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450px | 550px |
부산역환승센터 | 선암초등학교 인근(범천4동) |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87번 | |||||
기점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9동(망미주공아파트) | 종점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2가(까치고개) | ||
종점행 | 첫차 | 04:50 | 기점행 | 첫차 | 05:42 |
막차 | 22:20 | 막차 | 23:17 | ||
평일배차 | 출퇴근 4분/평일 9분 | 주말배차 | 7분 | ||
운수사명 | 삼성여객 | 인가대수 | 30대 | ||
노선 | 망미주공아파트 ─ 토곡한양아파트↔연동시장↔연산교차로↔부산시청↔양정↔서면.롯데호텔↔CBS방송국↔범천4동↔안창마을입구↔성북고개↔수정삼거리↔초량동↔부산역↔남포동↔자갈치역↔부산대학병원↔아미동 ─ 까치고개[1] |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8.3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본래 이 노선은 1986년 말 이전까지 범6동~충무동까지 운행하였으며, 이후에는 아미2동으로 연장이 되었다가, 1988년 하반기에 범일6동에서 연산9동까지 연장하였고, 1991년 말에는 좌석 노선까지 신설하게 된다. 그 때는 고지대에 좌석 노선이 운행한다고 말이 많았었다. 하지만 수요는 좌석을 못 채울 정도로 적었었다. 그 후 1996년 3월에 폐선되고 말았다.
- 2007년 9월 1일 개편 때에 기점행에 한해 자갈치시장을 미경유하고 양방향 남포동 정류장을 경유하도록 변경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별 변동없이 운행하고 있다. 그리고 87번의 구.종점의 흔적은 범천2동에 87번 구.종점이라는 정류소이름이 그 흔적이다.
4 특징
이 노선은 연산9동~연산역 구간의 구간 수요가 상당하고 연산8,9동은 물론 망미동에서 부전시장, 서면으로 최단거리로 질러주기 때문에 NH에도 입석을 채우는 일을 볼수 있다.[2]
까치고개에서 토성역까지의 구간,[3] 초량역에서 부암역까지의 구간[4]이 산복도로다. 덕분에 서서 가는 사람들에겐 엄청난 고역(...) 더구나 초량역-부암역 구간의 산복도로가 꽤 긴 관계로, 지하철역과 겹치는 구간[5]은 지하철이 압도적으로 빠르다(...)[6]
더군다나 유일하게 양방향 고관입구(고관로)를 경유하고있어서 남포동, 부산역 인근에서 고정수요도 제법 많은 편이다.사실 이런식으로 가지않으면 수정산복도로로 올라갈 수가 없다.
29번과 더불어서 범일4동(구 범일6동)으로 진입하는 노선이다. 다만 안창마을을 목적지로 가는 손님들은 이 노선은 안창마을 입구에만 정차하니 유의(입구에서 마을버스로 환승하거나 29번으로 환승가능)
종점인 까치고개 구간에서 사하14번 마을버스와 환승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자갈치역에서 토성역까지의 구간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밑으로 다니는 토성동(구덕로) 구간을 그대로 양방향 경유하는 유이한 버스이다.[7] 따라서 이 곳에서 고정수요가 있다.
2016년 1월 기준. 방학시즌임에도 불구하고 약 1만원정도의 흑자를 보고 있다.
4.1 저상버스 투입 문제
부산광역시 최초의 저상버스 투입 3노선 중에 하나지만[8] 언급했다시피 운행 구간이 여러모로 비범해서 산복도로를 지난 후 차체 바닥이 다 긁히는 현상이 발생했고, 결국 저상버스는 다른 노선으로 트레이드되어 운행 중이다. 물론 그 이후에도 이 노선에 저상버스는 단 1대도 운행하지 않고 있다. [9]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토성역, 자갈치역, 남포역, 중앙역, 부산역, 서면역, 부전역, 양정역, 시청역, 연산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서면역, 부암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연산역
- 일반 철도역 : 부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부전역(무궁화호)
- ↑ 대티역과 토성역 사이에 끼어 있는 고개다. 그런데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동대신역과 서대신역쪽으로 멀리 빙 돌아가는 관계로(...) 사실상 87번과 사하14번 마을버스만이 까치고개 연선 주민들의 생명줄이다.
하긴 까치고개에 지하철역이 들어서면 최소 배산역 정도의 깊이가 되겠지 - ↑ RH 에는 기점인 망미주공 에서 좌석을 모두 채우고 나가기도 한다.
- ↑ 이 구간의 중간에 감천문화마을(천마산 쪽)로 가는 왕복 2차선 도로(옥천로)가 있다. 예전에는 마을버스가 다니기도 했지만 폐선되었다. 현재는 까치고개(87번 종점)에서 대티역 방면으로 마을버스가 다닌다. 최근에 서구2-2번의 노선 변경으로 다시 이 길을 경유하여 감천문화마을로 가게 되었다.
부활올레 - ↑ 아주 과거에 이 길 중간에 종점이 있었다. 87번구종점 정류장 명칭이 그 흔적.
- ↑ 토성역에서 연산역(1호선), 연산역에서 망미역(3호선)까지 이르는 구간. 물론 환승을 고려해야 한다.
- ↑ 1구간요금이나 버스 요금이나 가격은 같지만 이동속도를 고려한다면 이 노선이 여러 모로 불리한 입장. 산복도로 중간에 내릴 일이 없다면 그저 후새드(...)
- ↑ 123번, 134번, 1003번은 부산대학병원 방면만 경유한다. 2016년 3월 15일 새로 개통한 96-1번도 토성동을 양방향 경유한다.
- ↑ 나머지 두 노선은 24번과 50번이다.
- ↑ 이후에는 50번과 100-1번에서 저상버스가 완전 철수되는 사례가 있었다. 현재까지 초저상버스가 운행되었다가 철수된 사례는 50번, 87번, 100-1번.