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심야버스(서울)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 ||||||||
N13 | N15 | N16 | N26 | N30 | N37 | N61 | N62 | N65 |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성원아파트)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남태령역) | ||
종점행 | 첫차 | 00:00 | 기점행 | 첫차 | 00:00 |
막차 | 03:33 | 막차 | 03:33 | ||
배차간격 | 40~45분 (1일 6회) | ||||
운수사명 | 동아운수, 우신운수 | 인가대수 | 6대[1] | ||
노선 | 우이동 성원아파트 - 도선사입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방학사거리 - 수유역 - 미아사거리역 - 성신여대입구역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보문동 - 신설동로터리 - 흥인지문 - 종로2~6가 - 을지로입구역 - 롯데백화점 - 북창동(남대문시장)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신용산역 -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 신대방삼거리역 - 신림역 - 봉천사거리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남태령역 |
2 개요
서울시의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4 특징
130번[2], 152번[3], 461번[4]이 조합된 노선이다.
이 노선을 통하여 사당역까지 이동한 다음, 경진여객에서 운행하는 수원 버스 7770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 다만, 평일 한정이며 토ㆍ일ㆍ공휴일은 심야에 운행하지 않으니 주의. 여담으로 우신운수로서는 2004년 개편 이후 처음으로 운행하게 된 파란색 시내버스이기도 하다.
양쪽 첫차, 막차시간이 N16번 보다 먼저이며, 숭례문(ID 02-122)에 같이 정차하는데. 서로 반대방향이니 행선지 방향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5]
강북방향시 노량진역 무려 2번이나 정차 할 뿐만 아니라[6] 장승배기 가는 버스인데도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을 양방향 경유하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7번 승강장에서 숭례문(ID 02-122) 정류장으로 바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심야버스라서 차로 변경이 용이하기에 가능한것이다. 또한, 동아운수 우이동 차고지에서 유일하게 승하차가능한 노선이다.
4.1 N15번, N16번 출발시간표
- 강북 / 사당 - 0:00, 0:40, 01:25, 02:10, 02:50, 03:33
- 도봉 - 0:10, 0:50, 01:30 / 온수 - 0:20, 01:00, 01:40 / 도봉,온수 양쪽 회차 출발시간 - 02:25, 03:05, 03:45
5 연계 철도역
심야버스인 만큼, 지하철과의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만 평일 지하철 막차가 새벽 1시까지 다니기에 막차 시간대에 경유하는 역 까지 온 다음에 이 버스를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굵은 글씨가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신설동역[7], 동묘앞역, 동대문역,종로5가역, 종로3가역, 서울역, 용산역, 노량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설동역[8], 을지로입구역,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사당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종로3가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동대문역, 서울역,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사당역, 남태령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종로3가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보문역, 동묘앞역, 삼각지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장승배기역, 신대방삼거리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노들역, 노량진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서울역,용산역
- 일반 철도역 : 서울역, 용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