능한 탓에 제대로 갖추질 못해서 대중교통을 개판으로 만드는 도시가 꽤 된다. 이상하게도 주로 지하철이 없는 도시들에서 이런 일이 많이 일어난다는 것이 신기한 일.(...)
4 기타
경주에도 급행노선이 존재했었다. 당시 신경주역이 개통되어 700번 신경주역~불국사 노선도 동시에 개통됐다. 당시로선 시외버스에서만 볼수있었던 최신 고급차량을 투입했으며[9] 정류장도 얼마 없어서 많은 혼란을 가져왔었다. 지금은 급행을 폐지하고 좌석으로 격하되어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고 있다.
5 관련 문서
- ↑ 9401번, 9404번, 9707번도 자동차 전용도로/고속도로상에서만 정류장이 없어서 급행노선으로 보일뿐 시내 구간에서는 전 정류장에 서는 완행급인 노선이다. 요즘의 간선급행버스와 다른 개념이다.
- ↑ 당시 성인 현금:1000원/카드:900원.
- ↑ 물론 서울 시내버스는 준공영제로 운영하다 보니까 개별 노선의 흑자/적자 여부는 알수없다. 하지만 일반버스와 같은 요금을 받으면서 승객 회전률(속칭 물갈이)이 낮은 노선이라면 흑자가 나오기는 매우 힘들 것이다. 140번, 150번, 160번, 642번(노들길 직행운행 시절)이 승객 회전률이 낮아 한때 시에서 노선을 어떻게든 조정하고 싶어했었다. 그리고 버스 요금부터가 원가보다 낮게 책정되어 있다.
- ↑ 과거에 642번이 노들길을 경유하며 9호선 수요를 분산해줬지만 노선변경 이후에는 옛말이 되었다.
- ↑ 8663번을 정식 간선버스 가칭 460번 또는 좌석형 간선급행버스로 형간전환,
여의도구간 폐지강남연장을 추진중인데 아직까지 변경된다는 소식은 없다. - ↑ 시청에서 밝히길 바로 앞/뒤 정류장과의 거리가 1km 이상이거나 일일 이용객 수가 1,000명이 넘는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고 한다.
- ↑ 단, 일부 정류장을 그낭 통과해도 운행속도에 별 영향을 안주는 지역, 즉 기점지랑 가까운 지역은 예외로 한다. 실제로 급행1번은 원내동 지역에서, 급행2번은 봉산동, 송강동 지역에서 모든 정류장에 장치한다. 이런 지역은 도심까지 거리가 멀기도 하다.
- ↑ 전연령 현금 3200원 / 교통카드 3000원, 심야 및 새벽에는 600원 할증.
- ↑ 그 당시 700번 외에도 12번, 100번, 150번, 203번에도 시외버스 차량이 있었으나 상태는 그닥 좋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